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790A -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790A
KR980008790A KR1019960028430A KR19960028430A KR980008790A KR 980008790 A KR980008790 A KR 980008790A KR 1019960028430 A KR1019960028430 A KR 1019960028430A KR 19960028430 A KR19960028430 A KR 19960028430A KR 980008790 A KR980008790 A KR 98000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ehicle
lighting system
pressure senso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2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790A/ko
Publication of KR9800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790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브레이크(B)를 작동시키면 스위치(SW) 온(ON)되어 점등되는 차량 후미의 제동 등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B)의 압력값에 따라 비례하여 변환되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압력센서(S); 상기 압력센서(S)의 출력전류값에 따라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추가 점등되도록 다단계로 저항(RR1, RR2, RR3)(LR, LR2, LR3)을 형성한 다수의 램프(RL1, RL2, RL3, RL4)(LL1, LL2, LL3, LL4)를 좌우 각각 일체로 형성한 제동등(RL)(LL)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전방차량의 주브레이크 사용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점등되므로 후방차량이 인지할 수 있게 되어 감속이나 급정지 신호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여 알려주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본 발명은 전방주행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상태를 후방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등(Brake Lamp)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동차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모든 타 차량 등 교통관계자들에게 명확히 표시(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사표시 수단으로는 각종 등화장치인 광학신호장치와 경음기인 음향신호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등화장치 중 주행방향을 변경할 의사가 있음은 운전석 레버의 조작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지시등(TSL; Turn Signal Lamp)을 점등하며, 주제동 브레이크를 제동중임은 자동으로 좌우의 제동등(LL)(RL)을 점등시켜 표시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LL)(RL)은 차량을 주행함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점등되는 것으로 차량의 감속이나 정지시 수행된다. 즉 운전자가 밟아서 작동시키는 풋브레이크(Foot Brake)라고 일컫는 주브레이크는 작동과 동시에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제동등(LL)(RR)이 자동으로 점등되어 후방의 타 차량 운전자에게 감속 및 정지 의사를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제동등은 단지 주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이므로 후방의 타 차량 운전자로서는 단지 감속하기 위한 것인지 정지하기 위한 것인지의 여부를 인지하는 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후방의 차량은 필요 이상의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므로 운전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연료의 손실을 가져오며 배출가스의 증가로 인한 환경의 악화 등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전방 차량의 정지의사를 단순한 감속의사로 오판함으로 인하여 연쇄적인 추돌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차량의 운전자가 감속 또는 정지하기 위하여 주브레이크를 밟을 때, 이러한 상황을 후방차량에게 명확히 인식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즉, 전방차량의 감속의사나 정지의사를 후방차량에 명확히 인지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차량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적용부위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적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주브레이크 S:압력센서
LL, RL:제동등 LL1∼LL4:(제동등) 좌측램프
RL1∼RL4:(제동등) 우측램프 RR1∼RR3, LR∼LR3:저항
TSL:방향지시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브레이크(B)를 작동시키면 스위치(SW)가 온(ON)되어 점등되는 차량 후미의 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B)의 압력값에 따라 변환되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압력센서(S); 상기 압력센서(S)의 출력전류값에 따라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추가 점등되도록 다단계로 저항(RR1, RR2, RR3)(LR, LR2, LR3)을 형성한 다수의 램프(RL1, RL2, RL3, RL4)(LL1, LL2, LL3, LL4)를 좌우 각각 일체로 형성한 제동등(RL)(LL)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브레이크(B)를 밟는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스위치(SW)에 압력센서(S)가 연결되고, 이러한 압력센서(S)는 차량 후미에 설치된 제동등(RL; 우측제동등, LL; 좌측제동등)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센서(S)는 주브레이크(B)의 밟는 정도, 즉 압력에 따라 다른 전류값을 내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동엠프(11)에 DC옵셋조정회로(12), V-I컨버터(13)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동등(RR)(LL)은 좌우로 각각 다수개의 램프 (RL1, RL2, RL3, RL4)(LL1, LL2, LL3, LL4)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저항(RR1, RR2, RR3)(LR, LR2, LR3)이 각각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 제동 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주브레이크(B)를 밟는 압력정도에 따라 제동등(RR)(LL)의 점등이 수행되는 바, 예컨대 주브레이크(B)를 강하게 밟아 강한 압력을 전달하면 압력센서(S)를 통과하고 높은 전류가 흐르므로 각 제동등 램프 (RL1, RL2, RL3, RL4)(LL1, LL2, LL3, LL4)사이의 저항 (RR1, RR2, RR3)(LR, LR2, LR3)을 통과하여 모든 램프에 점등된다. 그러나 주 브레이크(B)를 아주 약하게 밟으면 좌우 제동등(RL)(LL)에서 첫 번째 램프(RL1)(LL1)에만 점등된다. 이는 전류가 약하므로 저항을 통과하지 못하고 외곽으로 우회하여 흐르기 때문이다. 또한 그 보다 좀더 가압하여 주브레이크(B)를 밟으면 그 다음 램프(RL2)(LL2)에까지 점등됨은 물론이다.
