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18947A1 -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18947A1
WO2013118947A1 PCT/KR2012/004468 KR2012004468W WO2013118947A1 WO 2013118947 A1 WO2013118947 A1 WO 2013118947A1 KR 2012004468 W KR2012004468 W KR 2012004468W WO 2013118947 A1 WO2013118947 A1 WO 20131189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ed
plate portion
link
sw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4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정근
Original Assignee
Yu Jong-K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0868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60490Y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2249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61024Y1/ko
Application filed by Yu Jong-Kun filed Critical Yu Jong-Kun
Priority to CN201280068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080521A/zh
Priority to EP12848770.9A priority patent/EP2813271A4/en
Publication of WO20131189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189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connection block for a prefabricated block to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assembled unit block at various angles in a state in which the unit block is connected and assembled to facilitate various types of sculptures or rotatable sculptures that can be moved. It relates to a rotating connecting block for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that can be made.
  •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configured to assemble a plurality of unit blocks of various shapes with each other to make an arbitrary sculpture, such prefabricated block toys are repeate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various sculptures b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ccording to the children's imagination.
  • the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culptures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the amusement of infants or children but also for educational purposes.
  • FIG. 16 illustrate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block toy.
  •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block toy includes unit blocks having grooves on which a protrusion 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1 can be fitted. It is configured,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in such a way that the projection of the unit block located in the lower side is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unit block located in the upper to make a variety of sculptures.
  • Fig. 17 show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block toy.
  • the conventional block toy includes not only the protrusions 1 and grooves on the bottom surface, but also a serrated male link 2 and an arm link that can be assembled to each other at the side surfaces. It is composed of the unit blocks (3) is formed, as well as the horizontal assembly of the left and right as well as the natural has the advantage of making a variety of sculptures more easily than the conventional block toys shown in FIG.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unit blocks to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to freely modify the assembly form between the various assembly of the moldings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tary block for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to assemble the sculptures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 a female link that can be assembled with the male link of the unit block is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lock body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ront,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inserted into the front, the sw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ale link that can be assembled with the female link of the unit block,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 vertically fastened to the inserted sw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wing member horizontally to the block body
  • a rotating connecting block for a prefabricated block toy that includes a shaft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wing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at regular radi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shaft member, at least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hen the swing member is rotated
  •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capable of being caught may be formed while being selectively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recess grooves.
  •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wing member on the basis of the shaft member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 a horizontal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upper end is formed with a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space, and a lower end of the block body is formed horizontally with a female link that can be assembled with the male link of the unit block, and the horizontal space
  • the plate part is rotatably received, and the shaft member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late part through the shaft hole, and the male link part which can be assembled with the female link of the unit block is horizontal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member penetrating the shaft hole.
  • a rotating block for a prefabricated block toy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 a plurality of recess groov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portion at a radial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reof,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portion may be selectively fitted to the plurality of recess grooves when the plate portion is rotated.
  • Control protrusions may be formed.
  •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portion is open to allow insertion of the plate portion, the insertion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haf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to allow passage of the shaft member when the plate portion is inserted, the horizontal
  • the upper and lower front ends of the space portion may have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separation of the plate member inserted therein.
  •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is opened to allow the insertion of the plate portion
  • the insertion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haf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to allow the passage of the shaft member when the plate portion is inserted, the shaft Both ends of the member may be formed to protrude through the insertion passage to prevent the separation when the state is accommodated in the shaft hole to prevent the separation.
  • the rotary connection block for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while rotating at various angle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culptures to make the angle between the unit blocks in the assembly process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more various sculptures have.
  • the rotary connection block and the assembled uni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fire truck, a crane, a rotating structure, a robot arm or a rotating arm, legs,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block for a prefabricated block to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state of the shaft member
  • 4 to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state of assembling and rotating the unit block in the rotary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connecting block for prefabricated block toy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space by partially cut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body
  • FIG. 1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rotation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 14 and 15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nit block is assembled and rotated in the rotary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and 17 are conventional examples illustrating one example and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block toy.
