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37B1 - 니트용 염색기 - Google Patents

니트용 염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37B1
KR970011937B1 KR1019950013238A KR19950013238A KR970011937B1 KR 970011937 B1 KR970011937 B1 KR 970011937B1 KR 1019950013238 A KR1019950013238 A KR 1019950013238A KR 19950013238 A KR19950013238 A KR 19950013238A KR 970011937 B1 KR970011937 B1 KR 97001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machine
dyeing
cotton fabric
hot wat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459A (ko
Inventor
배경수
Original Assignee
배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수 filed Critical 배경수
Priority to KR10199500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937B1/ko
Publication of KR96004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05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adding or mixing constituen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700/00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e.g. bleaching, dyeing, mercerising, impregnating, washing; Fulling of fabrics
    • D06B2700/36Devices or methods for dyeing, washing or bleac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니트용 염색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의 전체 결합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에 있어서, 염색액 혼합탱크와 교반장치의 확대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면직물 분할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에 있어서,온수탱크의 수위를 조절시키기 위한 수위조절장치의 결합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에 있어서, 면직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장치의 결합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종래 니트용 염색기의 전체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염색기B : 면직물공급 및 인출장치
C : 교반장치D : 염색액 및 냉수공급장치
E : 세척장치F : 온수공급장치
G : 이송수 배출장치1 : 구동모우터
2 : 체인3 : 이송로울러
4 : 회전드럼5 : 면직물
6 : 상부통로7 : 염색액 저장탱크
8 : 개폐도어9 : 인출장치
10 : 모우터11 : 구동축
12 : 회전드럼13 : 워엄기어
14 : 형광등 교체용 도어15 : 형광등
16 : 투명유리17 : 면직물 분할장치
18 : 제1받침판19 : 제2받침판
20 : 원형가이드봉21 : 삽입구멍
22 : 삽입구멍23 : 슬라이드판
24 : 결합부재25 : 슬라이드면
26 : 관통구멍27 : 결합핀
28 : 온수탱크29 : 수위조절장치
30 : 스팀분출통31 : 스팀 분출공
32 : 제1스팀 공급라인33 : 제2스팀 공급라인
34 : 자동온도 조절장치35 : 배수구
36 : 개폐밸브37 : 세척수 공급용 펌프
38 : 온수공급라인39 : 세척수 공급라인
40 : 세척액 분사구41 : 제2냉수 공급라인
42 : 부구43 : 밸브
44 : 구멍45 : 슬라이드 통
46 : 이송수 배출용 펌프47 : 이송수 공급라인
48 : 제2이송수 공급라인49 : 분사노즐
50 : 개폐밸브51 : 보조연결라인
52 : 개폐밸브53 : 스팀통
54 : 제3스팀 공급라인55 : 배출라인
56 : 개폐밸브57 : 세척수 배출라인
58 : 개폐밸브59 : 자동온도 조절장치
60 : 염색액 혼합탱크61 : 경사부
62 : 걸름망63 : 염색액 공급라인
64 : 염색액 공급용 펌프65 : 연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
66 : 제1냉수공급라인67 : 연결파이프
68 : 개폐밸브69 : 개폐밸브
70 : 수위조절장치71 : 밸브
72 : 부구73 : 작동봉
74 : 개폐밸브75 : 압축공기라인
76 : 개폐밸브77 : 제2압축공기라인
78 : 모우터79 : 실린더
80 : 실린더 로드81 : 케이싱
82 : 축봉82a : 교반날개
82b : 구멍83 : 개폐밸브
84 : 제3냉수 공급라인85 : 냉수투입구
86 : 제1염색액 분사구87 : 제2염색액 분사구
88 : 차단밸브89 : 차단밸브
90 : 관통구멍91 : 격벽
92 : 배수라인93 : 오버홀
94 : 개폐밸브95 : 수위확인용 눈금계
96 : 배출구97 : 차단밸브
98 : 물탱크저장라인100 : 염색기
110 : 액통120 : 공급관
130 : 분사구140 : 이송로울러
150 : 면직물160 : 모터펌프
170 : 급수관180 : 배출관
190 : 구동모터200 : 제2모터펌프
210 : 상부통로220 : 투입구
230 : 투시창240 : 염색실
250 : 흡입관260 : 배수관
