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080A -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080A
KR980008080A KR1019960028280A KR19960028280A KR980008080A KR 980008080 A KR980008080 A KR 980008080A KR 1019960028280 A KR1019960028280 A KR 1019960028280A KR 19960028280 A KR19960028280 A KR 19960028280A KR 980008080 A KR980008080 A KR 98000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tobacco
raw material
content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렬
Original Assignee
김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렬 filed Critical 김동렬
Priority to KR101996002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080A/ko
Publication of KR98000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080A/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엽연초를 원료로 한 기존 담배는 티코틴과 타르르 등의 유해성과 중독성이 있어 흡연자의 건강을 해치고 있으므로 유해성이 없을 뿐 아니라 건강에 도움을 주는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쑥을 채취하여 잎과 줄거리를 분리하여 각각 세척한 후 120℃로 멸균하고 수분함량13% 내외가 되도록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여 창고에 보관 숙성시킨 후 온수 열의 수중기를 가하여 수분함량 20% 내외로 하여 찌고 길이 1㎝미만, 폭 0.5~1㎜ 내외의 크기로 세절한 다음 수분함량을 다시 12%로 조절한 다음에 향미제 등을 첨가하고 습도 유지 및 유연성을 위하여 구리실링 등 보습제를 2.5% 내외를 첨가한 후에 이를 100% 내용물로 하거나 또는 엽연초 담배원료와 혼합한 원료를 내용물로 하여 공지된 기존담배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쑥담배 제조 방법.

Description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쑥 (약용쑥, 식용쑥)을 원료로 한 쑥 담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엽연초를 원료로 하는 지금의 담배는 흡연하는 연기중에 타르르, 니코틴과 일산화 탄소가 인체에 유해하여 기관지염과 폐심증 등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키거나 또는 건강을 해치고 있어 각국마다 금연 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바, 이는 니코틴의 중독성과 담배를 흡연하는 즐거움을 대체할 수 있는 대용물이 없기 때문이다.
쑥은 독특한 향기와 그 성분의 약리작용으로 보아 이를 원료로 한 쑥담배를 제조하였을 경우 담배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지금의 담배와 대체할 수 있는 대상물이 될 것이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허준의 저서 동의보감 탕액편 권3에 보면 쑥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다고 적혀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병과 부인의 봉루(하혈)를 낳게 하며 복통을 멎게 하고 살을 살아나게 하며 피를 맑게 그리고 간기능을 좋게 하는 등 여러 문헌에 나타난 효능은 실로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경희대학교 한의과 대학에서 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쑥 잎이 흰주의 지혈 작용에 미치는 영향) 쑥잎은 혈액의 응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고 그리고 쑥은 100g당 0.15밀리미터 이상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유의 주 성분은 치네올과 a-루존이며 적은 양의 타닌 비타민 ABCD 등과 아밀리제, 아데닌 골린이 있으며, 회분도 5% 이상 들어 있다. 이들 성분이 몸의 간경, 비경, 신경에 들어가 작용하여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원기를 복돋아 준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성분과 효능은 가진 쑥은 옛날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쑥뜸치료의 효과는 신비롭다 할 정도로 여러 가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은 현대의학으로 증명되고 있다. 일본 의학계에서는 쑥뜸은 강한 혈액순환으로 신경조직과 세포조직의 모세혈관을 소통시키고 단백질을 주사한 것과 같이 혈액속에 좋은 작용을 한다고 하였으며 백혈구가 8시간 동안 두배반이 증가 지속하고 따라서 치병에 필요한 한독소, 용군소, 응집소가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혈액소 헤모그로빈은 16.9%로 적혈구는 혈액 1moA당 50만~100만이 증가하고 혈당분은 2배로 증가한다고 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공고 번호 95-7522)
위와 같은 쑥뜸의 효과는 건조된 쑥이 강제적으로 연소될 때 쑥의 성분을 내재한 따뜻한 연기가 피부로 스며 들므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쑥뜸의 효과는 쑥담배를 흡연하였을 때에도 그 효과가 다소 감소되긴 하지만 나타난다. 그것은 쑥뜸의 효과가 쑥이 연소될 때 쑥의 성분을 내재한 연기가 피부로 스며들어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원리는 쑥담배를 흡연하였을 때에도 부위와 다르고 뜸의 열기보다 따뜻한 기운이 저하되긴 하지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쑥이 연소될 때의 연기는 기존 담배와 같은 독성이 없고 일산화탄소 및 기타의 유해성도 연초 담배에 비하여 경미하며 오히려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독특한 향기와 맛으로 흡연하는 즐거움과 동시에 약리작용으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쑥담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쑥을 원료로 하여 담배 형태와 유사한 쑥담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목적
① 유해성이 없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쑥을 원료로 하여 담배 형태와 유사한 쑥담배를 제조하여 국민건강에 기여하고
② 엽연초를 원료로 한 지금의 담배는 니코틴과 타르르의 독성 때문에 흡연자의 건강 뿐 아니라 타인의 건강도 해치고 있으니 중독성 때문에 금연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쑥과 연초임을 혼합한 담배를 제조하여 담배의 유해성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으며
③ 쑥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어느곳에서나 야생하고 있어서 쑥담배의 제조는 자원 활용의 효과가 농가소득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④ 외산 담배의 판매가 허용된 이후 판매량이 날로 증가하여 95년 한해동안 7억 300만달러의 외화가 낭비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다.