  • FIGS. 1 to 3 are diagrams showing a rotating block for a prefabricated block t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tary connecting block”),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ry connection block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 body 110, a swing member 120, the shaft member 130.
  • the block body 110 includes an upper body 111, a lower body 112, and a rear portion 113.
  •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are parallel to the front in the rear portion 113. It is exten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is provided with a space (S).
  • the rear portion 113 is formed with a female link 114 that can be assembled with the male link of the other unit block, each of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the shaft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same position Shaft fasteners 115 that can be fastened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116 is formed. That is,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116 may be form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11 or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2, as shown in Figure 2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11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on bo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2.
  • the swing member 120 has a flat plate shape and is inserted into a spaced space S between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 the front is assembled with the arm link of the other unit block
  • This possible male link 122 is provided.
  • the female link 114 and the male link 122 formed in the block body 110 and the swing member 120 are all elements for assembling other unit blocks, and the female link 114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links 122 are ser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 the swing member 120 has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123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recess groove 1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wing member 120 when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116 is formed on the upper body 111 in response to the formation of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116. If the protrusion 116 is formed on the lower body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wing member 120, the angle adjusting projection 116 is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as shown in the drawings If both sides are forme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wing member 120 are formed on both sides.
  • the concave groove 123 is formed at a radial constant angle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shaft hole 121, that is, about the shaft member 130 penetrating the shaft hole 121, the forming angle is 30 as shown Various adapt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design changes, including °.
  •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116 is radially formed at every rotation angle thereof.
  • the shaft member 130 is fasten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shaft fasteners 115 of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and the shaft hole 121 of the swing member 120 to the swing member 120. ) Is coupled to the block body 110 to enable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130.
  • the shaft member 130 is composed of a head 131 and a rod 132 extending from the head 131,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od 132 is cut in the middle is divided into both sides and the outer surface Inclined protrusions 133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head 131 is supported by the inner locking jaw 115a of the shaft fastener 115 formed in the lower body 112, and the tip portion of the rod 132 is divided.
  • the inclined protrusion 133 is caught while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so that the shaft member 130 is fastened. do.
  • the swing member 120 rotates with the shaft member 130 as the rotation center, and the swing member 120.
  • the male link 12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wing member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during the rotation of the swing member 120
  • the swing member 120 itself is also spaced apart (S). 2)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on the basis of the shaft member 130, as shown in Figure 2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to the rear portion 113
  • the rear end of the swing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semi-symmetrical mutually.
  • the male link 114 of the unit block 300 desired to be assembled is inserted into the female link 114 formed on the block body 110 of the rotary connection block 100, and then swinged.
  • the unit blocks 300 and 400 are assembled to the rotary connection block 100 by fitting the male link 410 of the other unit block 400 to the male link 122 of the member 120.
  • Figures 7 to 12 is a view showing a rotary block for assembly prefabricated block to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tation connecting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ry connection block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 body 210 and a rotating member 220.
  • a horizontal space 211 is formed inside the block body 2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211 is opened.
  • a shaft hole 21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block body 210 to communicate with the horizontal space 211, and an inser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haft hole 212 in front of the shaft hole 212. 213 is formed incision.
  •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210 is horizontally formed with a female link 214 that can be assembled with the male link of the other unit block.
  •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215 is formed in the horizontal space 211, and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sid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211.
  • the rotating member 220 is a component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block body 210, the rotating member 220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space portion 211 of the block body 210.
  • the plate member 221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pace 211 through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pace 211.
  • the plate part 221 accommodated in this way is freely rotatable in the horizontal space 211,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221 to fix the rotation of the plate portion 221 with a constant force at various angles
  • a plurality of recess grooves 222 to which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15 can be selectively fitted are formed.
  •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22 are formed at radial constant angle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te portion 221, the formation angle of which is within the range of design changes, including 30 ° as shown in FIG. It can be variously adopted.
  •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215 is selectively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recess groove 222, thereby maintain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plate member 221 for each angle with a fixed fixing force.
  • the shaft member 223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late member 221 to pass through the shaft hole 212 and rotate integrally with the plate member 221.
  • the shaft member 223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passage 21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210 when the plate member 221 is inserted, and the shaft member 223 of the insertion passage 213.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nd the length that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in the shaft hole (212).
