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777U - 체인 블럭완구 - Google Patents

체인 블럭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777U
KR980006777U KR2019980001981U KR19980001981U KR980006777U KR 980006777 U KR980006777 U KR 980006777U KR 2019980001981 U KR2019980001981 U KR 2019980001981U KR 19980001981 U KR19980001981 U KR 19980001981U KR 980006777 U KR980006777 U KR 980006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block
male coupling
groov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Original Assignee
김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영 filed Critical 김관영
Priority to KR201998000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777U/ko
Publication of KR980006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777U/ko
Priority to KR2019990024211U priority patent/KR200178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체인식으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자유스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 블록완구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블록완구에 있어서는 수 결합부(10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 결합부(200)가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203)에 의하여 구분되어 조립된 내경이 블럭 몸체의 크기보다 넓게 되므로 간극이 벌어지게 되어 블럭의 조립을 완벽하게 실시할 수 없으며, 블록의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수 결합부에 결합되는 암 결합부를 결합편이 없이 일체로 형성하여 블럭의 연결 후 조립된 블럭의 내경이 블럭이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수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을 회동홈에 연접시켜 형성하여 블럭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블럭완구.

Description

체인 블럭완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조립식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인식으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자유스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러한 변형이 연결된 상태에서 절첩이 자유롭게 됨으로서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블럭완구이다.
현재 이와 같은 블럭 완구로는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결합부(100)의 양측면으로는 각각의 중양부에 회동홈(101)이 형성되고 회동홈(101)의 방사상으로는 다수개의 요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수 결합부(100)의 회동홈(1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회동돌기(201)와 이의 외측으로 1개의 걸림돌기(202)가 형성된 암 결합부(200)가 수결합부(100)와 격벽(203)에 의하여 직각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각각의 암 결합부(200)에 수 결합부(100)를 끼워 체인 블럭으로 사용하게 한 것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럭은 수 결합부(100)가 암결합부(200)에 서로 결합토록 되어 있어서 X,Y 축으로만 조립이 가능하여 X,Y,Z축으로 되는 3방향으로의 조립이 불가능하고 또한 암 결합부(200)와 수결합부(100)의 경계에 격벽(20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사각체로 조립되어 그 사이를 이용하여 직립되게 결합할 경우에 격벽(203)의 두께로 인하여 사각체로 형성된 내경(300)이 블럭 몸체의 크기보다 넓게 되므로 직립 되어지는 입체물을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또한 암 결합부(200)의 걸림돌기(202)를 이용하여 수결합부(100)에 삽입시 수 결합부(10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102)이 회동홈(101)과 연통되어 있지 않고 중간에 단절된 상태로 있으므로 삽입과 분리를 위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X,Y,Z축으로의 결합이 가능토록 하고, 수 결합부와 연결되는 암 결합부를 격벽이 없이 형성하여 다수개 조립 후 조립된 블럭의 내경이 블럭이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함으로서 체인블럭완구만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의 사용이 가능한 조립완구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체인블럭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또다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도2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도2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사각체로 연결되어 직립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블록이 3방향으로 결합토록 구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블록이 3방향으로 결합토록 또다른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4각체로 연결되어 직립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 결합부 2 : 결합편 3 : 수 결합부 4 : 개구부
5 : 회동돌기 6 : 요홈 7 : 걸림돌기 8 : 회동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수결합부(100)양측면으로는 중앙부에 형성된 회동홈(101)의 방사상으로 요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수 결합부(100)가 끼워져서 회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회동돌기(201)와 걸림돌기(202)가 형성된 암 결합부(200)가 수 결합부(100)와 직각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격벽(203)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공지의 체인 블럭완구에 있어서, 상기 암 결합부(1)를 구성하는 결합편(2)의 외벽으로 직각방향으로 또다른 수결합부(3a)또는 암결합부(1a)를 형성하고, 상기 암 결합부(1)의 전방으로는 개구부(4)가 형성토록 방향이 직각으로 전환토록 된 수 결합부(3)가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3)(3a)는 그 중앙부에 암결합부(1)의 회동돌기(5)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회동홈(8)이 요설되며 회동홈(8)의 방사상으로는 암결합부(1)의 걸림돌기(7)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6)의 어느 한 개는 회동홈(8)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암결합부(1)와 수결합부(3)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암결합부의 결림돌기가 수결합부의 요홈에 삽입되면서 암결합부의 회동돌기가 수결합부의 회동홈에 삽입토록 하기 위하여 걸림돌기를 수결합부의 요홈에 삽입시키면 1개의 요홈이 회동홈과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회동홈에 삽입된 회동돌기가 좌우로 회동될 경우에 1개의 요홈만이 회동홈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체인블럭이 연결된 후에는 쉽게 탈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반듯이 회동홈과 연통되어진 요홈에 걸림돌기를 위치시킨후 당기게 되면 탈리토록되는 것이다.
또한 암 결합부(1)의 결합편(2)에 형성되는 수결합부(3a)와 암결합부(1a)는 암결합부의 결합편과 방향이 전환토록 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블럭을 X,Y,Z축으로의 결합이 가능한 것이고 또한 암결합부(1)와 수결합부(3)를 연결할 경우에 격벽(203)을 제거하고 개구부(4)가 형성된 상태에서 직접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각체로 연결할 경우에도 그 내공간을 이용하여 직립되어지는 직립체를 결합할 경우에도 체인 블럭의 몸체와 동일한 내공간을 형성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블록완구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블럭을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을 구현하므로 입체적인 모양이나 각종 도형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아동들의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어 지능개발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고안인 것이고 조립을 위한 탈착이 용이하여 유아들이 취급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수 결합부(100)양측면으로는 중앙부에 형성된 회동홈(101)의 방사상으로 요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수 결합부(100)가 끼워져서 회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회동돌기(201)와 걸림돌기(202)가 형성된 암 결합부(200)가 수 결합부(100)와 직각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격벽(203)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공지의 체인 블럭 완구에 있어서, 상기 암 결합부(1)를 구성하는 결합편(2)의 외벽으로 직각방향으로 또다른 수결합부(3a)또는 암결합부(1a)를 형성하고, 상기 암 결합부(1)의 전방으로는 개구부(4)에 방향이 직각으로 전환토록 된 수 결합부(3)가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3)(3a)의 회동홈(8)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6)의 어느 한 개는 회동홈(8)과 연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블록완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80001981U 1998-02-16 1998-02-16 체인 블럭완구 KR980006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81U KR980006777U (ko) 1998-02-16 1998-02-16 체인 블럭완구
KR2019990024211U KR200178749Y1 (ko) 1998-02-16 1999-11-06 체인 블럭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81U KR980006777U (ko) 1998-02-16 1998-02-16 체인 블럭완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211U Division KR200178749Y1 (ko) 1998-02-16 1999-11-06 체인 블럭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77U true KR980006777U (ko) 1998-04-30

