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8513A -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8513A
KR970068513A KR1019970008121A KR19970008121A KR970068513A KR 970068513 A KR970068513 A KR 970068513A KR 1019970008121 A KR1019970008121 A KR 1019970008121A KR 19970008121 A KR19970008121 A KR 19970008121A KR 970068513 A KR970068513 A KR 97006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signal
timing signal
image pickup
charg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찌 미쯔다니
아기히로 기구찌
주니끼 사가가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97006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3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픽업 장치는, 다수의 광 수신 영역, 전하 전달 영역, 전하 판독 게이트 영역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와, 라인 및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 신호 생성 수단과,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가 맞춰진 제1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와 비동기의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1또는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각각 동기가 맞춰진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과,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에 따라 각각 게이트 구동 신호와 전하전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구동 신호와 전하 전달 구동 신호를 전하 판독 게이트 영역과 전하 전달 영역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 생성 수단과, 제공된 광 수신 명령 신호에 따라, 소정의 기간 중 타이밍 신호 생성기가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각각 동기가 맞춰지는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여,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위한 광 수신 기간이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동작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1A 내지 도1D는 이전에 제안된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광 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Claims (6)

  1.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에 있어서, 광 수신에 의해 생성된 전하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광 수신 영역, 전하를 전달하기 위한 전하 전달 영역, 광 수신 영역에 저장된 전하를 판독하여 상기 전하전달 영역에 입력시키기 위한 전하 판독 게이트 영역 및 상기 전하 전달 영역을 통해 전달된 전하를 영상 픽업 신호 출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을 갖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와, 라인 및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 신호 생성 수단과, 프레임 동기 신호 또는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로부터의 고정된 위상 차이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제1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 및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와 비동기의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중 하나와 각각 동기가 맞춰진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과,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에 따라 각각 게이트 구동 신호와 전하 전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와 상기 전하 전달 구동 신호를 전하 판독 게이트 영역과 전하 전달 영역에 각각 제공하기 위한 구동 신호 생성수단과, 제공된 광 수신 명령 신호에 따라, 타이밍 신호 생성기가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의 기간중에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각각 동기가 맞춰진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여,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광 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을 위한 광 수신 기간이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동작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은,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에 부가하여, 제1및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중 하나와 동기를 맞춰 전하 스위핑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 수단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 내의 전하 전달 영역에서의 전하가 스위핑되도록, 전하 스위핑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생성된 전하 스위핑 구동 신호를 전하 전달 영역에 제공하고, 그후 전하 전달 영역에 저장된 전하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에서의 신호 전하로서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전하 전달 구동 신호를 전하 전달 영역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광 수신 영역 및 전한 전달 영역 내의 전하가, 상기 광수신 명명 신호가 상기 제어수단에 제공될 때,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 내에서 스위핑되도록, 우선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각각이 상기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가 맞춰지는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스위핑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고, 그후, 광 수신 영역에 저장된 전하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광 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을 위한 광 수신 기간이 경과한 후,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 내의 상기 신호 전하로서 상기 전하 전달 영역을 통해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각각이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가 맞춰지는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을,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된 기간 이후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스위핑 타이밍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광 수신 명령 대기 모드가 되게하여, 광 수신 영역 및 전하 전달 영역에서의 전하가 연속적으로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에서 스위핑되도록, 동작하고,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타이밍 신호의 전송을 정지하게 하여, 광 수신 명령신호가 광 수신 명령 대기 조건하에서 제어 수단에 제공될 때,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광 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을 위한 광 수신 기간이 시작되도록 동작하고, 그후,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각각이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가 맞춰지는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와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광 수신 기간이 경과된후, 광수신 영역에 저장된 전하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에서의 신호 전하로서 전하 전달 영역을 통해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전하 판독 타이밍 신호를 소정의 회수의 숫자만큼 반복적으로 전송하게 하여, 광 수신 영역에 저장된 전하가 소정 회수의 숫자만큼 간헐적으로 전하 전달 영역에 판독 입력되고, 제2의 내부 프레임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소정의 단위 기간에서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내의 전하 전달 영역에 축적되도록, 동작하고 그후,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전하 전달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여 전하전달 영역에 축적된 전하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에서의 신호 전하로서 전하 전달 영역을 통해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전하 드레인 타이밍 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구동신호 생성 수단이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오버플로우 제어 영역에 전하 드레인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생성된 오버플로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광 수신 및 전하 전달 부분 내의 전하는,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이 전한 전달 구동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오버플로우 제어 영역을 통해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드레인 영역으로 드레인되어, 전하 전달 영역에 축적된 전하가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의 신호 전하로서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8121A 1996-03-09 1997-03-08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KR970068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81025 1996-03-09
JP8081025A JPH09247556A (ja) 1996-03-09 1996-03-09 固体撮像部を備えた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513A true KR970068513A (ko) 1997-10-13