  • the male link 224 is provide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member 223 penetrating through the shaft hole 212, and is positioned above the block body 210.
  • the male link 224 can be assembled with the female link of the other unit block, and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plate portion 221 and the shaft member 223.
  • the lower end of the male link 224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member 223 and has a wider width than the male link 224 and a support plate 225 supporting the male link 224 is further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 the rotating member 22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late member 22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horizontal space 211 and at the same time the shaft member 223 also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passage 213.
  • the installed state that is, the plate member 221 and the shaft member 223 in the state that is rotatably accommodated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space 211 and the shaft hole 212, respectively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employed so that the body 21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210.
  • a locking jaw 216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rizontal space 211, and the locking jaw 216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latching jaw 216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ircular arcs as shown in FIG. 9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plate portion 221.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s shown in Figure 12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shaft member 223, the locking protrusion 223a, the locking protrusion 223a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shown
  • the shaft member 223 may pass through the insertion path 213 when a force is applied to pass the insertion path 213.
  • the shaft member 223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ath 213, the shaft member 223 may be positioned in the shaft hole 212. Since the passage of the shaft member 223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suppressed by the separation of the shaft member 223 is prevented.
  • the male link 214 formed on the block body 210 and the male link 224 provided on the rotating member 220 are all elements for assembling other unit blocks, the female link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214 is a toothed sha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le link 22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 the rotary connection block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rotate the rotating member 220 with respect to the block body 210 at various angles as shown in FIG. 13, first, as shown in FIG. 14. Assemble the male link of the unit block 300 to be assembled to the female link 214 formed in the block body 210 of the 200 and another unit block 400 to the male link 224 of the rotating member 220 By assembling the arm link of the unit blocks (300, 400) are assembled to the rotary connection block 200.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가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서 상몸체와 하몸체가 상호 이격되어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가 구비된 스윙부재와,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및 상기 삽입된 스윙부재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스윙부재를 블록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된 단위블록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 또는 움직임이 가능한 회전식 조형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위블록이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된 단위블록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 또는 움직임이 가능한 회전식 조형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블록을 서로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조립식 블록완구는 어린이의 상상력에 따라 조립 및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반복적으로 조립해 볼 수 있음과 함께 조형물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또는 어린이의 유희뿐만 아니라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도 16에는 종래 조립식 블록완구의 대표적인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상면에 돌기(1)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기(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단위블럭들로 구성이 되며, 하측에 위치된 단위블록의 돌기가 상부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다수 개의 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블록완구는 단위블럭들을 상하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 위주이기 때문에 단위블럭들을 평면상에서 연결 조립하는 것이 부자연스러워 조립할 수 있는 조형물이 한정되고 다양한 조형물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도 17에는 종래 조립식 블록완구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블록완구는 상면의 돌기(1)와 저면의 홈 뿐만 아니라 측면부에 서로 조립이 가능한 톱니 형상의 수링크(2)와 암링크(3)가 형성된 단위블록들로 구성이 되며, 상하 조립뿐만 아니라 좌우 수평 조립이 자연스러워 상기 도 16에 도시된 종래 블록완구에 비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도 어느 하나의 단위블록에 다른 하나의 단위블록을 조립하게 되면 조립된 단위블록 상호 간에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다양한 조형물을 표현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음과 함께 조립이 완료된 조형물의 형상을 전혀 변형시킬 수가 없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조형물, 예컨대 소방차나 기중기와 같은 구조물, 로봇이나 동물 등의 회전식 팔이나 다리 등을 효율적으로 형상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블록들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블록간의 조립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조형물의 조립이 가능함과 함께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가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서 상몸체와 하몸체가 상호 이격되어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가 구비된 스윙부재와,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및 상기 삽입된 스윙부재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스윙부재를 블록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스윙부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요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윙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다수의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이 가능한 각조절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의 전단부분과 상기 스윙부재의 후단부분이 상호 대칭인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부에 