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529U -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529U
KR980007529U KR2019960021359U KR19960021359U KR980007529U KR 980007529 U KR980007529 U KR 980007529U KR 2019960021359 U KR2019960021359 U KR 2019960021359U KR 19960021359 U KR19960021359 U KR 19960021359U KR 980007529 U KR980007529 U KR 9800075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controller
impac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호
박경호
송철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7529U/ko
Publication of KR980007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52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외면에 충격을 받을 때 충격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외면 충격 시 사진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내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자량등에 의해 충격을 받아 파손된 경우 증거를 찾지 못해 불 이익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차량외면에의 충돌을 감지하도록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가속도계(10)에 그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가속도계 앰프(12) 매개로 충돌여부와 그 충돌방향 및 충돌방향으로 후단에 연결되는 카메라(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러(14)가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러(14)의 출력단에는 모터구동부(16)와 스텝모터 (18)를 매개로 충돌방향의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외면에 충격을 받을 때 충격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외면 충격 시 사진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중심에 3축 방향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차체의 외면에 충격을 받게 되면 충격방향을 감지한 후 카메라를 충격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충격물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외면 충격 시 사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외부 주차 시 차량간 접촉이나 또는 주행중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사고처리를 위하여 사진기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가해자나 피해자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고, 만일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켜 놓고 다른 곳에 가 있었을 경우, 타인이나 타차량에 의한 차량 파손 시 가해자가 자진하여 이야기 하지 않으면 속수무책이 된다.
또한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을 경우 충돌 또는 추돌시 그 순간을 포착하지 못하고 사고발생후 처리하다 보면 잘못이 없는 데에도 확실한 증거가 마련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차량사고는 사고가 난 그 순간의 차량간 위치의 포착이 중요하며, 위치가 변경되면 사고책임의 입증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사고당사들은 서로 합의될 때까지 또는 교통결찰관에 의해 중재가 이루어질 때까지 사고위치에 차량을 방치해 둔채 논쟁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혼잡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항상 사진기를 차량에 휴대하고 다닐 것을 권고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고발생시 사긴기를 소유하고 있으면 현장사진을 찍어 보전함으로써 차후에라도 사고순간을 재현할 수 있고 또한 잘잘못에 대한 입증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많은 사람들이 사진기 소지를 소홀히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사고가 나면 처리방법에 대해 곤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내에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카메라를 장착하고, 차량 외면에 충격을 받게 될 때 충격의 정도와 충격의 방향을 판단하여 카메라를 그 방향으로 자동 히전시켜 충격물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된 자동차의 외면 충격 시 사진촬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속도계 12 : 가속도계앰프, 14 : 콘트롤러,
16 : 모터구동부 18 : 스텝모터 20 : 카메라,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과 함께 그 충격방향을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충격감지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수단, 상기 증폭된 충력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충돌에 의한 충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로부터 외부차량에 의한 충격이라고 판단되면 충돌방향을 판단하여 그 충격물체의 촬영을 위해 충돌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이동시켜 충격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수단, 카메라를 충돌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모터구동수단 그리고 충돌물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예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외면에의 충돌을 감지하도록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가속도계(10)에 그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가속도계앰프(12)를 매개로 충돌여부와 그 충돌방향 및 충돌방향으로 후단에 연결되는 카메라(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러(14)가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러(14)의 출력단에는 모터구동부(16)와 스템모터(18)를 매개로 충돌방향으로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20)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가속도계(10)는 외부로부터 차체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 그 방향의 직각 가속도를 감지하여 충격방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3축 방향 가속도계로, 제1도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앞,뒤 범퍼와 내부와 좌,우 및 앞, 뒤 측면 도어내부등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곳이 아니고 여러 곳에 설치하게 되면 좀더 정확하게 충격의 정도난 충격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계(10)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가속도계앰프(12)를 통해 증폭되어 콘트롤러(14)로 입력되며, 그로부터 콘트롤러(14)는 충력의 방향과 충격의 크기를 판단하여 가속도게변위가 가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카메라(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카메라(20)는 차량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전??후??좌??우등 다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설치상 비용의 증가와 함께 구조적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루프패널의 내측에 하나의 카메라만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20)는 스템모터(18)의 축에 설치되어 스템모터 (18)가 콘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카메라(20) 대신에 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하여 충돌감지 시각부터 일정 시간 동안 충돌방향의 물체를 촬영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콘트롤러(14)가 충격감지와 함께 충격방향을 판단하게 되면 모터구동부(16)를 통해 스템모터(18)를 작동시켜 그 방향으로 카메라(20)를 회전시킴으로써 충격을 가한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진촬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내에 사람이 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주차가 예상되면 사진촬영장치를 작동시켜 놓는다.
