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279U -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279U
KR980006279U KR2019980001928U KR19980001928U KR980006279U KR 980006279 U KR980006279 U KR 980006279U KR 2019980001928 U KR2019980001928 U KR 2019980001928U KR 19980001928 U KR19980001928 U KR 19980001928U KR 980006279 U KR980006279 U KR 980006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aist length
band portion
adjustment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김동일
Original Assignee
김태진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김동일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2019980001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279U/ko
Publication of KR980006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279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복 하의 허리길이를 허리둘레에 맞게 신축조절 가능하게 한 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둔다.
이와같은 기술적 과제의 본 고안은, 허리부분에서 분할되고, 주머니(40)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제2의 허릿단(10)(12) 및 상기 복수 허릿단(10)(12)을 서로 대응 접촉시켜 허리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바지 허리길이 조절구조로서 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은,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돌기(22)를 수직 형성하고, 상기 제1허릿단(10)에 브릿지형으로 봉접된 밴드부(20) 하부 개방의 사각통형 선단측에 하향 걸림편(37)을 형성하고, 이 상부틀에 결합되어 밴드부(20)의 가이드 공간(36)을 이루면서, 바닥으로 체착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33)에 축지는 축돌기(34)를 형성한 하부틀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20)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신축 이동 가능한 조절구(30) 및 상기 조절구(30)에 상기 제2허릿단(12)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허릿단(12)에 끼워져 상기 조절구(30)의 결착공(31)에서 결착되는 이빨(32a)을 형성한 고정구(32)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하의는 허리길이를 착용자의 허리둘레 맞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교복 하의(下衣) 허리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두 개로 분할됨과 동시에 길이 조절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하의 허릿단으로 되는 것에 의하여 성장기 학생들의 허리 둘레에 따라 바지나 치마의 허릿단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장기에 있는 중, 고등학교 학생들은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학생들의 바지나 치마가 학년이 바뀔 때마다 허리둘레가 맞지 않아 못입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같은 교복 하의가 갖는 폐단은 치마나 바지의 허리둘레가 일정하게 한정되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바지나 치마가 갖는 허리둘레 한정으로 인한 불필요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의 허리길이를 적당히 조절하게 하는 하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실시도니 교복 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제1허릿단과 제2허릿단의 결합 상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조절구가 밴드부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길이 조절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바지 2:치마 10:제1허릿단 12:제2허릿단
20:밴드부 21:수지밴드 22:걸림돌기 30:조절구
31:결착공 32:고정구 32a:이빨 33:축핀
35:누름편 36:가이드 공간 37:걸림편 40:주머니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복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분에서 분할되고, 주머니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제2의 허릿단 및 상기 복수의 허릿단을 서로 대응 접촉시켜 허리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고안의 상기 조절수단은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수직 형성하고, 상기 제1허릿단에 브릿지형으로 봉접된 밴드부와 하부 개방의 사각통형 선단측에 하향 걸림편을 형성하고, 후단은 상향 누름편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축공을 형성한 상부틀과, 이 상부틀에 결합되어 밴드부의 가이드 공간을 이루면서, 바닥으로 체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에 축지되는 축돌기를 형성한 하부틀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신축 이동 가능한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에 상기 제2허릿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허릿단에 끼워져 상기 조절구의 결착공에서 결착되는 이빨을 형성한 고정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바지 혹은 치마의 주머니 부분에 형성하므로서 남, 여학생 모두에 적용하여 성장기 학생들의 허리 둘레에 맞게 허릿단을 신축 조절하므로서 그동안 허리가 맞지 않아 못입고 버리게 되는 낭비의 문제점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제1도은 본 고안이 실시된 교복 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며, 본 고안은 허리부분에서 분할되고, 주머니(40)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제2의 허릿단(10)(12)과, 상기 복수의 허릿단(10)(12)을 서로 대응 접촉시켜 허리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 제2도는 본 고안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제1허릿단과 제2허릿단의 결합 상태분리 사시도이고, 제3도은 본 고안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조절구가 밴드부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조절수단은 밴드부(20)와, 조절구(30)과, 고정구(3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밴드부(20)는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돌기(22)를 수직 형성하고, 상기 제1허릿단(10)에 브릿지형으로 봉접된다.