수평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수평공간부와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부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수평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판재부가 수용되고, 상기 판재부의 중심에서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축부재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축공을 관통한 축부재의 상단에는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부가 수평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이 또한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판재부의 하단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요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간부의 하면에는 상기 판재부의 회전시 상기 다수의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이 가능한 각조절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부의 삽입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면은 개방되고, 판재부의 삽입시 상기 축부재의 통과가 가능하게 블록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축공과 연통하는 삽입통로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단 상하면에는 삽입 수용된 상기 판재부의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부의 삽입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면은 개방되고, 판재부의 삽입시 상기 축부재의 통과가 가능하게 블록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축공과 연통하는 삽입통로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하여 축공에 수용된 상태일 때 그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에 따르면, 조립과정에서 단위블록 상호간의 각도를 만들고자 하는 조형물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조립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조형물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본 발명의 회전연결블록과 조립된 단위블록을 다양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소방차, 기중기와 같은 회전구조물, 로봇이나 동물의 회전식 팔, 다리 등, 즉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조형물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축부재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블록에 단위블록을 조립 및 회전시킨 상태를 각각 예시한 사용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블록몸체의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수평공간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회전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판재부의 요입홈을 나타내는 도면(뒤집힌 상태임)이고,
도 12는 축공을 관통한 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회전연결블록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블록에 단위블록을 조립 및 회전시킨 상태를 각각 예시한 사용예시도이며,
도 16과 도 17은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일 예와 다른 예를 각각 예시한 종래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 또는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이하, “회전연결블록”이라 함.)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블록(100)은 블록몸체(110)와, 스윙부재(120)와, 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10)는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및 후면부(113)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는 상기 후면부(113)에서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이 되며, 상호간 소정 간격으로 이격이 됨으로써 상몸체(111)와 하몸체(112)의 사이에는 이격공간(S)이 마련된다.
상기 후면부(113)에는 다른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114)가 형성되고,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각각에는 동일한 위치에 후술할 축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는 축체결구(115)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조절돌기(1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각조절돌기(116)는 상몸체(111)의 저면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하몸체(112)의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몸체(111)의 저면과 하몸체(112)의 상면 양쪽에 모두 형성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윙부재(120)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사이의 이격공간(S)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스윙부재(120)의 중앙에는 상기 축체결구(115)와 대응하여 후술할 축부재(130)에 의해 관통이 되는 축공(121)이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다른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몸체(110)와 스윙부재(120)에 형성되는 암링크(114)와 수링크(122)는 모두 다른 단위블록과의 조립을 위한 요소로서 암링크(114)는 내주면에 그리고 수링크(122)는 외주면에 각각 톱니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스윙부재(120)는 그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요입홈(1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홈(123)은 상기 각조절돌기(116)의 형성에 대응하여, 각조절돌기(116)가 상몸체(111)에 형성된 경우에는 스윙부재(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각조절돌기(116)가 하몸체(112)에 형성된 경우에는 스윙부재(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각조절돌기(116)가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양쪽에 모두 형성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스윙부재(120)의 상면과 하면 양쪽에 모두 형성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입홈(123)은 상기 축공(121)을 중심으로, 즉 축공(121)을 관통하는 축부재(13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이 되는데, 그 형성각도는 도시된 것처럼 30°를 포함하여 설계변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윙부재(120)의 요입홈(123)과 블록몸체(110)의 상기 각조절돌기(116)를 통해, 스윙부재(120)가 회전되면 그 회전각도마다 각조절돌기(116)가 방사상 형성된 다수의 요입홈(123)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으로써 스윙부재(120)의 회전상태를 일정한 고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축부재(130)는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 각각의 축체결구(115) 및 스윙부재(120)의 축공(12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윙부재(120)를 블록몸체(110)에 축부재(13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축부재(130)는 헤드(131)와, 헤드(131)에서 연장되는 로드(132)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132)의 선단부는 가운데가 절개되어 양쪽으로 분할이 됨과 함께 그 외측면에는 경사돌부(133)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헤드(131)가 하몸체(112)에 형성된 축체결구(115)의 내측 걸림턱(115a)에 지지됨과 함께 분할된 로드(132)의 선단부가 좁혀지면서 상몸체(112)에 형성된 축체결구(115)의 내측 걸림턱(115a)을 통과한 후 원상으로 복귀하면서 경사돌부(133)가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축부재(13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부재(130)를 통해 블록몸체(110)와 스윙부재(12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윙부재(120)는 축부재(13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되는데, 스윙부재(120)의 회전시 상기 스윙부재(120)의 전면에 구비된 상기 수링크(122)가 상몸체(111)와 하몸체(112)에 간섭되지 않음과 함께 스윙부재(120) 자체도 이격공간(S) 내에서 후면부(113)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이 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축부재(13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몸체(111)와 하몸체(112)의 전단부분과 상기 스윙부재(120)의 후단부분이 상호 대칭인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연결블록(100)의 블록몸체(110)에 형성된 암링크(114)에 조립을 원하는 단위블록(300)의 수링크(310)를 끼워 조립하고 스윙부재(120)의 수링크(122)에 또 다른 단위블록(400)의 암링크(410)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단위블록들(300, 400)을 회전연결블록(100)에 조립한다.