Family

ID=1373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121A KR970068513A (ko) 1996-03-09 1997-03-08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44407A (ko)
EP (1) EP0794661B1 (ko)
JP (1) JPH09247556A (ko)
KR (1) KR970068513A (ko)
DE (1) DE697122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647B1 (en) * 1997-06-24 2003-08-19 Cognex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rge coupled device image acquisition with independent integration and readout
US6593967B1 (en) * 1998-12-16 2003-07-1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having dual clocked line memory
JP2001245218A (ja) * 2000-02-29 2001-09-07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タイミング信号発生装置
JP2002217399A (ja) * 2001-01-22 2002-08-02 Fuji Photo Film Co Ltd 電荷読出方法および固体撮像装置
US7586526B2 (en) * 2001-03-29 2009-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at least two transfer speeds and its control method
JP2004112422A (ja) 2002-09-19 2004-04-08 Canon Inc 撮像装置
JP4798945B2 (ja) * 2003-03-05 2011-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70210343A1 (en) * 2004-03-31 2007-09-13 Hideki Soya Image Sensor And An Apparatus For An Image Sensor Using Same
US7783191B2 (en) * 2006-08-10 2010-08-24 Hoya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5215879B2 (ja) * 2009-01-07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91332A (zh) * 2017-01-13 2017-05-31 西安工业大学 一种ccd图像信号处理装置
CN114363478B (zh) * 2022-01-04 2023-11-10 平头哥(上海)半导体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单元、方法、加速单元、电子设备和片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5133B1 (en) * 1985-11-20 1992-05-06 Nec Corporation A method of driving a two-dimensional ccd image sensor
US4714963A (en) * 1986-07-03 1987-12-22 Eastman Kodak Company Asynchronous still timing for a video camera producing movie or still images
US4896211A (en) * 1988-04-26 1990-01-23 Picker International, Inc. Asynchronously triggered single field transfer video camera
JP2920924B2 (ja) * 1989-01-12 1999-07-19 ソニー株式会社 Ccdカメラ
US5258845A (en) * 1989-05-19 1993-11-02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e sensor driving device with signal synthesiz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4661B1 (en) 2002-05-02
DE69712252D1 (de) 2002-06-06
JPH09247556A (ja) 1997-09-19
US6144407A (en) 2000-11-07
DE69712252T2 (de) 2002-12-05
EP0794661A3 (en) 1997-09-17
EP0794661A2 (en) 199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8513A (ko) 고체 상태 영상 픽업 장치를 갖는 영상 픽업 장치
US6628328B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CPU driving function operable in two modes
KR880013384A (ko) 고속 셔터기능이 있는 고체 촬상소자와 고체 촬상소자에서 고속 셔터기능을 실현하는 방법
JPS54130823A (en) Skip-system facsimile unit
KR920007438A (ko) 고체 촬상 장치
KR900701132A (ko) 3차원 촬상장치
JPS5925422B2 (ja) フアクシミリ送信機
US5003398A (en) Electronic still camera
CA2037121A1 (en) Read-out apparatus for solid state imaging device and image scanner using the same
EP0377168A3 (en) Dual mode imager
US39128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compression of facsimile transmissions
JP3246666B2 (ja) 同期ゲート制御高速ccd撮像装置システム
JP2000341592A (ja) 画像入力装置
KR940010710A (ko) 고체촬상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870004350A (ko) 수치 제어장치
KR940003344A (ko) 에프아이티(fit)형 고체촬상장치
JPH05326919A (ja) 画像読取装置
JPS6322764Y2 (ko)
KR910008994A (ko)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절체 제어데이터 송수신 방식
KR970068499A (ko) 고체촬상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RU95112655A (ru) Устройство однократн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SU1277427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
JPH06233054A (ja) Ccdラインセンサ駆動装置
SU11178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истрации свет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
JPS5912670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