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825U -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825U
KR980008825U KR2019980002014U KR19980002014U KR980008825U KR 980008825 U KR980008825 U KR 980008825U KR 2019980002014 U KR2019980002014 U KR 2019980002014U KR 19980002014 U KR19980002014 U KR 19980002014U KR 980008825 U KR980008825 U KR 980008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ring
plastic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1910Y1 (ko
Inventor
김병산
Original Assignee
김병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산 filed Critical 김병산
Priority to KR2019980002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10Y1/ko
Publication of KR980008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관용 커넥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 단부를 가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각각의 연결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및 오-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평면링을 수용하는 본체와; 개구부 및 개구부로부터 본체의 연결 단부 내측으로 연장하며 내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통체를 가지며, 본체의 연결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제의 캡 부재와; 캡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본체의 연결 단부 내로 연장하며 등분으로 분할되며 파이프가 관통되는 분할 원통체, 분할 원통체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캡 부재의 원통체의 내면과 접촉되는 돌출부, 분할 원통체의 내측부에 매설된 다수의 금속제 파지부, 및 외측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라스틱제의 스피드 피트와; 스피드 피트의 플랜지와 캡 부재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냅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본 고안은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또는 온수용 배관에 있어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T 또는 엘보우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되는 건물, 즉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방 및 거실에는 난방을 위한 파이프가 배관되며, 이러한 배관용 파이프는 강 또는 동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소위 XL 파이프 또는 동 파이프를 이용하는 난방용 배관은 다수의 파이프가 용접 또는 파이프 커넥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동 파이프는 서로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며, XL 파이프는 동제 파이프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는 동 파이프의 연결부는 예를 들어 약 5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용접 부위, 즉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 부식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동제 파이프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되는 XL 파이프는 동제 파이프 커넥터의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제 파이프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제1도에는 T형 파이프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이며 엘보우 또는 직선의 파이프 커넥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커넥터는 파이프(22,23)가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부(24)가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예를 들어 PPC 또는 나이론과 같은 플라스틱제로 성형되는 본체(21)와, 본체(21)의 나사부(24)에 체결되며 파이프(22,23)가 관통하는 개구부(30)를 가지는 캡(28,28a)과, 캡(28,28a) 내에 위치되어, 파이프(22,23)의 단부 부분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아세탈과 같은 플라스틱제로 형성되는 스피드 피트(25)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27)과, 오-링(27)이 스피드 피트(25)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평면링(26)을 포함한다.
또한, 파이프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물의 온도차에 따른 파이프의 수축으로 인하여 파이프(22,23)가 스피드 피트(25)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지는 수축 방지용 관(29)이 파이프(22,23)의 단부에 끼워진다.
스피드 피트(25)는 제3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강성의 금속제로 만들어지며, 파이프(22,23)가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안쪽으로 경사진 톱니형 돌출부(25a)를 가진다. 물의 흐름을 소통시키도록 파이프(22,23)가 연결될 때, 스피드 피트(25)는 본체(21)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턱 부분(21a)에 안치되고, 평면링(26)이 스피드 피트(25)의 한쪽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오-링(27)이 본체(21)의 단부에 제공되고, 캡(28,28a)이 나사부(24)에 체결된다(도 2 참조).
상기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이프(22,23)를 캡(28,28a)에 형성된 개구부(30)로 삽입하여, 파이프(22,23)의 단부가 본체(21) 내에 위치된 스피드 피트(25)에 끼움으로서, 파이프(22,23)는 스피드 피트(25)의 톱니형 돌출부(25a)에 파지되어 고정된다. 이 때, 톱니형 돌출부(25a)가 상기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파이프(22,23)는 본체(21)로부터 빠짐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제로 형성된 파이프 커넥터는 난방 및 온수용 동 파이프와 XL 파이프에 의하여 발생되었던 부식 및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파이프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피드 피트가 일정 두께를 가지는 강성의 금속제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이프를 설치할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되며, 작업자가 파이프를 설치하는 힘이 들기 때문에, 파이프가 스피드 피트에 확실하게 파지되어 고정되지 않고, 단지 오-링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아서, 난방 운전시에 압력에 의하여 파이프가 오-링으로부터 빠져서 누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연결을 보다 확실하게 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사용되는 스피드 피트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3 : 캡 부재 4 : 나사부
5, 6 : 파이프 7 : 평면링 8 : 오-링
9, 10 : 개구부 11, 12 : 원통체 13 : 스피드 피트
14 : 분할 원통체 15 : 돌출부 16 : 파지부
17 : 외측 플랜지 18 : 수축 방지용 관 19 : 캡
20 : 스냅 링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 단부를 가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각각의 연결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평면링을 수용하는 본체와;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본체의 연결 단부 내측으로 연장하며 내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통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연결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제의 캡 부재와; 상기 캡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연결 단부 내로 연장하며 등분으로 분할되며 파이프가 관통되는 분할 원통체, 상기 분할 원통체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부재의 원통체의 내면과 접촉되는 돌출부, 상기 분할 원통체의 내측부에 매설된 다수의 금속제 파지부, 및 외측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라스틱제의 스피드 피트와; 상기 스피드 피트의 플랜지와 상기 캡 부재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냅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에서,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드 피트와 스냅 링이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는 플라스틱제, 예를 들어, PPC 또는 나이론과 같은 플라스틱제로 형성되는 본체(1)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캡 부재(2,3)를 포함한다. 본체(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 단부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각각의 연결 단부에 캡 부재(2,3)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부(4)가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 단부 내에는 파이프(5,6)가 연결되었을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7) 및 오-링(7)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평면링(8)이 수용된다.