그리고 만들고자 하는 조형물의 형상에 따라 단위블록들(300, 400)이 일정각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윙부재(120)에 조립된 단위블록(400)을 잡고 회전을 시킨다. 그러면, 스윙부재(120)가 회전되면서 원하는 각도에서 각조절돌기(116)가 요입홈에 걸리게 됨으로써 단위블록들(300, 400)을 원하는 각도로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스윙부재(120)를 90°회전시킨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렇게 조립과정에서 단위블록들(300, 4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조형물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을 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로봇이나 동물 등의 조형물을 조립할 때 팔이나 다리 등과 같이 굽힘이나 펼침이 필요한 관절부위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이하, “회전연결블록”이라 함.)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블록(200)은 블록몸체(210)와, 회전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210)의 내부에는 수평공간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공간부(211)의 전면은 개방이 된다.
상기 블록몸체(210)의 상단에는 그 중앙에 상기 수평공간부(211)와 연통이 되는 축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212)의 전방으로는 상기 축공(212)과 연통되는 삽입통로(213)가 절개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210)의 하단에는 다른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214)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공간부(211)에는 각조절돌기(215)가 형성되는데, 상기 각조절돌기(215)는 수평공간부(211)의 후단측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0)는 상기 블록몸체(21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한 요소로서, 이러한 회전부재(220)는 상기 블록몸체(210)의 수평공간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이 되는 원형판 형태의 판재부(221)와, 상기 판재부(221)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블록몸체(210)의 축공(212)을 관통하는 축부재(223)와, 상기 축부재(223)의 상단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수링크(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재부(221)는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공간부(21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수평공간부(211)에 삽입 수용이 된다.
이렇게 수용된 판재부(221)는 수평공간부(21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판재부(221)의 회전을 다양한 각도에서 일정한 힘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판재부(221)의 하단에는 상기 각조절돌기(215)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요입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요입홈(222)은 판재부(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이 되는데, 그 형성각도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30°를 포함하여 설계변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부(221)의 요입홈(222)과 상기 수평공간부(211)에 형성된 각조절돌기(215)를 통해, 상기 판재부(221)가 회전되면 요입홈(222)이 형성된 회전각도마다 상기 각조절돌기(215)가 해당 요입홈(22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으로써 각도별 판재부(221)의 회전상태를 일정한 고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축부재(223)는 상기 판재부(221)의 중심에서 상향 돌출되어 축공(212)을 관통함과 함께 판재부(221)와 일체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축부재(223)는 판재부(221)의 삽입시 블록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통로(213)를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축부재(223)는 상기 삽입통로(213)의 통과가 가능한 폭과 상기 축공(212) 내에서 간섭없이 회전이 가능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링크(224)는 상기 축공(212)을 관통한 축부재(223)의 상단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바, 상기 블록몸체(210)의 상부에 위치가 된다.
이러한 수링크(224)는 다른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판재부(221) 및 축부재(223)와 일체로 회전이 된다.