본 발명은 니트용 염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기내로 투입되어지는 염색액을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염색효율을 배가시키는 한편, 또한 염색되어진 면직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는 온수탱크내에 저장되어진 온수를 이용하여 염색되어진 면직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질때 세척수와의 온도차로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한 니트용 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염색된 면직물을 세척할 때 염색기내에서 염색액을 빼낸다음 주입구를 통해 세척수를 주입하여 회전이동하는 면직물이 세척되도록 하고 다시 세척수가 더러워지면 배수구를 통해 오염된 세척수를 빼내고 다시 깨끗한 세척수를 염색기내에서 주입시키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염색된 면직물을 세척하도록 하였으며, 염색기내에 염색액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염색기의 일측에 설치된 액통에 물과 함께 염료를 넣고 이를 휘저어 잘 섞이도록 한 다음 염색실내로 주입시키는데 이때 작업자가 매번 액통내의 염료를 손으로 직접 휘저어야 했으므로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자칫 액통내의 내용물이 밖으로 튀면 주위가 더러워질뿐만 아니라 염색액의 손실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세척액을 반복교환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냉각수를 투입하면 염색된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데 이는 염색된 원단이 고온이기 때문에 냉각수와의 온도차이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1992년 출원되어 1995년 공고(공고번호 : 94-8392호)된 바 있는 염색기의 면직물 수세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염색기의 면직물 수세장치는 예시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색기(10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액통(110)을 설치하고, 액통(110)의 일측 하단에는 공급관(120)이 결합되어, 이 공급관(12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액통(110)내에서 소용돌이치며 상승되도록 하므로써 액통(110)내의 물과 염료가 효과적으로 섞이면서도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였으며, 또한 염색기(100)내에서 염색 및 염착된 원단을 세척하는 방식은, 염색된 면직물(150)이 지나가는 통로의 일측에 전면에 3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구(130)를 설치하여, 이송로울러(140)를 통해 염색기(100)내에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염색된 면직물(150)에 순차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과도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갑자기 많은 냉각수를 염색기(100)내에 투입시키지 않음으로써 면직물(150)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방식이었다.
그런데 상기의 고안은 염색기(100)내에 투입되어지는 염색액의 혼합방법을 공급관(120)의 하단에 위치한 모터펌프(160)의 송출압력을 이용한다는 개념과, 염색된 면직물(150)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방법을 3개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분사구(130)를 통하여 이송로울러(140)를 따라 회전하는 면직물(150)의 전면에서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시킨다는 개념에만 국한된 것이어서 염색기(100)의 전체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첫째; 액통(110)에서 혼합된 염색액을 급수관(170)을 통하여 염색기(100)내로 흘려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액통(110)내에서 충분히 염료와 물이 혼합되지 않았을 경우 염색사고 발생우려가 있다.
둘째; 염료의 혼합방법이 모터펌프(160)의 송출압력에 의해 액통(110)내에 투입된 물과 염료가 액통(110)내에서 회전하면서 서로 혼합되도록 방식이었기 때문에 혼합효율이 떨어진다.
셋째; 액통(110)자체에 혼합되지 않은 염료를 걸러주기 위한 걸름망이 구비되지 않아 잘 혼합되지 않은 염료액이 염색기(100)내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넷째; 액통(110)내에 투입된 염료가 냉각수와 혼합되기 때문에 염료와의 혼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섯째; 염색기(100)내로 염색액을 투입시킬때 그 투입량을 조절할 수가 없으므로 염색사고의 우려가 있다.
여섯째; 염색된 면직물(150)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관(180)에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면직물(150)에 주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일곱째; 염색기(100)내에 냉수를 투입시킨 후 면직물(150)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물을 데우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체된다.
여덟째; 염색된 면직물(150)을 세척시키기 위한 분사구(130)가 면직물(150)의 일측방향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효율이 반감된다.
