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49345A -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49345A
KR970049345A KR1019950056564A KR19950056564A KR970049345A KR 970049345 A KR970049345 A KR 970049345A KR 1019950056564 A KR1019950056564 A KR 1019950056564A KR 19950056564 A KR19950056564 A KR 19950056564A KR 970049345 A KR970049345 A KR 970049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utput
wireless remote
computer
coordinat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1847B1 (ko
Inventor
양재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847B1/ko
Publication of KR97004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컴퓨터를 구비한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화면 확대 투영 영사기를 이용하여 투영된 스크린상의 오브젝트들(각종 메뉴, 서브메뉴, 제어버튼, 체크박스등)을 가시광 영역의 광선이나 특정 색상의 물체로 지시하되, 상기 2차원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이미지 입력 장치로부터 스크린상의 지시된 점에 대응되는 컴퓨터 모니터상의 좌표가 포인터 드라이버를 통해 출력되어 지시된 제어 목적이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펜 디지타이저로 선택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Description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설명을 위한 개략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X,Y좌표 출력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레이저포인터 드라이버 설치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 투영 영상예시도.
제5도는 CCD센서에 잡힘 스크린 화면에서 실제 모니터상의 좌표변화 예시도.

Claims (7)

  1. 컴퓨터를 구비한 무선원격좌표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화면 확대 투영 영사기를 이용하여 투영된 스크린상의 오브젝트들(각종 메뉴, 서브메뉴, 제어버튼, 체크박스등)을 가시광 영역의 광선이나 특정 색상의 물체로 지시하되, 상기 2차원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이미지 입력 장치로부터 스크린상의 지시된 점에 대응되는 컴퓨터 모니터상의 좌표가 포인터 드라이버를 통해 출력되어 지시된 제어 목적이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펜 디지타이저로 선택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이 CCD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값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이 촬상관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 지시가 가시광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 지시가 특정색상(가시 또는 비가시)의 도료나 안료를 칠한 지시봉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에 의해 이루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좌표 입력 방법.
  6. 컴퓨터를 구비한 무선 원격 좌표 입력 장치에 있어서, 확대될 화면을 표시하는 스크린(101)과, 비디오신호를 발생하는 컴퓨터시스템(106)과, 상기 컴퓨터시스템(106)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신호를 확대 화면으로 투영하는 투영기(104)와, 스크린(101)상에 포인팅 신호를 발생하는 레이저 포인터(102)와, 상기 투영기(104)의 화면을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레이저 포인터가 스크린의 어느 위치를 포인팅하고 있는지를 모니터상의 x,y좌표로 출력하는 CCD카메라부(10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CD카메라(103)를 사용한 x,y좌표발생은 수직, 수평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수평 클럭발생기(201,202)와, 상기 스크린(101)의 화장을 취득하여 R,G,B출력을 센싱하는 CCD이미지 센서부(209)와, 상기 수평(R)의 출력을 기준전압(VS)의 출력과 비교하는 비교기(206)와, 상기 비교기(206)의 출력을 소정 지연하는 지연회로(207)와, 상기 비교기(206)의 출력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되며 상기 수직, 수평클럭발생기(201,202)의 출력을 각각 카운트하는 수직, 수평카운터(208,209)와, 상기 수직 수평카운터(208,209)의 출력을 쉬프트하여 X,Y좌표를 발생하는 수평, 수직 쉬프트 레지스터(210,211)와, 상기 수직, 수평 쉬프트 레지스터(210,211)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입출력 레지스터(2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6564A 1995-12-26 1995-12-26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KR017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564A KR0171847B1 (ko) 1995-12-26 1995-12-26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564A KR0171847B1 (ko) 1995-12-26 1995-12-26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345A true KR970049345A (ko) 1997-07-29
KR0171847B1 KR0171847B1 (ko) 1999-03-30

Family

ID=1944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564A KR0171847B1 (ko) 1995-12-26 1995-12-26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8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0441A1 (en) * 1999-09-10 2001-03-22 Technomics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mouse
KR100297920B1 (ko) * 1997-11-07 2001-10-24 김태정 집중된빛의조사에의한화면상의절대좌표입력장치
KR20010111760A (ko) * 2000-06-13 2001-12-20 이호균 위치 및 제어 신호 입력 시스템
KR20030003442A (ko) * 2001-06-30 2003-01-10 박찬홍 화상 인식 장치를 이용한 마우스
KR100452413B1 (ko) * 1999-03-31 2004-10-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컴퓨터-생성 투사 영상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11044B1 (ko) * 2001-12-26 2005-08-30 이문기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63A (ko) * 2002-08-12 2004-02-18 이문기 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장치
KR100735558B1 (ko) * 2005-10-18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010354B1 (ko) * 2008-08-06 2011-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이저 스폿 위치 검출 장치, 위치 정렬 시스템 및 위치검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920B1 (ko) * 1997-11-07 2001-10-24 김태정 집중된빛의조사에의한화면상의절대좌표입력장치
KR100452413B1 (ko) * 1999-03-31 2004-10-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컴퓨터-생성 투사 영상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1020441A1 (en) * 1999-09-10 2001-03-22 Technomics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mouse
KR20010111760A (ko) * 2000-06-13 2001-12-20 이호균 위치 및 제어 신호 입력 시스템
KR20030003442A (ko) * 2001-06-30 2003-01-10 박찬홍 화상 인식 장치를 이용한 마우스
KR100511044B1 (ko) * 2001-12-26 2005-08-30 이문기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1847B1 (ko) 199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168A (en) Remote pointers for interactive televisions
EP1200955B1 (en) Computer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with optical tracking of wireless pointer
US8085243B2 (en) Input device and its method
JP4783456B2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2851050B2 (ja) 投写形モニタ用電子ライトポインタ
JP2006031275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182423A (ja) 座標入力装置
US20020136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bust foreground and background image data separation for location of objects in front of a controllable display within a camera view
JPH04506876A (ja) ライトペンシステム
KR970049345A (ko) 무선원격 좌표 입력방법 및 장치
US100736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1187086A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H0340861B2 (ko)
KR20160072306A (ko) 스마트 펜 기반의 콘텐츠 증강 방법 및 시스템
JP2977559B2 (ja) 画像投影型指示検出装置
Bharath et al. Tracking metho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using Wii remote
Laberge et al. An auto-calibrated laser-pointing interface for large screen displays
JP2002251256A (ja) 液晶プロジェクタ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指し棒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ポインタの表示方法
KR101911676B1 (ko) 지시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프리젠테이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JP2904063B2 (ja) 座標指示デバイス
KR20200010723A (ko) Tv화면에서 적외선 영상 이미지 분석을 통한 마우스 위치 값 생성 시스템 및 방법
SU8428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читывани графическойиНфОРМАции
JPH05341905A (ja) 座標指示装置
JP5309875B2 (ja) ポインタ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JPH04237322A (ja) 画面上の指示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