그리고, 상기 수링크(224)의 하단에는 상기 축부재(223)의 상단에 고정됨과 함께 수링크(224)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수링크(224)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225)이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회전부재(220)는 전술한 것처럼 판재부(221)가 수평공간부(21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서 삽입됨과 동시에 축부재(223) 또한 삽입통로(213)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블록몸체(210)에 설치가 되는데, 설치된 상태 즉, 판재부(221)와 축부재(223)가 각각 수평공간부(211)와 축공(21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는 블록몸체(210)로부터 쉽게 이탈이 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공간부(211)의 전단측 상하면에 걸림턱(2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턱(216)은 그 단면이 원호 형태로서 판재부(221)에 힘을 가해 수평공간부(211)에 억지 삽입시킬 때는 판재부(221)를 통과시키지만, 판재부(221)가 통과된 상태에서는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판재부(22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턱(216)은 상기 판재부(221)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 개가 원호 형태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축부재(223)의 양단에 걸림돌부(223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돌부(223a)는 도시된 것처럼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힘을 가해 삽입통로(213)를 통과시킬 때는 상기 축부재(223)가 삽입통로(213)를 통과할 수 있지만, 통과되어 축공(212) 내에 위치가 된 후에는 상기 걸림돌부(223a)에 의해서 반대방향으로 축부재(223)가 통과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축부재(223)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블록몸체(210)에 형성된 암링크(214)와 회전부재(220)에 구비되는 수링크(224)는 모두 다른 단위블록과의 조립을 위한 요소로서, 암링크(214)는 내주면에 그리고 수링크(224)는 외주면에 각각 톱니형상이 형성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회전연결블록(200)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몸체(210)에 대하여 회전부재(22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바, 먼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연결블록(200)의 블록몸체(210)에 형성된 암링크(214)에 조립을 원하는 단위블록(300)의 수링크를 끼워 조립하고 회전부재(220)의 수링크(224)에 또 다른 단위블록(400)의 암링크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단위블록들(300, 400)을 회전연결블록(200)에 조립한다.
그리고 만들고자 하는 조형물의 형상에 따라 단위블록들(300, 400)이 일정각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부재(220)에 조립된 단위블록(400)을 잡고 회전을 시킨다. 그러면, 회전부재(220)가 회전되면서 원하는 각도에서 각조절돌기(215)가 요입홈(222)에 걸리게 됨으로써 단위블록들(300, 400)을 원하는 각도로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에는 회전부재(220)를 90°회전시킨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렇게 조립과정에서 단위블록들(300, 400) 상호간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조형물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을 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자유로운 회전이 요구되는 소방차나 기중기 등과 같은 조형물이나 로봇이나 동물 등의 관절 등과 같은 조형물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Claims (7)

  1.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가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서 상몸체와 하몸체가 상호 이격되어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블록몸체;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며, 그 전면에는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가 구비된 스윙부재; 및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및 상기 삽입된 스윙부재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스윙부재를 블록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요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윙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다수의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이 가능한 각조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의 전단부분과 상기 스윙부재의 후단부분이 상호 대칭인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4. 내부에 수평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수평공간부와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단위블록의 수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암링크부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블록몸체; 및
    상기 수평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판재부가 수용되고, 상기 판재부의 중심에서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축부재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축공을 관통한 축부재의 상단에는 단위블록의 암링크와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부가 수평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의 하단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 일정각도 간격으로 요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간부의 하면에는 상기 판재부의 회전시 상기 다수의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이 가능한 각조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의 삽입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면은 개방되고, 판재부의 삽입시 상기 축부재의 통과가 가능하게 블록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축공과 연통하는 삽입통로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단 상하면에는 삽입 수용된 상기 판재부의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의 삽입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공간부의 전면은 개방되고, 판재부의 삽입시 상기 축부재의 통과가 가능하게 블록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축공과 연통하는 삽입통로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하여 축공에 수용된 상태일 때 그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PCT/KR2012/004468 2012-02-06 2012-06-07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WO20131189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68802.5A CN104080521A (zh) 2012-02-06 2012-06-07 用于组装块体玩具的旋转连接块
