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2839A -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 Google Patents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2839A
KR970062839A KR1019960002777A KR19960002777A KR970062839A KR 970062839 A KR970062839 A KR 970062839A KR 1019960002777 A KR1019960002777 A KR 1019960002777A KR 19960002777 A KR19960002777 A KR 19960002777A KR 970062839 A KR970062839 A KR 97006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event
tick
status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2686B1 (ko
Inventor
양승희
Original Assignee
권태웅
Lg 하니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Lg 하니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101996000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686B1/ko
Publication of KR97006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8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everal processors for different functions,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및 그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시간정보를 맞추는 시점 전후의 시간정보의 변화폭이 커져 맞추는 시점 전후의 정보에 대한 정확성이 많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상위 장치에서 정렬할 때 발생 순서가 뒤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위 장치에서 하위 장치의 클럭의 변동 추이를 장시간에 걸쳐 관리 및 추적시의 클럭원의 오차, 시간에 따른 정확성의 하락을 충분히 보안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의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장치 구성도.

Claims (3)

  1.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틱과 전송로에서 소요되는 시간, 본인의 틱을 이용하여 변동된 이벤트에 대해 동기시키고 그 동기된 값을 실시간 환산한 후 발생시각 순으로 정렬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상위 장치와 ; 센서류나 액츄에이터류 및 기계 설비류등의 상태변화를 감지하고 그 감지한 시각에 관제점 아이디, 상태, 틱을 부여한 이벤트를 생성하여 상기 상위장치로 전송하는 하위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위 장치는 각 이벤트를 발생시간에 따라 정렬하는 이벤트 정렬수단과, 상대방으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의 틱(TICK)을 본 장치의 시간으로 바꾸는 클럭원 동기수단과, 상기 클럭원 동기수단을 거쳐 동기된 값으로부터 실시간을 구하는 실시간 산출수단과, 상대방 장치와의 통신을 담담하는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위 장치는 센서류등의 상태 변동을 감지하는 상태 감지수단과, 상기 상태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상태에 고유 틱을 첨부하는 발생시각 감지수단과, 상기 발생시각 감지수단을 통한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 발생수단과, 상기 상위 장치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02777A 1996-02-06 1996-02-06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KR100202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777A KR100202686B1 (ko) 1996-02-06 1996-02-06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777A KR100202686B1 (ko) 1996-02-06 1996-02-06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39A true KR970062839A (ko) 1997-09-12
KR100202686B1 KR100202686B1 (ko) 1999-06-15

Family

ID=1945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777A KR100202686B1 (ko) 1996-02-06 1996-02-06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71B1 (ko) * 2001-09-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위 및 하위 장치간 초기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71B1 (ko) * 2001-09-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위 및 하위 장치간 초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2686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3244C (zh) 时间同步系统
WO199703540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ocument timestamping
TW354840B (en) Method of multi-user interactive system on World Wide Web (WWW)
EP1139202A3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slave system operations to master system clocking signals in a master-slave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FI931276A0 (fi) Feltolerant datorsystem
TW353176B (en)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holding signals independent of the pulse width of an external clock and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CA2084364A1 (en) Synchronous circuit
SE9600386L (sv) Virtuell tidsslinga
KR970062839A (ko) 독립된 클럭원을 갖는 분산 장치
KR940020232A (ko) 비디오 모니터/어댑터 상호접속 확장 아키텍처
KR100406863B1 (ko) 다중컴퓨터 시스템의 클럭 생성장치
JPH08139713A (ja) データ送受信方式
Reimann et al. Synchronisation of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KR100407341B1 (ko) 교환시스템의 시각정보 정확도 향상방법
JPH04352535A (ja) ループ式伝送路制御方式
KR100260623B1 (ko)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KR100321003B1 (ko)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한 시각 동기 신호 분배장치
KR970049270A (ko) 동기클럭원의 절체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910013783A (ko) 망동기 기준클럭 보드 어셈블리
JPS57199040A (en) Synchronizing device for data transfer
KR950007333A (ko) 슬레이브 시스템의 클럭보정장치
KR910013787A (ko) 스페이스 스위치 클럭 보드 어셈블리
JPH09319407A (ja) 分散システムの時刻同期方法
JPH08154088A (ja) 位相調整回路
WO1998052123A3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necting processor to a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