아홉째; 염색기(100)내에 투입된 다수개의 면직물(150)이 이송로울러(140)를 타고 회전되면서 서로 섞이거나 꼬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염색기 내로 투입되어지는 염색액을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염색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염색효율을 배가시키는 한편, 염색되어진 면직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는 온수를 이용함으로써 염색되어진 면직물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며,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구는 면직물의 양측방에서 분사되도록 하여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한 니트용 염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는, 염색액 혼합탱크에서 혼합된 염색액이 펌프에서 발생된 송출압력에 의해 염색액 분사구를 통해 강력하게 분사되어지고, 상기 염색액 혼합탱크의 하단에는 용해되지 않은 염료 및 조제를 걸러주기 위한 카트리지식의 걸름망이 결합되어지는 한편, 염색액을 염색기내에 주입시키기 위한 염색액 분사구는 1쌍으로 구성되어 염색기내로의 염색을 투입량이 조절되도록 하고, 염색기의 상단에는 스팀에 의해 데워지도록된 온수탱크가 설치되어, 이온수탱크의 온수가 세척장치로 공급됨으로써 면직물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의 구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우터(1)의 회전력이 체인(2)을 매개로하여 다수개이 이송로울러(3)가 조합된 회전드럼(4)을 구동시키고, 이 회전드럼(4)상에는 염색용원단인 면직물(5)이 감겨지면서 염색기(A)상부의 상부통로(6)와 하단의 염색액 저장탱크(7)를 거쳐 다시 회전드럼(4)에 권취되어지는 무한궤도 형태로 면직물(5)이 순환운동되면서 염색되는 방식이다.
한편, 염색기(A)의 전체 구성은 면직물(5)의 공급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면직물공급 및 인출 장치(B)와, 염색기(A)내에 염색액 및 냉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염색액 및 냉수공급장치(D), 염색기(A)내로 투입되어지는 염색액을 효율적으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C), 염색완료된 면직물(5)을 세척시키는 세척수가 분출되어지는 세척장치(E),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E)에 온수를 공급시키는 온수공급장치(F)로 구성되어진다.
면직물공급 및 인출장치(B)의 구성은, 염색기(A)의 일측상단에 개폐도어(8)가 설치되는데, 개폐도어(8)의 중앙부에는 절첩수단인 힌지(미도시)가 구비되어, 이 힌지에 의해 개폐도어(8)에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개폐도어(8)의 윗쪽으로는 염색기(A)내의 면직물(5)을 밖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장치(9)가 구비되는데, 이 인출장치(9)는 모우터(10)의 선단에 구동축(11)이 결합되고, 이 구동축(11)의 선단에는 회전드럼(12)를 회전시키기 위한 워엄기어(13)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또한 인출장치(9)의 일측단에는 형광등 교체용 도어(14)가 구비되는데, 이 형광등 교체용 도어(14)의 배면에는 형광등(15)이 결합되어, 형광등(15)의 하단에 위치한 투명유리(16)를 통하여 형광등 불빛이 면직물(5)에 투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염색기(A)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회전드럼(4)의 아래쪽 방향에는 염색기(A)내에 투입되어지는 면직물(5)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면직물 분할장치(17)가 장착되는데, 이 면직물 분할장치(17)의 구성은 예시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받침판(18)과 제2받침판(19)사이에 원형가이드봉(20) 얹혀지되 이 원형가이드봉(20)의 양단은 제1,2받침판(18)(19)에서 각각 형성되어진 삽입구멍(21)내에 삽입되어지며, 제1받침판(18)의 양측벽에는 중앙에 삽입구멍(22)이 형성되어진 슬라이드판(23)이 구비되어 이 슬라이드판(24)이 결합부재(24)의 슬라이드면(25)에 삽입되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결합부재(24)의 상면에는 관통구멍(26)이 뚫려 있어, 이 관통구멍(26)을 통하여 결합핀(27)이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면(25)내에 삽입된 제1받침판(18)의 슬라이드판(23)과 핀결합되어진다.
온수공급장치(F)의 구조에 있어서는, 염색기(A)의 상부통로(6) 윗쪽 방향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온수탱크(28)가 구비되고, 이 온수탱크(28)의 일측상단에는 수위조절장치(29)가 설치되는 한편, 온수탱크(28)의 하단일측에는 온수탱크(28)내에 유입된 물을 데워주기 위한 스팀분출통(30)이 삽입 설치된다.
한편, 스팀 분출통(30)은 원통형으로된 몸체상에 다수개의 스팀분출공(32)이 천공되며, 이 스팀분출통(30)에 공급되는 스팀은 제1스팀공급라인(32)과 제2스팀공급라인(33)을 통하여 공급되어진다.
