KR980009688A -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688A
KR980009688A KR1019980003438A KR19980003438A KR980009688A KR 980009688 A KR980009688 A KR 980009688A KR 1019980003438 A KR1019980003438 A KR 1019980003438A KR 19980003438 A KR19980003438 A KR 19980003438A KR 980009688 A KR980009688 A KR 98000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substitute
substitute pane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태
Original Assignee
전아람
남윤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아람, 남윤학 filed Critical 전아람
Priority to KR101998000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688A/ko
Publication of KR98000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88A/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른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을 구축할 대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공사하는 방법 관한 것이다.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투입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콘크리트 면처리에 소요되는 공사비가 필요 없으므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합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대폭 감소되어 환경친화적인 공법이다.
본 발명은 동바리를 설치하면서 지지틀(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2)위에 BST 경량콘크리트로 제조된 거푸집 대용판네(3)을 깔고, 거푸집 대용판넬(3)위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 대용판넬(3)과 콘크리트(4)를 타설하고 양생된후 지지특(2)과 동바리(1)를 해체하는 단계로 공사한다. 또한 벽체 콘크리트에 적용시킬수 있는 거푸집 공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고법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을 철근콘크리트로구축할때 사용하는 거푸집 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졸래 거푸집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제하는데 많은 노력가 시간이 소모할 분 아니라 거푸집을 통상 수 차례 전용하게 되므로 전용회수가 늘어날수록 콘크리트 표면 마감상태 조약하여 별도로 콘크리트 면처리를 하여야 했다. 또한 거푸집은 통상 합판으로 제작하거나 유로폼 등과 같이 시스템 패널이라 하드라도 거푸집 면은 합판류를 사용하여 일전 회수이상 사용ㅇ하고 나면 합판은 못쓰게 되고, 못쓰게 된 합판은 건설폐기물의 발생으로 환경을 훼손시키는 결과로 나타난다.
건설공사업은 험하고, 더럽고, 위험하여 건설공사업에 종사하려는 기능공이 점차 줄어들어 숙련된 기능공을 구하기 힘들어 노임이 상승되고, 기능공의 노령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기능공 노임의 상승과 기능공 노령화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있는 공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구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전체공사비의 30~40%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공정이며 철근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는 기능공 투입이 많은 공정이므로 거푸집공사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발명자는 건설공사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공 투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공 투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거푸집공사는 거푸집의 제작, 설치, 그리고 해체공정을 거친다. 거푸집 제작공정은 모듈화된 공장제작품(예, 유로품)을 사용하여 거푸집 제작품을 대폭 줄일 수 있지만 설치와 해체작업에는 여전히 일손이 많이 간다. 거푸집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거푸집 해체작업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과제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공법으로 슬래브 콘크리트 부분을 공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틀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공법으로 벽 콘크리트 부분을 공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여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동바리 2. 지지틀
3. 거푸집 대용판넬 4. 슬래브 콘크리트
5. 철근 6. 벽 콘크리트
34 : 철선 35 : H형 철물
36 : 폼타이 36 : 플랫 타이
37 : 간격재
제1도는 본 발명의 공법으로 슬래브 콘크리트 부분을 공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들의 평면도이며, 제3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그리고 제5도는 본 공법으로 벽콘크리트 부분을 공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제5도에 따라 본 발명의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공법으로 슬래브 부분의 공사를 할 경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동바리(1)를 세우면서 지지틀(2)을 설치하고 지지틀(2)위에 거푸집 대용판넬(3)을 깔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슬래브 콘크리트(4)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도느 지지틀(2)의 평면도이다. 지지틀(2)은 4각형의 테두리부재(21)와 테두리부재를 보강하는 상대(22)로 이루어진다. 테두리부재(21)는 각형 파이프, ㄱ형강, 또는 강성을 크게 한 다른 종류의 형강류를사용한다. 테두리부재로 각형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 예시 규격은 50 X 40 X 3.2t 이다. 또한 ㄱ형강이나 다른 종류의 형강을 사용할 겨우에는 유로품의 테두리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지지틀과 지지틀끼리 결합시키고 유로폼에서사용하는 쐐기 등 부속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틀의 치수는 1,200 X 2,400, 600 X 2,400, 1,200 X 1,200 등 다양하게 만들수 있다. 치수를 결정하는 변수는 지지틀의 무게가 2사람이 숩게 들 수 있늘 정도의 무게이다. 제2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부분은 지지틀 위에 설치되어 거푸집 대용판넬을 나타낸다
제3도는 거푸집 대용판넬(3)의 단면도이다. 거푸집 대용판넬(3)은 콘크리트와 맞닿는 부분은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거친 면(31)으로처리하고, 노출되는 면은 매끈한 면(32)으로 처리한다. 노출면은 거푸집 대용판넬(3)의 원래 마감상태로 두어도 콘크리트 면처리돠 같은 추가작업이 필요없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거푸집 대용판넬(3)의 중앙부에는 거푸집 대용판넬이 받는 하증을 받기 위해 보강재(33)를 넣는다. 보강재(33)는 내알카리성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또는 와이어 메쉬 등을 사용한다.