Family

ID=19531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981U KR980006777U (ko) 1998-02-16 1998-02-16 체인 블럭완구
KR2019990024211U KR200178749Y1 (ko) 1998-02-16 1999-11-06 체인 블럭완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211U KR200178749Y1 (ko) 1998-02-16 1999-11-06 체인 블럭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800067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03A1 (en) * 2005-05-31 2006-12-07 Magnet4U Co., Ltd Panel-type magnetic toy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23B1 (ko) * 2003-12-02 2007-04-27 주식회사 아이링고 체인블록완구
KR100870371B1 (ko) * 2007-09-11 2008-11-25 권혁숙 완구용 조립블록
KR200460490Y1 (ko) 2012-02-06 2012-05-24 유정근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WO2013118947A1 (ko) * 2012-02-06 2013-08-15 Yu Jong-Kun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KR200461024Y1 (ko) 2012-03-21 2012-06-15 유정근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AU2017100326A4 (en) * 2017-03-21 2017-04-20 Kma Concepts Ltd Construction Toy
KR101797171B1 (ko) 2016-05-10 2017-11-13 (주)아이링고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101642345B1 (ko) 2016-05-16 2016-07-29 주식회사 아이링고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을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102591375B1 (ko) * 2023-02-18 2023-10-19 김윤석 패널 결합 구조체
KR102565833B1 (ko) * 2023-02-18 2023-08-09 김윤석 패널 결합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03A1 (en) * 2005-05-31 2006-12-07 Magnet4U Co., Ltd Panel-type magnetic to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749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684Y1 (ko) 조립식 완구
US6736691B1 (en) Toy building set with interconnection by means of tenons with snap
US7980912B2 (en) Toy construction system with jaw components
KR200178749Y1 (ko) 체인 블럭완구
KR100596145B1 (ko) 회전결합부를 갖춘 모듈조립시스템
US6250986B1 (en) Building element for set of toy building blocks
MX2007015372A (es) Interconexiones entre juguetes de modulos armables de tipo bloque y barra y de tipo conector.
US5518434A (en) Snap fit and twistable toy construction modules
ES2217577T3 (es) Conjunto de juego de construccion.
ES2628310T3 (es) Un sistema de conectores para un armazón estructural
US4305221A (en) Block of members having interior interlock means
KR20000004177U (ko) 체인 블럭완구
US5538452A (en) Puzzle toy with hinge-linked members
KR920011546A (ko) 조립식 완구
KR101468130B1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5057049A (en) Hexagonal-shaped toy building block
ES2731128T3 (es) Productos de construcción modular y método de ensamblaje de los mismos
US4246718A (en) Interconnecting toy block arrangement
KR101525756B1 (ko) 돌기가 구비된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 완구 세트
EP3600585B1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200250665Y1 (ko) 텐트폴 연결구
KR100360080B1 (ko) 전방향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완구
KR200213588Y1 (ko) 블록완구
CN101310811A (zh) 一种玩具的连接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