상기 제2스팀 공급라인(33)의 일단에는 온수탱크(28)내의 물온도를 감지하여 스팀분출통(30)으로의 스팀공급을 차단하는 자동온도조절장치(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스팀공급라인(32)의 선단은 염색액 저장탱크(7)의 일측에 구비된 배수구(25)와 연결되어지는 한편, 상기 제1스팀공급라인(32)의 중앙에는 염색기(A)내로의 스팀투입을 차단시키는 개폐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28)에 공급되는 물은 제2냉수공급라인(41)에 의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냉수공급라인(41)의 일단에 결합된 수위 조절장치(29)는 예시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온수탱크(28)내의 수면위에 부상하도록된 부구(42)는 그 선단이 원통형의 밸브(43)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밸브(43)의 일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구멍(44)이 천공되어 있으며, 밸브(43)의 외주면상에는 슬라이드통(45)이 결합되어, 이 슬라이드통(45)내에서 부구(42)의 높이에 따라 밸브(43)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염색되어진 면직물(5)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장치(E)의 구조에 있어서는, 세척수를 강력하게 토출시키기 위한 세척수 공급용펌프(37)의 일단에 온수탱크(28)의 하단에서 뻗어나온 온수공급라인(38)이 결합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용 펌프(37)의 타단에는 세척수 공급라인(39)이 연결되어져 있다.
한편, 세척수 공급라인(39)의 선단은 면직물(5)의 앞뒤 방향에서 세척액을 분사시키기 위하여 세척액 분사구(40)가 2개로 분리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 세척액 분사구(40)의 분사구멍은 상부쪽을 향한 형상이다.
염색기(A)내에 투입된 면직물(5)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배출장치(G)의 구조에 있어서는, 이송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이송수배출용 펌프(46)의 일단에는 염색기(A)하단의 배수구(35)에서 연결된 이송수공급라인(47)이 결합되고, 이송수 배출용펌프(46)의 상단에는 염색기(A)의 상부통로(6)와 연결되어진 제2이송수공급라인(48)이 연결되는데 이 제2이송수공급라인(48)의 일단은 두갈레로 나뉘어 상부통로(6)의 상.하방향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이송수 공급라인(48)의 선단은 면직물(5)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진 분사노즐(49)이 결합되어지고, 제2이송수 공급라인(48)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50)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그 전방에는 세척수공급라인(39)에서 뻗어나온 보조연결라인(51)이 연결되어지되, 그 중앙은 개폐밸브(5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이송수 공급라인(48)의 소정위치에는 이송수를 데워주기 위한 스팀통(53)이 설치되는데, 이 스팀통(53)의 일단은 제1스팀공급라인(32)에서 뻗어나온 제3스팀공급라인(54)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팀통(53)의 하단은 교반장치(C)에서 뻗어나온 세척수 배출라인(57)과 연결되어진 배출라인(55)이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이 배출라인(55)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56)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스팀통(53)에 스팀을 공급시키기 위한 제3스팀공급라인(54)에는 소정의 위치에 개폐밸브(58)가 결합되고 그 전방에는 자동온도 조절장치(59)가 설치되어져 있다.
염색기(A)내에 투입되어지는 염색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C)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색액 혼합탱크(60)는 그 전체 형상이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는 절곡되어 경사부(61)를 이룬 구조이다.
한편, 염색액 혼합탱크(60)의 하단중앙에는 용해되지 않은 염료를 걸러주기 위한 걸름망(6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하단은 세척수 배출라인(57)과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수 배출라인(57)의 선단에는 개폐밸브(63)가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걸름망(62)은 중앙은 공간부를 이루며 각 벽체는 일정한 밀도를 갖는 격자형태의 그물망구조이다.
걸름망(62)이 설치되는 염색액 혼합탱크(60)의 하단일측에는 염색액 공급라인(63)이 연결되고, 이 염색액 공급라인(63)의 소정위치에는 염색액 공급용 펌프(64)가 설치되어져 있다.
염색액 공급라인(63)의 상부쪽에는 염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이 염색액 혼합탱크(60)와 연결되어지는데, 이 염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의 선단은 제2이송수 공급라인(48)과 상호 연결된 구조이다.