우리는 질 좋고 건강에 유해됨이 없고 민족혼이 들어 있는 세계 제일의 쑥담배를 제조하여 외화의 낭비를 줄이고 더 나아가 수출하여 외화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발명되는 쑥담배의 제조방법은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쑥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한다.
제2공정 : 잎과 맥(줄거리)을 분리한다.
제3공정 : 위에서 얻어진 잎과 맥을 각각 수분함량 13% 내외가 되도록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 한다.
제4공정 : 쑥은 그 자체의 항균성 또는 멸균성으로 살균의 필요가 없으나 위생상의 안전을 기하기 위하여 120℃로 살균한다.
제5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을 쓴맛을 줄이고 부드러운 맛을 갖도록 창고에 보관하여 12개월동안 숙성시킨다.
제6공정 : 위에서 숙성한 쑥을 다음의 제조공정에 편리하고 맛의 부드러움을 위하여 찌는 기구(예CTC등으로 시루떡을 찌는 원리를 활용함)에 넣고 수분함량 20%로 유지하도록 온수열을 가하여 찐다.
제7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잎을 길이 5㎜ ~ 1㎝ 내외 폭 0.5㎜ ~ 1㎜ 내외로 세절한다.
제8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에 맛과 향을 개선할 수 있는 향미제를 2% 내외로 첨가한다.
제9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에 수분 함량 12%를 상시 유지되도록 습도를 저절한다.
재10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에 흡연시 감각 수용성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두 번째로 향미제등과 같은 통상의 담배 첨가물을 첨가한다.
제11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의 습도 보습과 유연성을 위하여 구리셀링 등 보습제를 2% 내외를 첨가한다.
제12공정 : 위에서 얻어진 쑥을 100% 내용물로 하거나 또는 기존 담배의 원료인 엽연초와 혼합한 원료를 내용물로 하여 공지된 기존 담배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쑥담배를 제조한다.
위와 같이 하여 제조한 쑥담배는 기존의 담배와 비교하여 그 맛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담배의 맛의 비교표
1. 기존의 담배맛
㉠ 담배 연기가 독하다.
㉡ 처음엔 맛이 좋으나 끝에는 쓰다.
㉢ 피울수록 피로감이 가증된다.
㉣ 식욕이 저하된다.
㉤ 장기 흡연시 구토증이 생긴다.
㉥ 헛바닥이 깔깔하다.
㉦ 장기 흡연시 몸의 무게가 감량된다.
2. 쑥담배의 맛
㉠ 담배 연기가 독하지 않다.
㉡ 특유의 쑥 향기로 맛이 부드럽다.
㉢ 계속 피워도 피로감이 없다.
㉣ 장기 흡연시 어지럽지 않다.
㉤ 식욕이 저하되지 않는다.
㉥ 좁은 공간에서 피워도 주위사람에게 해롭지 않다.
㉦ 엽연초 담배처럼 건강에 해롭지 않다.
(상기한 비교표는 전국의 남녀 50명의 흡연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얻어진 자료에서 얻어진 것임)
O 가래와 기침이 나오는 사람이 흡연하였을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기존의 담배
장기간 피울수록 가래와 기침이 더욱 심하다.
