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9245A -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9245A
KR970019245A KR1019950031986A KR19950031986A KR970019245A KR 970019245 A KR970019245 A KR 970019245A KR 1019950031986 A KR1019950031986 A KR 1019950031986A KR 19950031986 A KR19950031986 A KR 19950031986A KR 970019245 A KR970019245 A KR 97001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on memory
board
fla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3057B1 (ko
Inventor
박창민
양미정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이준
한국전기통신 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이준, 한국전기통신 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3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57B1/ko
Publication of KR97001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6Message passing systems or structures, e.g. que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12LAN interconnection over narrowband networks, e.g. N-ISDN, PSTN, X.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75N-ISD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처리시스템중에서, 서비스 처리를 담당하는 서비스 접속 장치(ISAP;Information Service Access Processing)는 서비스 가입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가능한 모두 수용하여야 하고, 전화망과 패킷망의 교량역활로서, 이들 망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게 되는데, 전화망을 통한 가입자의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주 프로세서인 서비스 처리부에서 담당하지 않고 입출력 전용 프로세서인 데이터 처리부를 두어 처리하게 함으로써, 프로세서 보드의 효율을 향상 시켰다. 이들 프로세서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의 공통 메모리 사용을 위한 동기화 기술, 데이터 처리부에서 동작하는 16개 채널의 송신 타스크의 공통 메모리에 대한 상호 배제 보장, 그리고 채널간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인 입출력 보장,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시 각 데이터의 송수신 확인등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처리 시스템의 서비스 효율을 담당하고 있는 ISAP의 성능을 향상시킨 공통 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 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공통 메모리의 구성도.
제3도는 공통 메모리를 통한 송신 처리 흐름도.
제4도는 공통 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수신 처리 흐름도.

Claims (3)

  1. 전화 망 가입자의 관리와 서비스 전과정을 관할하며, 시스팀 버스(13)에 연결된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공통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팀 버스(13)를 통하여 가입자의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전담하는 서버 보드(11)를 구비한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수신방법에 있어서, 주 프로세서 보드(12)가 서버 보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터럽트 인에이블 레지스터 영역(31), 실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채널번호,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 길이, 실제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수신 메시지 구조 영역(32, 36),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서버 보드(11)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플래그 영역으로서의 동기화 요구 플래그 영역(33, 37), 동기화 응답 플래그 영역(34, 38), 데이터 채널 플래그 영역(35, 39)을 공통메모리가 구비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메시지를 수신하면 채널번호를 읽어 보드 명령어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와, 모드 명령 수신시 명령어 종류와 메시지 길이를 읽고 큐(queue)에 송신(post)한 후 큐를 검사하는 제3단계와, 검사결과 큐가 차있으면(full), 공통메모리의 동기화 응답 플래그에 큐가 차있음을 표시하여 큐로의 송신을 미리 방지하고 동기화 요구 플래그에 응답(ACK)표시하여 공통메모리의사용 권한을 해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 에서의 판단결과 가입자 메시지인 경우는 명령어 종류와 메시지 길이를 읽고 큐(queue)에 송신(post)한 후 큐를 검사하는 제5단계와, 검사결과 큐가 차있으면 공통 메모리의 데이터 채널 플래그에 큐가 차있음을 표시하여 큐로의 송신을 미리 방지하고 동기화 요구 플래그에 응답(ACK) 표시하여 공통 메모리의 사용 권한을 해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수신방법.
  2. 전화 망 가입자의 관리와 서비스 전과정을 관할하며, 시스팀 버스(13)에 연결된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공통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팀 버스(13)를 통하여 가입자의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전담하는 서버 보드(11)를 구비한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에 있어서, 주 프로세서 보드(12)가 서버 보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터럽트 인에이블 레지스터 영역(31), 실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채널번호,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 길이, 실제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수신 메시지 구조 영역(32, 36),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서버 보드(11)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플래그 영역으로서의 동기화 요구 플래그 영역(33, 37), 동기화 응답 플래그 영역(34, 38), 데이터 채널 플래그 영역(35, 39)을 공통메모리가 구비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정해진 서버보드(12)의 공통메모리에 있는 가입자의 데이터 채널 플래그가 수신 응답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 응답상태가 아니면 카운트를 증가하여 일정횟수까지 반복 수행하면서 대기하여 버퍼가 소거되기를 대기하고, 응답 대기상태에서 액세스 권한을 얻은 후 공통메모리를 액세스 하는 제3단계와, 서버보드(12)의 공통메모리에 있는 동기화 요구 플래그가 수신 응답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수신 응답상태가 아니면 대기하고, 수신 응답 상태이면 데이터를 공통 메모리에 쓰고, 공통 메모리의 데이터 채널 플래그와 동기화 요구 플래그를 소거하여 데이터 송신 표시와 공통 메모리의 액세스 권한을 해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3. 전화 망 가입자의 관리와 서비스 전과정을 관할하며, 시스팀 버스(13)에 연결된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공통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팀 버스(13)를 통하여 가입자의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전담하는 서버 보드(11)를 구비한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보드 명령어송신방법에 있어서, 주 프로세서 보드(12)가 서버 보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터럽트 인이블 레지스터 영역(31), 실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채널번호,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 길이, 실제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수신 메시지 구조 영역(32, 36), 주 프로세서 보드(12)와 서버 보드(11)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화 플래그 영역으로서의 동기화 요구 플래그 영역(33, 37), 동기화 응답 플래그 영역(34, 38), 데이터 채널 플래그 영역(35, 39)을 공통메모리가 구비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정해진 서버보드(12)의 공통메모리에 있는 가입자의 동기화 응답 플래그가 수신 응답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수신 응답상태가 아니면 카운트를 일정횟수까지 반복 수행하면서 대기하여 버퍼가 소거되기를 기다리고, 수신 응답 상태이면 응답 대기 상태에서 액세스 권한을 얻은 후 공통메모리를 액세스 하는 제3단계와, 서버보드의 공통메모리에 있는 동기화 요구 플래그가 수신 확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수신 확인상태가 아니면 대기하고, 수신 확인 상태이면 보드 명령을 공통 메모리에 쓰고, 공통 메모리의 동기화 응답 플래그와 동기화 요구 플래그를 소거하여 보드 명령 송신 표시와 공통 메모리의 액세스 권한을 해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메모리를 통한 보드 명령어 송신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1986A 1995-09-26 1995-09-26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KR017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986A KR0173057B1 (ko) 1995-09-26 1995-09-26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986A KR0173057B1 (ko) 1995-09-26 1995-09-26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45A true KR970019245A (ko) 1997-04-30
KR0173057B1 KR0173057B1 (ko) 1999-03-30