한편, 염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의 일단에는 제1냉수 공급라인(66)이 결합되어 있고, 이 제1냉수공급라인(66)의 소정위치에는 연결파이프(67)가 연결되어 제1스팀 공급라인(32)과 서로 관통되어져 있으며, 이 연결파이프(67)의 중앙에는 개폐밸브(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염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69)가 설치되는 한편, 그 전방은 염색액 혼합탱크(60)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장치(70)의 밸브(71)가 삽입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수위조절장치(70)는 염색액 혼합탱크(60)내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된 부구(72)에 의해 작동봉(73)이 작동되어 밸브(71)를 개폐하도록 된 구조이며 제1냉각수공급라인(66)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74)가 구비되고, 이 개폐밸브(74)의 하단에는 압축공기라인(75)이 결합되며, 압축공기라인(75)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76)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압축공기라인(75)의 소정위치에는 제2압축공기라인(77)이 연결되어지는데 이 제2압축공기라인(77)은 모우터(78)를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79)의 전방위치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실린더(79)는 그 뒷쪽으로 실린더로드(80)가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이 실린더(79)는 케이싱(81)내에 삽입설치되어, 양 케이싱(81)사이에서 모우터(78)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모우터(78)의 전방으로는 축봉(82)이 연결되고, 이 축봉(82)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구멍(82b)이 형성되어진 교반날개(82a)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압축공기라인(77)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83)가 결합되어 있다.
염색기(A)내에 염색액 및 냉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염색액 및 냉수공급장치(D)의 구조는, 제1냉수공급라인(66)과 연결된 제3냉수공급라인(84)이 염색기(A)의 일측벽에 구비된 냉수투입구(85)와 연결되어 있고, 염색액 공급라인(63)의 선단은 두갈래로 나뉘어 각각 제1,제2염색액 분사구(86)(87)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염색액 분사구(86)는 그 선단에 다수개의 구멍(미도시)이 뚫려 이 구멍을 통하여 염색액이 공급되고, 제2염색액 분사구(87)의 선단은 개방되어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제2염색액분사구(86)(87)로 향하는 유로에는 차단밸브(88)(89)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염색액 분사구(86)(87)의 전방에는 다수개의 관통구멍(90)을 갖는 격벽(91)이 형성되어지며, 제2염색액 분사구(87)의 아래쪽에는 배수라인(92)과 연결된 오버홀(93)이 설치되며, 이 오버홀(93)의 선단에는 개폐밸브(94)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냉수투입구(85)의 주변에는 염색기(A)내의 수량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수위확인용 눈금계(95)가 설치되어지며, 염색기(A)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96)에는 차단밸브(97)가 설치된다.
이 밖에도 배출구(96)의 윗쪽으로는 물탱크 저장라인(98)이 연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가 발생되는데 이를 각 파트별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염색액 혼합탱크(60)내에서 혼합된 염색액이 염색액 공급용 펌프(64)를 거쳐 송출압력이 증대된 후 제1, 제2염색액 분사구(86)(87)를 통해 강력하게 격벽(91)에 분사되면서 공급되는 방식이므로 용해되지 않은 염료가 염색액 저장탱크(7)내에 주입되더라도 상기 격벽(91)에서 충돌될 때 분해되므로 염색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두번째; 물과 염료의 혼합방법은 예시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 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염색액 혼합탱크(60)의 경사부(61)에서 강하게 와류되면서 혼합되는 방식으로 염료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어지는 잇점이 있다.
세번째; 염색액 혼합탱크(60)의 하단에 카트리지식의 걸름망(62)이 결합되어 이 걸름망(62)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염료를 걸러낼 수가 있다.
네번째; 염색액 혼합탱크(60)의 일측벽에는 수위조절장치(70)가 구비되는데, 이 수위조절장치(70)의 부구(72)가 일정한 수위이상이 되면 상승하여, 작동봉(73)을 상승시키고, 이 작동봉(73)의 하단에 위치한 밸브(71)는 염료혼합용 냉수공급라인(65)을 밀폐시켜 냉수의 공급을 중지시키므로, 염색액 혼합탱크(60)내의 염색액이 넘치지 않는다.
다섯번째; 염색액 혼합탱크(60)내에 모우터(78)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날개(82a)가 설치되어 이 교반날개(82a)에 의해 염색액의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교반 날개(82a)는 모우터(78)가 제2압축공기라인(77)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 슬라이드 되어지므로 따라서 교반날개(82a)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걸름망(62)을 간편하게 혼합탱크(60)내에서 착탈시킬 수가 있다.