2. 쑥담배
장기간 피워도 가래와 기침이 심하지 않고 오히려 가래와 기침의 정도가 약화되었다.
(상기한 비교표는 가래와 기침이 나오는 사람 2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얻어진 자료에서 얻어진 것임)
따라서 담배와 유사한 본 쑥담배의 발명은 담배맛의 비교표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표와 같이 기존의 담배 맛보다 담배 맛도 순하고 향기로우며 유해성도 없을 뿐 아니라 가래와 기침도 심하지 않고 오히려 쑥뜸의 효과도 어느정도 얻을 수 있어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호식품으로서의 담배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쑥을 채취하여 잎과 줄거리를 분리, 각각 세척한 후에 120℃의 온도로 멸균하여 수분함량 13% 내외가 되도록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여 창고에 보관시켜 숙성한 후에 찜기구에 넣어 수분 함량 20%내외로 하여 온수열로 찌고 길이 1㎝미만, 폭 0.5㎜~1㎜ 내외의 크기로 세절하여 수분함량 12%로 하여 상시 습도가 유지 되도록 조절하여 향미제 등을 첨가한 후에 습도의 보습과 유연성을 위하여 구리실링등 보습제를 2% 내외로 첨가하고 이를 100% 내용물로 하거나 또는 연초 담배의 내용물과 혼합한 것을 내용물로 하여 공지된 기존담배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특징으로 한 쑥담배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280A 1996-07-13 1996-07-13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KR98000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280A KR980008080A (ko) 1996-07-13 1996-07-13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280A KR980008080A (ko) 1996-07-13 1996-07-13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080A true KR980008080A (ko) 1998-04-30

Family

ID=6624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280A KR980008080A (ko) 1996-07-13 1996-07-13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0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29A (ko) * 2000-09-23 2002-03-29 고운맘 구증구포 쑥연초
KR20020070021A (ko) * 2001-02-28 2002-09-05 고운맘 구강 필터 궐련 쑥뜸구
KR20020094853A (ko) * 2001-06-13 2002-12-18 고운맘 약쑥 구강 쑥뜸구
KR20030030784A (ko) * 2001-10-12 2003-04-18 고운맘 쑥시가
KR100389709B1 (ko) * 2000-12-12 2003-06-27 고운맘 국화꽃 쑥연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29A (ko) * 2000-09-23 2002-03-29 고운맘 구증구포 쑥연초
KR100389709B1 (ko) * 2000-12-12 2003-06-27 고운맘 국화꽃 쑥연초
KR20020070021A (ko) * 2001-02-28 2002-09-05 고운맘 구강 필터 궐련 쑥뜸구
KR20020094853A (ko) * 2001-06-13 2002-12-18 고운맘 약쑥 구강 쑥뜸구
KR20030030784A (ko) * 2001-10-12 2003-04-18 고운맘 쑥시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983066B (zh) 一种烟草替代品及其制备方法
CN107468889A (zh) 一种酸枣仁清心安神茶及其制备方法
WO2015027518A1 (zh) 一种中草药保健烟
CN109007967B (zh) 一种含中草药的香烟及其制作方法
KR100384405B1 (ko) 니코틴과 타아르를 저감시키는 담배의 제조방법
KR980008080A (ko) 쑥을 원료로 한 쑥담배의 제조 방법
KR100274825B1 (ko)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30937A (ko) 은행잎 담배
KR102575957B1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0684582B1 (ko) 작약을 이용한 금연용 담배
CN111642786B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01133899A (zh) 一种健康香烟
KR20220063978A (ko) 파인애플을 이용한 엉겅퀴와 솔잎, 마늘, 양파, 머위, 모과, 석류, 백하수오, 민들레, 은행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9315824B (zh) 一种茉莉花茶香烟及其制作方法
CN108035195B (zh) 一种含复合天然植物提取物的水松纸及其制备方法
KR101724825B1 (ko)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KR880001671B1 (ko) 쑥차의 제조방법
KR100822945B1 (ko) 수국(감)차나무 엽을 주재료로 만든 담배 대용품
KR19990083879A (ko) 차조기를 주재로한 끽연물의 제조방법
KR20010001890A (ko) 두충과 쑥을 이용한 끽연물 제조방법
KR20050055124A (ko) 대나무추출물이 함유된 밀가루음식 제조방법
KR100304732B1 (ko) 무공해 무독성 들깻잎담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