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048A -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048A
KR980008048A KR1019980005652A KR19980005652A KR980008048A KR 980008048 A KR980008048 A KR 980008048A KR 1019980005652 A KR1019980005652 A KR 1019980005652A KR 19980005652 A KR19980005652 A KR 19980005652A KR 980008048 A KR980008048 A KR 98000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amino acids
peptide
peptides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남
Original Assignee
조병남
주식회사 청해식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남, 주식회사 청해식품연구소 filed Critical 조병남
Priority to KR101998000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048A/ko
Publication of KR98000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048A/ko

Links

Landscapes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에고치 등에 존재하는 피브로인(Fibroin)및 그 외 단백질을 산·가수분해시켜 제조된 저분자량의 펩티드 및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미료인 실키아미노산·펩티드 소금에 관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견은 여러분야에서 기초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견은 세라신(Sericin)과 피브로인(Fibroin)과 같은 단백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을 최근에는 기능성 식·음료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실크의 용도는 견사를 뽑아 의류용으로 사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으나 이제는 실크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이 점차 개발되어 이제는 실크 아미노산·펩티드 소금인 조미료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이제까지의 실크를 이요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필수적으로 거치는 탈염공정을 생략하여 실크 아미노산·펩티드와 소금이 함유된 기능성 조미료를 생산하는 방법인 것이다.
실크 아미노산·펩티드를 생산하는 공정중 필연적으로 거치는 탈염공정에서는 염의 배출로 인하여 페수처리의 어려움과 이로인하여 주변 하천으로 유입되어 한천의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탈염시 회석용으로 엄청난량의 용수를 사용하게 되어 용수의 낭비를 초래하고, 이는 국토를 황폐화시키는 역할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또한 탈염시에 아미노산·펩티드의 유실이 탈염전과 탈염 후를 비교할 때 30∼35%정도를 차지하여 기업의 과중한 부담으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이는 곧바로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의 제조방법은 탈염시의 Loss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민들의 식단의 질은 고급화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탈염에 필요한 시설의 불필요로 인하여 시설비용을 절감하고,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의 실크 아미노산 ·펩티드 조미료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정선 및 커팅 공정)
본 발명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것은 상등품의 누에고치에서부터 하등품의 누에고치 및 선겹까지 사용이 가능하며,원료의 정선 공정에서는 누에고치의 생산시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질 및 번데기들을 세심하게 제거한다.
그리고 누에고치 등을 1cm정도의 크기로 커팅(Cutting)한다.
제2공정(산·가수분해 공정)
상기의 제1공정에서 정선·커팅(Cutting)된 누에고치 등을 1.5N∼2N의 염산 용액으로 100∼110℃의 온도에서 24∼48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킨다. 이때 누에고치의 견단백질은 펩티드 또는 아미노산의 상태로 가수분해된다. 이렇게 하여 견단백물질의 산·가수분해용액을 얻는다.
제3공정(중화 공정)
상기의 제2공정에서 얻게 된 견단백질 산·가수분해 용액에 견단백질 가수분해시 사용한 염산 용액과 동일한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조제하여, 수산화바륨Ba(OH)2 포화용액으로 침전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을 때까지 가하여 24시간 방치한 후 그 침전을 여과하여 만든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meter를 사용하여 pH 6.5∼7.0으로 조정하여 중화한다.
이때 중화된 견단백질 산·가수분해 용액 속에는 식염(NaC1)이 생성된다. 아울러 세리신(Sericin) 단백 물질은 중성의 용액에서 미세한 입자로 침전이 형성되어 완전히 제거된다. 이는 세라신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에 불용성인 아미노산들이 침전되어 생성되는 것이므로 이는 이후의 여과 공정에서 여과하여 제거하여 수용성인 아미노산들만을 회수할 수 있다.
제4공정(탈색 공정)
제3공정에서 중화가 완료된 중성의 견단백질 산·가수분해용액에 활성탄(Active Carbon)을 이용하여 활성탄(Active Carbon)의 표면에 착색 물질의 흡착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30분 이상 교반하여 활성탄에 착색물질이 흡착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제공한다.
제5공정(여과 공정)
제4공정에서 활성탄(Active Carbon)처리가 완료돈 견단백질 산·분해용액을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를 이용하여 활성탄 및 산성 아미노산의 침전 물질을 제거하면 무색∼엷은 황색의 맑고 황색의 맑고 투명한 견단백질 산·가수분해 용액을 얻을 수 있다.
※(탈염 공정)
탈염공정은 제조공정에서 완전히 삭제한다.
제6공정(농축 공정)
제6공정에서 얻어지는 견단백질 산·가수분해 수용액을 50±10℃의 온도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농축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제7공정(건조 및 분쇄 공정)
상기의 제7공정에서 농축한 견단백질 산·가수분해 조미료 수용액을 열풍스프레이 건조기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면 최종적으로 견단백질의 산 분해물인 분자량이 300∼800정도인 펩티드와 분자량이 120∼300정도인 아미노산과의 혼합된 기능성 조미료 분말을 얻게 된다.
그리고 동결건조를 할 경우에는 동결 건조한 후 필요한 입자의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소립·미립자 등으로 최종의 고농도 저분자량의 견단백질을 산 - 가수분해한 실크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저분자량의 견단백질 분해 물질인 실크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조 공정의 대폭적인 간소화 및 단축으로 제조회사의 제조 작업 공정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탈염공정에서 유실되던 실크 아미노산 ·펩티드의 Loss량을 전량 회수할 수 있어 생산수율의 상승으로 원가절감의 효과도 동시에 가져올 수가 있다.
또한 탈염공정의 생략으로 기존의 조미료업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는 산업계의 활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탈염시에 배출되는 염분의 발생을 제거하여 환경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환경보호에도 한 몫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에고치를 이요한 실크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국민건강과 식단의 고급화를 기하고 실크 아미노산·펩티드를 생산하는 공정중 필연적으로 거치는 탈염공정을 생략하여 탈염으로 인한 각종의 불합리점을 제거하여, 국가 경쟁력을 재고시킴과 동시에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경의 보존과 국내 양잠업을 재부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는 탈염공정에서 발생하는 아미노산·펩티드의 Loss를 100% 줄이고, 이때 배출되는 염을 기능성 조미료로 전환하여 주변환경 오염의 원인을 제거하고, 시설비용을 절감하여 기업의 부담을 줄이며,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로서 국민건강과 식단의 고급화를 기하여 일반 조미료와의 차별화로 조미료 산업계의 혁신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실크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생산방법 및 기능성 조미료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음료등 식품의 제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80005652A 1998-02-24 1998-02-24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KR980008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52A KR980008048A (ko) 1998-02-24 1998-02-24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52A KR980008048A (ko) 1998-02-24 1998-02-24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048A true KR980008048A (ko) 1998-04-30

