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494A -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494A
KR980008494A KR1019960031919A KR19960031919A KR980008494A KR 980008494 A KR980008494 A KR 980008494A KR 1019960031919 A KR1019960031919 A KR 1019960031919A KR 19960031919 A KR19960031919 A KR 19960031919A KR 980008494 A KR980008494 A KR 980008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waste
polyethylene resin
resin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2887B1 (ko
Inventor
박영호
박무정
Original Assignee
박영호
박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박무정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1996003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887B1/ko
Publication of KR98000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폐 수지체들의 함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가지고 재활용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한 폐 수지체들과의 혼합후 압출시 압출기의 구조를 부분적인 단일 스크류를 도입하여 낮은 압출 온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본 발명은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 수지체들을 혼합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압출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생활용 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환경 오염이나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재활용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비교적 높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어서 용융시키기 어렵고 따라서 재활용 과정에서 유동성이 결여된다. 따라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재활용하는 공정에서는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큰 해결 과제이다. 본 출원인은 특허 제60539호에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분쇄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쌍압출기에 의하여 용융시키고 용융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다른 폐 수지를 혼합하여 가공하는 공정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허 제60539호를 더욱 개선 한 것으로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압출시 부분적으로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채용하고, 또한 타 폐수지들의 혼합을 변화시켜서 다양한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발명에서는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가공시 유동성을 향상키기기 위하여 타 폐 합성수지를 혼합한다. 혼합되는 타 합성수지로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폐 나일론을 사용한다.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곽 같은 계열이고 유연성이 있어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사용범위가 넓으므로 재 활용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도를 넓히기 위하여 혼합한다.
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는 용융과정에서 수축 즉시 액체화하여 폐 폴리에틸렌 수지와 잘 혼합되고 굳어진 폴리에틸렌수지를 용이하게 분산시킨다.
폐 나일론 수지는 다른 합성 수지보다 가장 먼저 용융되어 타 수지들의 기계적인 작업성을 도와주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 폐 나일론 수지의 혼합에 의하여 혼합되는 폐 수지체들이 효과적으로 분산되고 잘 혼합되고 따라서 재생된 수지체의 압축 강도가 높아진다.
페 수지의 혼합물에서 유연성이 있는 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강도를 높이는 폐 나일론수지의 함량에 따라 재활용된 폐수지의 강도가 결정된다. 유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을 증대시키고,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폐 나일론 수지의 함량을 증대시키면 된다.
폐 수지체들을 혼합하여 압출하는 공정을 거친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적으로 단일의 압출 스크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분적인 단일 압출 스크류는 폐 수지체들을 용이하게 물고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투입구는 상 스크류로 되어있고 투입구로부터 약 2미터가 되는 지점부터 단일의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분의 배출을 위하여 투입구로부터 1미터내에는 밑면의 수분배출구를 만들어서 수분이 탈수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출기의 구조에 의하여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융점 근방의 온도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의 280℃ 내지 330℃의 높은 온도를 지양하고 220℃ 내지 250℃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폐 수지체들의 함량들을 제시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유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을 증대시킨 경우이다. 다음의 표 1은 제1실시예에서의 각 성분과 함량을 표시하고 있다.
표 1
상기한 바와 같은 함량을 가진 폐 수지체들을 혼합 용유하여 재생된 재활용품에 대한 시험결과가 다음의 표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폐 나일론 수지의 함량을 증대시킨 경우이다. 다음의 표 3은 제2실시예에서의 각 성분과 함량을 표시하고 있다.
표 3
상기한 바와 같이 함량을 가진 폐 수지체들을 혼합 용융하여 재생된 재활용품에 대한 시험결과가 다음의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표 4
상기의 표 3과 표 4의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폐 나일론 수지의 함량에 따라서 인장강도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이 낮아지고 폐 나일론 수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인장 강도가 크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타 폐 수지체들의 함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가지는 재활용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한 폐 수지체들과의 혼한 후 압출시 압출기의 구졸를 부분적인 단일 스크류를 도입하여 낮은 압출 온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4)

  1.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활용품의 유연성 및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5 내지 15중량%, 폐 PET 수지를 2내지 5중량% 및 폐 나일론 수지를 5 내지 10중량%로 혼합하여 용융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용융 압출은 부분적인 단일 스크류 방식의 압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인 단일 스크류 방식은 폐 수지체의 투입구는 쌍 스크류 방식이고 그 아래는 단일 스크류 방식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은 22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활용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1919A 1996-07-31 1996-07-31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KR10019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919A KR100192887B1 (ko) 1996-07-31 1996-07-31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919A KR100192887B1 (ko) 1996-07-31 1996-07-31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94A true KR980008494A (ko) 1998-04-30
KR100192887B1 KR100192887B1 (ko) 1999-06-15

Family

ID=1946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919A KR100192887B1 (ko) 1996-07-31 1996-07-31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87B1 (ko) * 2006-03-15 2007-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응압출을 이용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재활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14B1 (ko) 2011-11-18 2014-02-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87B1 (ko) * 2006-03-15 2007-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응압출을 이용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887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713A (en) Blend composition containing recycled polycarbonate and recycled polymethylmethacrylate
Franzen et al. Fibre degradation during processing of short fibre reinforced thermoplastics
ATE202125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en
AU1693497A (en) Advanced engineering resin and wood fiber composite
US5827917A (en) Method for treating a talc powder with a view to incorporating it in a thermoplastic material
CA2086823C (en) Compounding-injection moulding combined process and device
EP0962488A1 (en) Thermoplastic composite composition reinforced with mica and wooden fiber filler
CN106147009A (zh) 一种由再生聚丙烯制备的填充母粒及其制备方法
KR101755892B1 (ko) 목분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KR980008494A (ko)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생 방법
DE60105008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s granulatgemisches, und granulatgemisch
DE2524298B2 (de) Verfahren und mischung zum angiessen eines schuhteiles aus thermoplastischem kautschuk an andere teile eines schuhs
EP004805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lastic object
KR0139884B1 (ko) 폐가교 폴리에틸렌이 함유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123853A (ja)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CN113667320A (zh) 一种废旧聚丙烯编织袋回收料改性再生料制备方法
KR0141421B1 (ko) 폐고무와 폐합성수지혼합물의 재활용품과 그 제조방법
DE602004010999T2 (d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flüchtigen Komponenten aus einem gefüllten thermoplastischen Polymer
KR96000466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사출 성형물 제조방법
DE10027209A1 (de) Verfahren zum Spritzpressen eines Formkörpers
CN1508177A (zh) 一种聚烯烃树脂/回收纸粉/无机矿物复合材料及制备方法
WO1995033002A1 (en) Process for reclaiming crosslinked acrylic scrap
JP2002205487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を使用した鉛筆ないし鉛筆型化粧品
RU1775426C (ru) Полимерна композици
KR830001468B1 (ko) 열가소성수지 성형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