여섯번째; 염색액 혼합탱크(60)내에 제1스팀공급라인(32)에서 연결된 연결파이프(67)를 통하여 스팀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염료와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일곱번째; 염색기(A)내로 염색액을 투입시키는 제1,제2염색액 분사구(86)(87)에 차단밸브(88)(89)가 구비되어져 필요에 따라 염색기(A)내로의 염색액 투입량을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염색액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염료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여덟번째; 면직물(5)을 이송시키기 위한 양분사노즐(49)에 더운물이 공급되어 염색된 원단이 온도차에 의해 주름지는 현상이 방지되는데, 이는 이송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 공급라인(48)의 일단에 스팀통(53)이 결합되어, 이 스팀통(53)에 유입되는 스팀에 의해 이송수가 데워지기 때문이다.
아홉번째; 염색기(A)의 염색액 저장탱크(7)내에 제1스팀공급라인(32)을 통하여 스팀이 공급되므로 염료와의 혼합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열번째; 염색기(A)의 상단에 별도의 온수탱크(28)를 결합시키고, 이 온수탱크(28)는 제2스팀공급라인(33)과 연결된 스팀분출통(30)을 통하여 스팀이 분출되어 찬물이 데워지는 방식이다.
한편, 온수탱크(28)내에 저장된 온수는 온수공급라인(38)과 세척수 공급용 펌프(37), 그리고 세척수 공급라인(39)을 거쳐 세척액 분사구(40)로 분사되어지므로 염색된 면직물(5)을 세척시키는 과정에서 면직물(5)에서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열한번째; 세척장치(E)의 세척액 분사구(40)가 면직물(5)의 양쪽방향에서 강력하게 분사되므로 세척효율이 배가된다.
열두번째; 모우터(10)에 의해 작동되는 인출장치(9)가 구비되어 염색 및 세척이 완료된 면직물(5)을 상기 인출장치(9)의 회전드럼(12)으로 간편하게 염색기(A)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가 있다.
열세번째; 염색기(A)의 일측상단에 형광등 교체용 도어(14)가 구비되어 형광등(15)을 교체시 상기 교체용 도어(14)를 개방시켜 교체작업을 실시하면 되므로 매우 용이하다.
열네번째; 예시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색기(A)내에 투입되어지는 다수개의 면직물(5)이 면직물 분할장치(17)의 원형가이드봉(20)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서로 꼬일 염려가 없다.
또한, 제1받침판(18)은 양결합부재(24)의 슬라이드면(25)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가이드봉(20)의 착탈이 매우 간편한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니트용 염색기는 종래 염색기의 제반 문제점을 개선시켜 각종 원단의 염색 효율을 배가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구동모우터(1)와 체인 결합된 회전드럼(4)의 회전력에 의해 면직물(5)이 염색기(A)내의 상부통로(6)와 염색액 저장탱크(7)내를 무한궤도 형태로 이송되면서 염색되도록 된 니트용 염색기에 있어서, 상기 염색액 저장탱크(7)내에는 염색액 혼합탱크(60)에서 혼합된 염색액이 염색액 공급용 펌프(64)의 송출압력이 부가된 상태로 제1, 제2염색액 분사구(86)(87)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염색기(A)의 일측 상면에는 온수탱크(28)를 구비하여, 이 온수탱크(28)내의 온수가 세척수 공급용 펌프(37)의 송출압력이 부가된 상태로 세척액 분사구(40)를 통하여 분사, 염색된 면직물(5)을 주름없이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분사구(40)는 면직물(5)의 앞 뒤방향에 설치되고 이 세척액 분사구(40)에서 분사되는 물은 염색기(A)의 일측내부에 형성되어진 격벽(91)에 분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염색액 분사구(86)(87)중 어느 하나가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28)는, 그 내부에 제1,제2스팀공급라인(32)(38)과 결합된 스팀분출통(30)이 구비되어, 이 스팀분출통(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스팀분출공(31)으로 분출되는 스팀에 의하여 온수탱크(28)내의 물이 데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28)의 일측 상단에는 온수탱크(28)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된 온수공급장치(F)가 구비되어지되, 이 온수공급장치(F)는 온수탱크(28)내의 물위를 부상하도록 된 부구(42)와 이 부구(42)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그 일단에 제2냉수공급라인(41)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된 구멍(44)이 천공되어진 밸브(43), 그리고 이 밸브(43)가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통(45)으로 구성되어, 온수탱크(28)내의 수위에 따라 부구(42)가 승,하강되면서 온수탱크(28)내에 물을 공급하는 제2냉수공급라인(41)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액 혼합탱크(60)는 몸체의 형상이 상부는 개방되어진 사각통체로 구성되어지되, 몸체의 각 모서리에 경사부(61)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액 혼합탱크(60)내의 바닥면에는 카트리지식의 걸름망(62)이 구비되어, 이 걸름망(62)에 의해 용해되지 않은 염료 및 조제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염색액 혼합탱크(60)내에는 모우터(78)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된 교반날개(82a)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모우터(78)의 양측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케이싱(81)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이 케이싱(81)내에는 모우터(78)와 결합되어진 실린더 로드(80)가 삽입.