EP12848770.9A EP2813271A4 (en) 2012-02-06 2012-06-07 ROTARY CONNECTION BLOCK FOR ASSEMBLY BLOCK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68 2012-02-06
KR2020120000868U KR200460490Y1 (ko) 2012-02-06 2012-02-06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KR20-2012-0002249 2012-03-21
KR2020120002249U KR200461024Y1 (ko) 2012-03-21 2012-03-21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8947A1 true WO2013118947A1 (ko) 2013-08-15

Family

ID=4894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468 WO2013118947A1 (ko) 2012-02-06 2012-06-07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813271A4 (ko)
CN (1) CN104080521A (ko)
WO (1) WO2013118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2688B2 (en) 2015-10-23 2017-10-10 Kma Concepts Limited Linkable toy elements with enhanced acoustic properties
CN109499074A (zh) * 2017-09-15 2019-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玩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49Y1 (ko) * 1998-02-16 2000-04-15 주식회사링고 체인 블럭완구
KR200384320Y1 (ko) * 2005-02-11 2005-05-13 윤봉석 자석놀이완구의 관절 연결 구조
KR200401684Y1 (ko) * 2005-08-31 2005-11-21 천선우 조립식 완구
KR20110068132A (ko) * 2009-12-15 2011-06-22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9638A (en) * 1946-05-22 1952-09-09 Ray S Lindenmeyer Construction toy connector
DK87289A (da) * 1989-02-24 1990-08-25 Lego As Sammenkoblingsorgan til et legetoejsbyggesaet
US5172534A (en) * 1991-04-02 1992-12-22 Adl Partners Chainable building blocks
DK172267B1 (da) * 1991-11-06 1998-02-16 Lego As Legetøjsbyggesæt og byggeelementer dertil
CN1103618C (zh) * 1995-06-26 2003-03-26 莫芬研究有限公司 结构玩具
US5769681A (en) * 1996-01-25 1998-06-23 Greenwood, Sr.; Donald Lee Open-ended toy construction system
US5752869A (en) * 1996-02-01 1998-05-19 Huff; Randolph W. Toy construction set
KR100712423B1 (ko) * 2003-12-02 2007-04-27 주식회사 아이링고 체인블록완구
KR20110028698A (ko) * 2009-09-14 2011-03-22 강현자 조립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49Y1 (ko) * 1998-02-16 2000-04-15 주식회사링고 체인 블럭완구
KR200384320Y1 (ko) * 2005-02-11 2005-05-13 윤봉석 자석놀이완구의 관절 연결 구조
KR200401684Y1 (ko) * 2005-08-31 2005-11-21 천선우 조립식 완구
KR20110068132A (ko) * 2009-12-15 2011-06-22 천선우 원활한 단계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3271A1 (en) 2014-12-17
EP2813271A4 (en) 2015-11-18
CN104080521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5505A1 (ko) 조립식 완구
US3310906A (en) Toy construction blocks and assembly
WO2017086560A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JPS63133812A (ja) 可撓性ケーブル・ガイド
WO2013118947A1 (ko) 조립식 블록완구용 회전연결블록
EP2953696A2 (en) Toy figure assembly
WO2013172488A1 (ko)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EP2082791B1 (en) Construction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US4306372A (en) Building block set
WO2014025204A1 (en) Surgical robot hand with decoupled wrist structure
WO2011126226A2 (ko) 로봇 손가락 기구
WO2017209344A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US20220339551A1 (en) Transformable modular toy element
WO2013119055A1 (ko) 조립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용 완구
GB2563146A (en) Play structure tube connector and system
CA2346819C (en) A toy building set
WO2019235785A1 (ko) 철근 커플러
WO2017090846A1 (ko) 조립식 블록
US20170341226A1 (en) Robot joint structure
WO2013157819A1 (ko) 케이블캐리어용 링크 결합 구조
WO2020167035A1 (ko) 양방향 체결돌기를 갖는 레고식 블록 조립체
WO2014193195A1 (ko) 조립식 완구의 관절구조
WO2012067345A2 (ko) 자석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자석완구
WO2023038423A1 (ko)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WO2024053859A1 (ko) 자석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자석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487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487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87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