제4도와는 같이 거푸집 대용판넬(3)의 단부는 판 두께의 반을 도려내어 단차를 두어 콘크리트를타설할 때 시멘트풀이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거푸집 대용판넬(3)과 슬래브몬크리트 (4)의 부착을 보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콘크리트 타설 후 초기에는 거푸집 대용판넬(3)과 콘크리트(4)가 제대로 부착되어 있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선팽창계수의 차이, 슬래브에 가해지는고 정하중과 적재허중, 충격 등으로 거푸집대용판넬(3)과 콘크리트(4)의 부착이 약해져 서로 분리도리 경우를 재비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거푸집 대용판넬(3) 과 콘크리트(4)의 부착을 보강하기 위하여 첫째, 제4a도와 같이 거푸집 대용판넬의 중간에 철선(34)을 넣고 거푸집 대용판넬을 지지를 위에 설치하고 철근(5)을 배근한 상태에서 상기 철선(34)을 철근(5)에 매어둔다. 상기 철선(34) 대신에 와이어 메쉬를 넣어 와이어메쉬를 철근(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거푸집 대용판넬의 단부에 흠을 형성하고 홈에 H형의 철물(35)을 적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철선(34) 또는 와이어메쉬, H현 처물(35) 등의 부착성 보강 수단을 추가함르로서 안전서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거푸집 대용판넬(3)로서 경량판넬을 사용하였다. 경량판넬이 거푸집 대용판으로 사용도리 수 있는 이요응 경랴판넬을 구성하는 재료가 가진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경량판넬은 BST 경량콘크리트로 제조된다. BST경량콘크리트는 오스트래일리아 BST Holdings PTY, Ltd가 개발한 BST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이다. BST경량골재는 폐 스지로폴 알갱이가 시멘트폴과 친화성을 놓이기 위하여 특수 수지로 스티로폴 알갱이 표면을 코팅 처리한 것이다. 이에 따라 BST 경량골재를 콘크리틀와 혼합할 때 보통 골재를 섞는 경우와 별 차이 없이 잘 섞인다.
개발회사가 제시한 자료레 따르면 표1과 같이 강도특성 단열특성이 우수하다.
[표 1]
표1과 같은 BST 경량콘크리트의 성질을 적절히 홀용하여 거푸집 대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판넬의 두께와 밀도를 조절하여 옥상층이나 외벽의 다열시공까지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리고 실내 슬래브의 하부가 지저분한 것을 차단하거나 상부의 소음이 전달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室)에 천정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공법을 응용하면 거푸집 대용판넬의 하부면이 아주 깨끗하기 때문에 사람이 주로 거주하지 않는 실에는 별도로 마감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단여과 실내면 처리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공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BST콘크리트 경량판넬을 상요하였지만 경량판넬 대신에 다른 종류의 판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좇 일정형 거푸집공법을 벽체에 적응시키는 구체예이다. 벽체는 거푸집이 양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양면에 설치된 거푸집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자립할 수 있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 벽체용 거푸집에서 사용하는 폼타이와 간격재(separaor)를 설치한다.
간격재(36)는 벽 두께에 알맞게 ㄷ형강, 시중에서 구할수 있는 세퍼레이터, 또는플라스틱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제5도b에 보인 것처럼 평철로 만들 플랫 타이(36')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랫 타이(36')는양끝에서 거푸집 대용판넬(3)의 두께만큼 ㄷ자모양으로 도려낸 형태이다. 거푸집 대용판넬(3)에 플렛타이(36')를 끼울수 있는"-"모양의 구멍을 내고 구멍사이로 플랫타이 (36')를 끼우고 회전시키면 쉽게 간겨지로서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망치로 두드리면 돌출된 부분이 제거하여 마무리한다.
본 발명의 구조체 일형의 거푸집 공법에 의한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슬래브 공사인 경우에 동바리(1)를 세우면서 지지틀(3)을 설치한다. 설치된 지지틀(3)위에 거푸집 대용판넬(3)을 설치한 다음 경량 패널(3)위에 철근을 배근한다. 제4도와 같이 거푸집 대용판넬(3)과 슬래브 콘크리트(4)의 부착성을 보강하는 수단으로 철선(34)아니 와이어메쉬를 철근(5)에 매거나 H형 보강 철물을 끼운다. 슬래브 코크리트(4)를 타설하고 소정의 강도를 낼 때까지 양생시킨 다음 동바리(1)를 철거하면서 지지틀(2)을 해체하고 철거된 동바리와 지지틀은 재사용을 위해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다.
