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22B1 -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22B1
KR970010822B1 KR1019900013513A KR900013513A KR970010822B1 KR 970010822 B1 KR970010822 B1 KR 970010822B1 KR 1019900013513 A KR1019900013513 A KR 1019900013513A KR 900013513 A KR900013513 A KR 900013513A KR 970010822 B1 KR970010822 B1 KR 970010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shaft
bow
recess
barge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108A (ko
Inventor
다꾸마 야마꾸찌
세이시 모가미
Original Assignee
Yamaguchi Takuma
Mogami Seish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amaguchi Takuma, Mogami Seishi filed Critical Yamaguchi Takuma
Publication of KR91000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70Tugs for pu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일부를 절단한 비연결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제3도는 홈구성부의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선현측 연결축의 선외끝쪽의 구성부재를 분리해서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5도는 압착제를 정면쪽으로 본 정단면도.
제6도는 중심전의 오목구성부의 부분 사시도.
제7도는 계압선의 선수끝 구성부의 부분 사시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선현의 연결축에 의한 비연결상태로부터 최종연결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선(艀) 2 : 오목한 곳
3 : 계압선(繫押船) 4 : 계압선의 선수
5 : 홈 6 : 전방사변면
7 : 후방사변면, 8 : 밑면
9,9',9 : 측부 오목부 12 : 선현측 연결축
13 : (주) 액압실린더 16a,16b : (부) 액압실린더
18 : 돌출부 19,37a : 앞끝
23 : 압착제 25 : 창구멍
26 : 앞부분 사변면 27 : 뒷부분 사변면
28 : 끝면 35,35',35 : 중심선 오목부,
37 : 선수연결축 38 : (선수) 액압실린더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계압선(繫押船)과 부(艀)선과의 연결장치에 관해서, 상당한 파도의 영향하에 있어서도 계압선과 부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그리고, 큰 홀수변화범위에 있어서 3점 지지의 형상에 의한 양선의 강결합을 실현해서, 내항 성능이 우수한 계압선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계압선과 부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① 양선을 로우프로 연결하는 것, ② 좌우동축의 연결축으로 양선을 상대적인 종방향 요동을 허용하도록 경첩과 같은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 ③ 양선을 상대적으도 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강결합하는 것의 세가지 상립으로 크게 나눌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상기의 ③의 계압선과 부선을 강연결하는 방법으로서는 초기에 주로 미국에서 발명된 것이 여러가지 있다. 그리고, 이 초기의 각종의 방식은 부선의 선미를 특수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 선미부분에 계압선을 선수부터 끼워넣게한 것이었으나, 이것들은 계압선·부선의 쌍방이 만재상태에서만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홀수변화에 대한 순응성이 거의 없고, 또, 부선의 홀수가 충돌사고 등으로 크게 변화했을 때에 긴급이탈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한편, 각종 홀수관계에 있어서 양선의 강결합을 가능하게 한 연결 장치로서는, 본 출원인의 발명에 의한 장치(일본국 특공소 51-40532호 공보) 및 그것에 유사한 것(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50-60994호 공보, 동 실공소 52-38000호 공보)가 있다. 이것들은 계압선의 선수끝과 양현으로부터 합계 3개의 연결축을 돌출시켜, 그 앞끝을 부선의 선체에 걸음으로써, 계압선을 3점으로 지지한 형상으로 하여 양선간에 강결합을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부선의 선체에 설치한 겉기부에 상하로 복수단으로 형성해 놓으면, 복수의 홀수관계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비상사태에는, 연결축을 끌어들임으로서 긴급 이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3개의 연결축으로된 3점 지지식 강결합은, 상기 ②의 2개의 연결축으로 된 경첩형상의 연결에 단지 연결축 한개를 부가한 것과 같이 일부변형물과 같이 보일지 모르나, 양자의 성질에는 크게 다른 점이 있다. 즉 2개의 연결축에 의한 경첩형상의 연결로는 예로서 부선의 피칭(pitching)으로 계압선의 연결기 위치가 들어올려져도, 계압선의 선미는 수중에 있고 충분한 부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연결축에 걸리는 상하방향의 하중은 현저히 작으며, 그대신 경사파중에는 받는 전후방향의 하중이 현저히 크다, 한편, 3개의 연결축에 의한 강결합에서는, 부선이 피칭하면 계압선은 전체가 안아올리는 형상이 되므로, 연결축의 상하방향의 하중이 현저히 크며, 전후방향의 하중은 작다. 이와같이 하중의 성질에 큰차가 있으므로, ②의 경첩형상의 연결과 ③의 강연결에서는 장치 전체의 설계의 원칙이나 형상도 현저하게 다른 것이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의 3개의 연결축을 사용하는 연결장치는 강연결로서 최저의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나, 부선의 계지부는 어느 것이나 선체에 마련된 구멍이므로, 파도로 배가 요동하고 있을때에는 연결축(핀)을 쉽게 끼워넣을 수가 없고, 또, 구멍을 복수단으로 설치한다 해도, 그 칫수가 크므로 상하방향의 간격이 크게되고, 실제로 2 내지 3곳에서 연결할 수 있음에 불과하며, 홀수관계가 그것들의 중간에 있을 때에 연결을 하고자 하면, 대량의 물 밸러스트(ballast)를 사용하여 홀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항내에서 부선의 하역을 하고 있을 사이에는, 계압선은 부선으로부터 떼어놓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결을 우선 선현측의 연결축의 마찰걸림에 의해 시작함으로써 