설치되며 실린더로드(80)의 선단에는 케이싱(81)의 내벽을 슬라이드 하도록 된 실린더(79)가 설치되어, 실린더(79)의 전방에 연결된 제2압축공기라인(77)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79)가 상승되면 동시에 모우터(78)가 양케이싱(81)사이에서 상승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4)의 일측단에는 면직물(5)을 염색기(A)내에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장치(9)가 구비되어지되, 이 인출장치(9)는 모우터(10)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동축(11)이 결합되고, 구동축(11)의 선단에는 워엄기어(13)가 형성되어져 이 워엄기어(13)가 회전하면서 면직물(5)을 권취하도록 하는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분사구(40)의 윗쪽방향에는 염색기(A)내에 투입되어지는 다수개의 면직물(5)이 서로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면직물 분할장치(17)가 설치되어 지되, 이 면직물 분할장치(17)는 제1,제2받침판(18)(19)의 일측상면에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갖는 삽입구멍(21)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이 삽입구멍(21)에는 환봉형태의 원형 가이드봉(20)이 각각 설치되어, 이 원형가이드봉(20)사이로 면직물(5)이 통과되도록 하여 면직물(5)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용 염색기.
KR1019950013238A 1995-05-25 1995-05-25 니트용 염색기 KR97001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238A KR970011937B1 (ko) 1995-05-25 1995-05-25 니트용 염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238A KR970011937B1 (ko) 1995-05-25 1995-05-25 니트용 염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459A KR960041459A (ko) 1996-12-19
KR970011937B1 true KR970011937B1 (ko) 1997-07-18

Family

ID=1941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238A KR970011937B1 (ko) 1995-05-25 1995-05-25 니트용 염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027A1 (zh) * 2016-01-26 2017-08-03 立信染整机械(深圳)有限公司 一种染色机打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25B1 (ko) * 2012-06-27 2014-02-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레이트형 바, 이를 포함하는 적외선 염색기 및 상기 적외선 염색기의 불균염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027A1 (zh) * 2016-01-26 2017-08-03 立信染整机械(深圳)有限公司 一种染色机打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459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882B1 (ko) 세탁기
SE441683B (sv) Forfarande vid fergbehandling av textila material samt anvendning av en anordning for genomforande av forfarandet
DE102015100809A1 (de) Abgabevorrichtung für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KR20060128719A (ko) 직물재 로프에 대한 처리제의 균일 적용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236620B1 (ko) 직물처리기의 순환계 내부에서 처리액을 조제하여 직물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기능을 갖춘 직물처리기
KR101255558B1 (ko) 염색기용 필터유닛 및 이를 갖는 염색기
KR970011937B1 (ko) 니트용 염색기
KR101620504B1 (ko) 염색기용 염액분사 노즐
CN208167280U (zh) 全自动双缸中样染色机
DE3728940C2 (de) Mantelbeschickbarer Waschtrockner
CN219010686U (zh) 一种轮巡式染色机
CN209307619U (zh) Hto型小浴比o型染色机
CN213772514U (zh) 一种无水印染用印染箱
US3670531A (en) Apparatus for the wet treatment of textiles
CN215163676U (zh) 一种用于纺织加工的分散型染料染色装置
CN212040062U (zh) 一种纺织生产用印染染料混合装置
CN106930028A (zh) 一种色纺纱染色加工设备
JP4367732B2 (ja) 繊維製品の加工処理装置
JPH07111024B2 (ja) 布帛処理機への粉剤直接投入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布帛処理機
JP2004060107A (ja) ドラム回転式繊維製品処理装置
KR100986144B1 (ko) 염색기
DE112016000314B4 (de) Waschmaschine
KR101265248B1 (ko) 염색기
KR20200091244A (ko) 의류처리장치
KR100550925B1 (ko) 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