캡 부재(2,3)는 개구부(9,10) 및 개구부(9,10)로부터 본체(1)의 연결 단부 내측으로 연장하며 내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통체(11,12)를 가진다. 캡 부재(2,3)의 개구부(9,10)를 통하여 스피드 피트(13)가 설치되며, 스피드 피트(13)는 종래의 스피드 피트와 마찬가지로 아세탈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스피드 피트(13)는 본체(1)의 연결 단부 내로 연장하며 등분으로 분할되는 분할 원통체(14)를 구비하며, 원통체(14) 내로 파이프(5,6)가 관통된다.
각각의 분할 원통체(14)의 외측 단부에는 캡 부재(2,3)의 원통체(11,12)의 내면과 접촉되는 돌출부(15)가 형성되며, 또한 원통체(14)의 내측부에는 관통되는 파이프(5,6)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금속제 파지부(16)가 매설된다. 스피드 피트(13)는 캡 부재(2,3)의 개구부(9,10)에 설치될 때, 개구부(9,10)에 걸리도록 형성된 외측 플랜지(17)를 구비한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에서, 스피드 피트(13)의 분할 원통체(14)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15)가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캡 부재(2,3)의 원통체(11)와 접촉됨으로써, 파이프(5)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축 방지용 관(18)이 파이프(5)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5)를 본체(1)를 향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분할 원통체(14)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파이프(5)의 단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링(7)과 오-링(8)을 통하여 본체(1)의 계단부(1a)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로부터의 파이프(5)의 분리는 스피드 피트(13)의 분할 원통체(14)의 돌출부(15)가 캡 부재(2)의 내측에 형성된 원통체(11)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스피드 피트(13)를 본체(1)를 향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스피드 피트(13)의 외측 플랜지(17)가 캡 부재(2)에 접촉된 상태에서 파이프(5)를 당기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5)가 본체(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피드 피트(13)의 분할 원통체(14)에 형성된 돌출부(15)가 캡 부재(2)의 원통체(11)와 접촉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스피드 피트(13)의 외측 플랜지(17)와 캡 부재(2)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 두께의 스냅 링(20)이 제공된다.
한편, 평면링(8)은 파이프(5)가 끼워질 때, 파이프(5)의 단부와 오-링(7)의 접촉으로 인한 오-링(7)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파이프(2)가 오-링(7)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가 연결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스피드 피트(13)와 스냅 링(20)이 노출되어, 스피드 피트(13)로부터 스냅 링(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 부재(2)에 캡(19)이 씌어질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제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에 의하면, 파이프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피드 피트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금속제로 형성된 스피드 피트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파이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한 파이프의 미완성 설치를 방지하여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식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 단부를 가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각각의 연결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평면링을 수용하는 본체와;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본체의 연결 단부 내측으로 연장하며 내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통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연결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제의 캡 부재와; 상기 캡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연결 단부 내로 연장하며 등분으로 분할되며 파이프가 관통되는 분할 원통체, 상기 분할 원통체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부재의 원통체의 내면과 접촉되는 돌출부, 상기 분할 원통체의 내측부에 매설된 다수의 금속제 파지부, 및 외측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라스틱제의 스피드 피트와; 상기 스피드 피트의 플랜지와 상기 캡 부재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냅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드 피트와 스냅 링이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80002014U 1998-02-17 1998-02-17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KR200171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14U KR200171910Y1 (ko) 1998-02-17 1998-02-17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14U KR200171910Y1 (ko) 1998-02-17 1998-02-17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25U true KR980008825U (ko) 1998-04-30
KR200171910Y1 KR200171910Y1 (ko) 2000-04-01

Family

ID=1953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014U KR200171910Y1 (ko) 1998-02-17 1998-02-17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10Y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973B2 (en) Plug-type connector
RU2466325C2 (ru) Фитинг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JP2019505734A (ja)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EP1748242B1 (en) Clamping ring for a high tensile strength coupling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171910Y1 (ko)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EP1313190B1 (en) Mechanical seal for a cable installed in a corrugated duct
JP4358425B2 (ja) 管継手
KR200207885Y1 (ko)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JPH0632553Y2 (ja) 流体管の端末接続具
RU2413120C2 (ru)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US20030094767A1 (en) Mechanical seal for a cable installed in a corrugated duct
JP3888901B2 (ja) 通水管と継手部材の接続構造
ITTO941018A1 (it) Dispositivo di connessione a tenuta particolarmente per il raccordo a rubinetti e simili di tubi metallici flessibili a ondulazioni parallel
KR200283868Y1 (ko) 관이음장치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2001295966A (ja) 継 手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19990010213U (ko) 급수호스 연결장치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970002931Y1 (ko) 배관용 관마개
KR200318940Y1 (ko) 배관 연결구
GB2304845A (en) Quick connector for water outlet pipes
JP4791853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