벽체 콘크리트 공사중인 경우 제5도와 같이 지지틀(2)에 거푸집 대용판넬(3) 고정시킨 벽제판넬을 벽이 시공될 위치의 양쪽에 설치한다. 양쪽 벽체 패널사이에 간격재(7)를 넣고 폼타이(36)로 고정시키거나 플랫 타이(36')를 미리 준비된 구멍으로 관통시키고 90˚정도 회전시켜 간격을 유지하고 양쪽 벽체 패널을 고정시킨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 대용판넬(3)과 지지틀(2) 사이를 분니시키고 해체된 지지틀(2)을 다음 장소로 옮긴다.
본 발명으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필요한 작업인력이 감소되고, 콘크리트 면처리에 필요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어공사비를 줄일 수 있게 되엇따. 또한 건설폐기물 발생량도 대폭 줄일수 있는 환경친화적 공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단열이 필요한 옥상스래브나 외벽에 적용할 경우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단열공사까지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으며, 대용판넬의 마감면이 깨끗하므로 별도로 고도의 마감이 필요없는 실에는 거푸집공사, 단열공사, 마감공사까지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동바리(1)를 세우면서 지지틀(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특(2)위에 거푸집 대용판넬(3)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대용판넬(3) 위에 철근(5)을 배근하고, 슬래브 콘크리트(4)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 동바리(1)와 상기 지지틀(2)을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거푸집 대용판넬(3)을 철선(34)이나 와이어메쉬롤 상기 철근(5)에 매거나 또는 상기 거푸집 대용판넬(3)과 또 다른 대용판넬 사이에 H형 보강철물을 끼우는 부착성 보강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
  3. 제2항에서, 상기 거푸집 대용판넬(3)은 BST 경량콘크리트에 유리섬유, 현무암 섬유, 또는 와이어메쉬로 보강한 거푸집 대용판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프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들은 각형 파이프 또는 ㄱ형강으로 된 테두리 부재(21)와 상기 테두리 부재(21)를 보강하는 각형 파이프 또는 ㄱ형강으로 된 살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주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
  5. 지지틀(2)에 거푸집 대용판넬(3) 고정시킨 벽체판넬을 벽이나 시공될 위치의 양쪽에 설치하고, 상기 벽체패널들 사이에 간격재(7)를 넣고 폼타이(36)로 고정시키거나 플랫 타이(36')를 미리 준비된 구멍으로 관통시키고 90˚정도 회전시켜 간격을 유지하고 양쪽 벽제패널을 고정시키고, 벽제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고, 상기 거프집 대용판넬(3)과 지지특(2) 사이를 분리시켜 지지틀(2)을 해체하는 단계로 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 공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80003438A 1998-02-06 1998-02-06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KR980009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438A KR980009688A (ko) 1998-02-06 1998-02-06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438A KR980009688A (ko) 1998-02-06 1998-02-06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88A true KR980009688A (ko) 1998-04-30

Family

ID=6589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438A KR980009688A (ko) 1998-02-06 1998-02-06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6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59A (ko) * 2000-08-23 2000-12-05 백운기 천장마감재를 겸한 콘크리트슬래브 거푸집의 패널간단차발생 및 탈락 방지장치
KR20020067465A (ko) * 2002-07-23 2002-08-22 김동진 합판 거푸집을 대체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 거푸집의제작과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스라브 시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59A (ko) * 2000-08-23 2000-12-05 백운기 천장마감재를 겸한 콘크리트슬래브 거푸집의 패널간단차발생 및 탈락 방지장치
KR20020067465A (ko) * 2002-07-23 2002-08-22 김동진 합판 거푸집을 대체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 거푸집의제작과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스라브 시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8474A1 (en) Single faced insulated concrete form
KR100416877B1 (ko) 개방형 단면을 갖는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충복 내화형합성보 구조
CN112459307A (zh)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墙体外模板的施工方法
KR980009688A (ko) 거푸집 대용판넬을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
KR20200107332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 슬래브 동시 시공방법
WO2009027960A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spaced apart formwork panels, a formwork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ormwork assembly
KR100503237B1 (ko)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100693244B1 (ko) 천장의 슬라브 시공에 이용되는 거푸집 대체용마감단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의 슬라브 구조 및 그시공 방법
JPH05156737A (ja) 表面材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工法
KR101372410B1 (ko) 슬라브 시공용 블록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0996036A (ja) 建築用壁材もしくは床材の構造
KR20230147322A (ko) 표면 마감재 동시 시공을 위한 건축 시공시스템
KR102317116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와 그 제작 방법 및 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CN215166455U (zh) 低、多层全预制装配式混凝土结构
KR200296952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KR102472790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CN214090425U (zh) 侧边倒角防开裂保温模板结构一体化保温系统
US20220403641A1 (en) Method for using aerated autoclaved concret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nstruction
KR100297426B1 (ko) 유리블록 패널 및 유리블록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353773Y1 (ko)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시스템
KR1002587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WO1996027723A1 (en) Use of polymer concrete for remaining form parts in concreting
EP1185748B1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AU2004203867B2 (en) A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