Family

ID=1942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986A KR0173057B1 (ko) 1995-09-26 1995-09-26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066A (ko) * 2013-01-15 201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전력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106036A (zh) * 2019-08-29 2020-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066A (ko) * 2013-01-15 201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전력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106036A (zh) * 2019-08-29 2020-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3057B1 (ko) 199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033A (en)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a shared memory for enhanc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KR870006478A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CN111431757B (zh) 虚拟网络的流量采集方法及装置
KR950033892A (ko)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950033893A (ko)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930014077A (ko) 자원의 이용가능도에 의거한 아비트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970702523A (ko)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interface device and method)
JP2010165022A (ja) プロセッサ間通信装置、プロセッサ間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20085575A1 (en) Interface control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ntrol processor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EP0317481A2 (en) Remote storage management mechanism and method
TW200304094A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ferring data from one partition of a partitioned computer system to another
US20080104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slaves to receive data from multiple master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970019245A (ko) 멀티 타스크 환경에서 공통메모리를 통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KR920008602A (ko) 번지공간을 공유하는 다수의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및 입출력장치와 프로세서간의 통신 관리방법
US6345332B1 (en) Bus interchange apparatus and dual system for accessing a fault information register without regard to buffer conditions
JP3076312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H08339354A (ja) ネットワーク分散処理システム
Simoncic et al. Shipnet: A real-time local area network for ships
KR940002722A (ko) 2개의 cpu로 구성된 시스템에서의 cpu간 데이타 전송 및 동기화방법
KR100308146B1 (ko) 음성인식시스템의메시지처리방법
JP3068427B2 (ja) メッセージ制御装置
JP2971119B2 (ja) 複数プロセッサ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データ転送方式
KR100693601B1 (ko) 멀티 프로세서간 데이터 통신장치와 그 방법
KR100590171B1 (ko) Isdn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JPS62204362A (ja) ネツトワ−クによる共有メモリ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