즉, 주브레이크(B)로 입력되는 압력에 의한 출력 전류값에 따라 램프에 점등되는 수가 결정되는 것인 바, 주브레이크(B)의 압력과 점등되는 램프의 수가 비례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이 급정거하기 위하여 주브레이크(B)를 깊이 밟으면 제동등(RL)(LL)전체에 점등되며, 주행중 감속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주브레이크(B)를 살짝 밟을 때는 제동등(RL)(LL) 중 일부 램프에만 점등된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각 4개의 제동등 중 첫 번째 램프(RL1)(LL1)나 두 번째 램프(RL2)(LL2)까지만 점등된다. 이런 방식으로 점차적인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후방차량이 전방차량의 제동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후방차량에게 감속이나 정지신호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여 알려주게 되므로, 필요 이상의 브레이크 사용을 방지하고 연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는 공해물질의 배출이 감소되어 환경보호의 효과가 있고, 연쇄적인 추돌사고를 예방하는데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브레이크(B)를 작동시키면 스위치(SW)가 온(ON)되어 점등되는 차량 후미의 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주브레이크(B)의 압력값에 따라 변환되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압력센서(S); 상기 압력센서(S)의 출력전류값에 따라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추가 점등되도록 다단계로 저항(RR1, RR2, RR3)(LR, LR2, LR3)을 형성한 다수의 램프(RL1, RL2, RL3, RL4)(LL1, LL2, LL3, LL4)를 좌우 각각 일체로 형성한 제동등(RL)(LL)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제동 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 참고사항: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430A 1996-07-13 1996-07-13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KR980008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430A KR980008790A (ko) 1996-07-13 1996-07-13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430A KR980008790A (ko) 1996-07-13 1996-07-13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90A true KR980008790A (ko) 1998-04-30

Family

ID=6624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430A KR980008790A (ko) 1996-07-13 1996-07-13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55B1 (ko) * 2009-10-28 2014-04-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상태 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55B1 (ko) * 2009-10-28 2014-04-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상태 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8790A (ko) 자동차 제동등의 다단계 점등 시스템
CA2147923A1 (en) Brake light configuration for a truck having an engine brake
US20020190854A1 (en) Deceleration light indicator and method therefor
KR0165958B1 (ko) 자동차 제동등의 위험경고 시스템
KR20190060624A (ko) 자동차의 제동 정도를 표시하는 브레이크 램프
KR19980015487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JPH0558218A (ja) 追突防止システム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19980048052U (ko) 차량용 급브레이크시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9980038507A (ko) Ccd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브레이크장치
KR100269965B1 (ko) 급 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GB2358460A (en) Motor vehicle brake-light arrangement
KR19980046557U (ko) 자동차용 추돌방지 브레이크 등
KR970037717A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작동장치
JPH04274940A (ja) 自動車運転時におけるブレーキ警告方法及び自動車用ブレーキ警告装置
KR19980015085U (ko)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KR970037984A (ko) 급제동시 경음기 자동작동장치
KR20090129166A (ko) 자동차의 급제동 표식장치
KR19980030897U (ko) 순차점등식 브레이크 램프
KR19990017441A (ko) 차속에 따른 제동등 점등장치
JP2000159009A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KR19990041171A (ko) 자동차의 엔진브레이크 작동시 알림장치
JPH10226272A (ja) 後方警報ランプ装置
KR970026662A (ko) 자동차의 에어 브레이크 안전 장치
KR970000987A (ko) 차량 정지시의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