상기한 조절구(30)는 하부 개방의 사각통형 선단측에 하향 걸림편(37)을 형성하고, 후단은 상향 누름편(35)을 형성하여, 양측에는 축공(33)을 형성한 상부틀과, 이 상부틀에 결합되어 밴드부(20)의 가이드 공간(36)을 이루면서, 바닥으로 체착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33)에 축지되는 축돌기(34)를 형성한 하부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2)는 상기 조절구(30)에 상기 제2허릿단(12)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허릿단(12)에 끼워져 상기 조절구(30)의 결착공(31)에서 결착되는 이빨(32a)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을,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측단면도와, 허리길이 조절구조의 길이 조절작용을 나타내는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누름편(35)을 누르면, 축돌기(34)가 축공(31)을 축점으로 회동되어 걸림편(370이 밴드부(20)의 걸림돌기(22)로부터 해제되어 조절구(3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물론, 누름편(35)을 놓으면, 원복되어 돌기(22)에 다시 걸리게 된다.
제4도에서는 상기와 같은 걸림이 해제된 조절구(30)가 밴드부(20)을 따라 이동됨을 나타내기도 한다.
즉, 제4도는 조절구(30)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a만큼 이동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제2허릿단(12) 일체의 조절구(30)를 브릿지형으로 봉접된 제1허릿단(10)에서 조절구(30)의 해제, 원복으로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허릿단의 길이를 증가된 허리 둘레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길이 조절수단을 바지와 치마에 모두 적용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학생들의 바지나 치마의 허릿단 길이를 일정하게 한정시키지 않고 허리의 성장에 맞추어 허리길이를 적절히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학기도중이나 혹은 학년이 바뀔 때마다 허리에 맞는 새 바지나 치마를 구입하게 되는 폐단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일반 성인들의 바지나 치마에도 적용할 수 있어 갑자기 늘어난 허리둘레로 인해 바지나 치마를 입지 못한단 문제를 개선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교복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분에서 분할되고, 주머니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제2의 허릿단 및 상기 복수의 허릿단을 서로 대응 접촉시켜 허리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교복 하의 허리 길이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수직 형성하고, 상기 제1허릿단에 브릿지형으로 봉접된 밴드부와 하부 개방의 사각통형 선단측에 하향 걸림편을 형성하고, 후단은 상향 누름편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축공을 형성한 상부틀과, 이 상부틀에 결합되어 밴드부의 가이드 공간을 이루면서, 바닥으로 체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축고에 축지되는 축돌기를 형성한 하부틀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신축 이동 가능한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에 상기 제2허릿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허릿단에 끼워져 상기 조절구의 결착공에서 이빨을 형성한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수단이 치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복 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80001928U 1998-02-16 1998-02-16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KR980006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28U KR980006279U (ko) 1998-02-16 1998-02-16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28U KR980006279U (ko) 1998-02-16 1998-02-16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279U true KR980006279U (ko) 1998-04-30

Family

ID=6971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928U KR980006279U (ko) 1998-02-16 1998-02-16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2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8903132T2 (de) Einstellbarer verschluss.
US4937885A (en) Head covering
DE602004012137T2 (de) Verstellbare Hose
US2911653A (en) Trouser support
US5029370A (en) Shoe closure
KR980006279U (ko) 교복하의 허리길이 조절구조
CH719354A2 (de) Verschluss mit Längenregulierungsvorrichtung.
DE102016104877B4 (de) Orthopädietechnische Einrichtung
US2640242A (en) Adjustable buckle for the body of artificial limbs
SE8901319D0 (sv) Anordning vid urarmband, skaerp eller liknande band med staellbart spaenne och roerlig soelja
DE1523841A1 (de) Armbanduhr
KR200208621Y1 (ko) 허리단용 신축 가변장치
KR200235276Y1 (ko) 허리띠 버클
DE840082C (de) Beinschutzvorrichtung
KR960000898Y1 (ko) 벨트의 내외측 위치변경과 미세조절 기능을 갖는 버클
SE8100343L (sv) Lasbar instellningsanordning
KR101912448B1 (ko) 신축 가능한 교환식 버클 결합 장치
DE19523669C2 (de) Schuh
US319175A (en) Drawees
KR960002972Y1 (ko) 의복용 허리띠의 착탈장치
FI90389B (fi) Esisolmittu, säädettävä solmio
KR200356392Y1 (ko) 어린이용 앞치마
ES2046008T3 (es) Cinturon para pantalones, faldas y similares.
GB212607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ootwear
ATE133540T1 (de) Sicherheitsreissverschlu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