Family

ID=6589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652A KR980008048A (ko) 1998-02-24 1998-02-24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0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21A (ko) * 2001-03-15 2002-09-28 김영호 실크펩티드를 첨가한 기능성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3785B1 (ko) * 2001-09-19 2004-08-09 월드웨이(주) 실크아미노산의 생산방법
KR2020000979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21A (ko) * 2001-03-15 2002-09-28 김영호 실크펩티드를 첨가한 기능성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3785B1 (ko) * 2001-09-19 2004-08-09 월드웨이(주) 실크아미노산의 생산방법
KR2020000979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ddy et al. Valorization of keratin waste biomass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CN102174627B (zh) 一种菜籽生物活性肽的制备方法
KR101864816B1 (ko) 어피로부터 마린콜라겐의 추출방법
Halake et al. Recently developed applications for natural hydrophilic polymers
KR20180018055A (ko) 철갑상어 유래 유용물질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그 유용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유용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품 제조방법
CN104292364A (zh) 一种从蛋壳膜中提取生物活性物质的方法
Shanthi et al. Re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 hydrolysate from chrome shavings by microbial degradation
CN112813127A (zh) 一种硫酸软骨素超滤废液制备胶原蛋白肽的方法
KR20040027283A (ko) 식물성 및 마린 콜라겐펩타이드 제조방법
JP2004141007A (ja) 魚由来ゼラチンペプチドの製造方法
Chaudhary et al. Purification of protein hydrolyzate recovered from chrome tanned leather shavings waste
KR100286388B1 (ko) 효소분해에 의한 실크분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JP6090823B2 (ja) コラーゲンの抽出方法、及び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
Danarto et al. Optimizing deacetylation process for chitosan production from green mussel (perna viridis) shell
KR980008048A (ko) 누에고치 등을 이용한 아미노산.펩티드 조미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능성 조미료 소재의 제조방법
EP1557472A1 (en) Sodium chondroitin sulfate, chondroitin sulfate-containing material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32153B1 (ko) 어류 비늘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0335702B1 (ko) 실크펩타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7494886A (zh) 一种利用鱼溶浆生产的蛋白粉产品
KR102153079B1 (ko)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CN1277845C (zh) 甲壳素清洁生产工艺
JPH0593000A (ja) 高純度の酸可溶性魚鱗コラーゲンの製造法
KR20010079286A (ko) 누에고치를 이용한 기능성 실크아미노산·펩타이드 소재의제조 방법 중 염산가수분해법에 의한 제조방법
CN107815480A (zh) 用鲶鱼鱼内脏蛋白酶提取鱼皮胶原蛋白的方法
JP2891081B2 (ja) 水溶性多糖類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