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31021A -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 Google Patents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31021A
KR970031021A KR1019950041768A KR19950041768A KR970031021A KR 970031021 A KR970031021 A KR 970031021A KR 1019950041768 A KR1019950041768 A KR 1019950041768A KR 19950041768 A KR19950041768 A KR 19950041768A KR 970031021 A KR970031021 A KR 97003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battery
discharge hol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3363B1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63B1/ko
Publication of KR97003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건전지의 양극단자에 용접되는 외부접속단자의 용접부위에 배출공을 형성하며, 배출공은 하방으로 노치부를 이루게 하거나 펀치마킹을 이루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접속단자의 일측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이 건전지의 양극단자에 형성된 방폭기능의 배출홀과 관통되어지므로서 폭발시의 팽창압 및 전해액의 배출통로가 막히지 않게 되고, 상기 외부접속단자에 형성한 배출공의 하방으로 노치 또는 펀치마킹을 이루게 하므로서 건전지의 내부폭발시 파괴막의 파열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열시키게 되며, 용접위치 및 외부접속단자의 정착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므로서 용접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팩용 건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캡 부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

Claims (5)

  1. 양극단자인 캡(4)에 배출홀(7)을 형성한 2개 이상의 건전지를 외부접속단자의 용접에 의해 직렬연결시켜 건전지팩을 구성시킴에 있어서, 캡(4)에 용접되는 외부접속단자의 용접부에 배출공(11)을 형성하므로서, 캡(4)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홀(7)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10).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접속단자에 형성되는 배출공(11)은 건전지의 양극단자인 캡(4)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홀(7)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10).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접속단자는 배출공(21)의 하방으로 노치(21a)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폭발시 내부의 파괴막(14)을 용이하게 파열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20).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접속단자는 건전지의 양극단자인 캡(4)에 용접되는 용접부위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추형의 펀치마킹(31)을 형성하므로서 폭발시 내부의 파괴막(14)을 용이하게 파열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30).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접속단자는 건전지의 양극단자인 캡(4)과의 용접시, 캡(4)에 형성된 배출홀(7)의 주위로 원주상의 용접부(13)를 이루도록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1768A 1995-11-17 1995-11-17 팩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KR015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768A KR0153363B1 (ko) 1995-11-17 1995-11-17 팩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768A KR0153363B1 (ko) 1995-11-17 1995-11-17 팩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021A true KR970031021A (ko) 1997-06-26
KR0153363B1 KR0153363B1 (ko) 1998-11-16

Family

ID=1943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768A KR0153363B1 (ko) 1995-11-17 1995-11-17 팩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319A1 (en) * 2008-12-23 2010-06-24 Luther Gilford Battery Terminal Contact
KR102649109B1 (ko) * 2021-08-26 2024-03-20 전지혜 냉각 및 소화기능을 갖는 배터리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3363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1156B1 (en) Battery cell with a safety valve
JPS5817332Y2 (ja) 密閉形電池
KR100433434B1 (ko) 금속으로된용기의파열개방식안전밸브
CN111755633B (zh) 纽扣电池
JP2007141518A (ja) 二次電池の防爆構造
US20080145747A1 (en) Safety Structure for a Plastic Battery Case
WO2013122005A1 (ja) 電池用防火装置
JPS6394555A (ja) 電気化学電池の逃圧装置及び電気化学電池
US4010044A (en) Battery vent
KR970054707A (ko) 리튬전지의 상부캡 구조
EP0798793A2 (en) Battery equipped with diaphragm safety relief valve
KR970031021A (ko) 팩(pack)용 건전지의 외부접속단자
JP4121130B2 (ja) 密閉型電池
JP4797335B2 (ja) 電池
KR970054691A (ko) 리튬전지의 케이스
JPH10247483A (ja) 密閉型電池の安全構造
JPH0329883Y2 (ko)
KR20200088154A (ko) 이차전지용 탑 캡,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345403B1 (ko)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JPS5821478Y2 (ja) アルカリ乾電池
KR970031009A (ko) 방열망이 장착된 리튬건전지
KR100839408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각형 전지
KR970031011A (ko) 파열디스크를 지닌 리튬전지
JP2005093204A (ja) 円筒状アルカリ電池
JP2002279951A (ja) 電 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