이때 어느 방향에선가 충격이 가해지면 가속도계가 작동하여 충격방향과 충격변위에 대한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4)로 입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콘트롤러(14)에서는 가속도계(10)이 변위가 기준값보다 크게 되면 어떤 물체에 의해 충돌이 일어난 것이라고 판단하여 충돌방향을 확인한다.
총돌방향이 확인되면 콘트롤러(14)는 스텝모터(18)를 구동시켜 카메라(20)를 충돌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카메라(20)에 트리거신호를 송출하여 사진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안은 장시간 주차시 내부에 사람이 타고 있지 않아도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이 파손된 경우 충격물체의 사진촬영을 통해 증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 고안은 차량외면에의 충돌을 감지하도록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3축 방향 가속도계(10)에 그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가속도계앰프(12)를 매개로 충돌여부와 그 충돌방향 및 충돌방향으로 후단에 연결되는 카메라(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러(14)가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러(14)의 출력단에는 모터구동부(16)와 스템모터(18)를 매개로 충돌방향의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20)가 연결된 자동차의 외면 충격 시 사진촬영장치.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1359U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KR9800075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359U KR980007529U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359U KR980007529U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529U true KR980007529U (ko) 1998-04-30

Family

ID=4210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359U KR980007529U (ko) 1996-07-19 1996-07-19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75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15B1 (ko) * 2008-04-21 2009-01-23 주식회사 에지텍 차량으로부터 독립된 차량용 후방 및 측방영상 무선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15B1 (ko) * 2008-04-21 2009-01-23 주식회사 에지텍 차량으로부터 독립된 차량용 후방 및 측방영상 무선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WO2009131305A3 (ko) * 2008-04-21 2009-12-17 주식회사 에지텍 차량으로부터 독립된 차량용 후방 및 측방영상 무선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073B1 (ko) 캔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블랙박스 시스템
JP2009280109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4154335B2 (ja) ロールオーバー識別用装置
JP2007521182A (ja) 衝突検出システム
JP2003219412A (ja) 車載カメラの撮像画像記録装置
KR20120046645A (ko) 차량 운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0765889B1 (ko) 차량손상 모니터링 시스템
US20110221584A1 (en) System for Recording Collisions
KR980007529U (ko) 자동차의 외면 충격시 사진촬영장치
JP4531964B2 (ja) 盗難検知装置
JP2003104132A (ja) 同乗者モニタ装置
KR100794625B1 (ko) 룸미러 일체형 교통사고 자동녹화 시스템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JP2008017156A (ja) 車両用通信装置
KR19980026652A (ko) 차량 도난방지장치
KR101865178B1 (ko) 안전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644879B1 (ko) 차량의 사고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345200B1 (ko) 차량의 실외 모니터 시스템
KR102101965B1 (ko) 보안기능을 가진 차량용 블랙박스
TWI422505B (zh) 車輛安全系統
KR100547179B1 (ko) 에어백 제어시스템
JPH11316404A (ja) あて逃げ撮影装置
KR19980023631U (ko) 자동차 훼손현장 촬영장치
JPH0821160B2 (ja) 前方車両と自車両の相対位置監視装置
KR20160069850A (ko) 차량의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