파도에 요동되고 있을 경우의 연결 제1단계를 용이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 계압선과 부선과의 큰 상대적운동을 멈추게하고, 계속해서 이 마찰걸림연결을 조금 느슨하게함과 동시에 다단톱니 선택 맞물림 방식의 연결로 변경하고, 다시 즉시 마찰걸림방식에 의한 연결을 하여 선현측 연결축에 의한 연결을 상기 양방식을 병용하는 연결로 변경하고, 계속해서 즉시 선수연결축에 의해 다단톱니 선택맞물림 방식을 형성해서, 이것으로 3점 지지식 강연결을 실현해서 고도의 내항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또 동시에 마찰걸림을 병용하고 있음을 이용해서, 하역중의 부선의 홀수변화에의 순응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량한 계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계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장치는 계압선의 선체에 그 계압선의 양현으로부터 횡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이 자유로운 선현측 연결축을, 또 선수끝에 그 선체의 길이방향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이 자유로운 선수연결축을 각각 액압실린더등에 관계시켜 설치하고, 한편 부선의 선미에는 상기 계압선을 선수로부터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 오못한 곳을 설치해서 계약선과 부선을 상기 선현측에 연결축과 선수 연결축에 의해 3점 지지의 형상으로 강연결할 수 있는 계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곳의 양쪽벽에는 그 오목한 곳을 향해서 개방됨과 함께, 그 개방구멍을 향해서 폭이 점차 크게되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홈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홈의 밑면상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대략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 병렬시키고, 그리고 한개 한개는 상기 오목한 곳을 향해서 개방하는 동일형상의 측부 오목부를 설치하고, 한편, 상기 선현측 연결축의 선외끝은 상기 측부 오목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대략 쐐기형상의 앞끝을 가진 돌출부를 형성해서, 이 돌출부에는 상기 축부오목부의 직립위치에 있어서 상기홈의 전방 및 후방사변면(斜邊面)의 사이에 밀착끼워 맞춤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돌출부의 앞끝이 출몰할 수 있는 창구멍을 설치한 압착제를 별도로 설치한 액압실린더등에 관계되게 부착하고, 또 상기 오목한 곳의 깊숙한 끝에는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상기 측부 오목부와 같은 모양으로 대체로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 병렬시키고, 또한 한개 한개는 이 오목한 곳을 향하여 개방하는 동일형상의 중심선 오목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선수연결축의 선외끝에는 상기 중심선 오목부와 말착끼워맞춤할 수 있는 대략 쐐기형상의 앞끝을 설치하여 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부선(1)의 선미에는 계압선(3)의 선체를 그 선수(4)부터 삽입할 수있는 오목한 곳(2)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오목한 곳(2)은 계압선(3)이 연결된 때에, 계압선(3)의 선체가 오목한 곳(2)에 소요외 간극을 갖고 끼워넣어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곳(2)의 양측벽에는 오목한 곳(2)을 향하여 서서히 그 폭이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개방된 대략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수직방향으로 뻗는 홈(5)을 설치하고 있다. 이 홈(5)은 부선(1)의 선수 및 선미측에 각각 상당하는 수직평면인 전방사변면(6)과 후방사변면(7), 그리고 그것들을 홈(5)의 밑바닥으로 연결하는 밑면(8)으로되며, 밑면(8)상에는 그 밑면(8)의 수직방향 중심선을 대략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 병렬시켜, 한개 한개는 상기 오목한 곳(2)을 향해서 개방하는 동일형상의 측부오목부(9,9',9,…)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 측부오목부(9,9',9,…) 상호간은 각각 돌기(10,10',10,…)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2개의 수직평면인 전방사면면(6) 및 후방사변면(7), 밑면(8) 및 밑면(8)상에 설치된 측부오목부(9,9',9,…)를 그 구성부분으로 하는 홈(5)은, 후술하는 것과 같은 계압선(3)의 양선현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선현측 연결축의 선외끝에 형성된 돌출부의 쐐기형상의 앞끝을 측부오목부(9,9',9,…)의 어느것에 끼워맞춤으로써 이것을 지지하고, 또다시 그 돌출부에 부착한 압착체를 받아넣어서 이것을 상기 전방 및 후방사변면(6,7)에 압착시키는 방법의 압착 겸 맞물려들어가기 걸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계압선(3)의 양연측부의 선체중심선에 대해 대칭의 위치에 설치한 비교적 건 설현측 축받이(11)에는 선현측의 연결축(12)이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부착되어 있고, 이 선현측의 연결축(12)의 선내끝은 계압선(3)의 선체상에 설치된 주액압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4)와 서로 상대적 회전이 자유롭도록 이음쇠(15)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선현측의 연결축(12)은 후술하는 압착체등의 이것에 장착된 것과 함께, 선내에 설치한 액압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보내지는 액압에 의해 주액실린더(13)의 작용에 따라 전진과 후퇴를 하고, 또 전진한대로의 위치에 펌프나 축압기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급된 액압력을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외향 압출력을 유지하고,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힘으로 선현축의 연결축(12)이 되밀려지도록 할때에, 체크밸브의 작용으로 이것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의 선현축의 연결축(12)을 전전·후퇴시키는 기구로서는, 주액압실린더(13)에 의하는 것 외에, 회전모우터와 나사봉과의 조합등 다른 방석의 장치를 사용할수도 있다.
선현측의 연결축(12)의 선외끝에는 상하의 방향으로 큰 높이를 갖는 돌출부(18)가 설치되며, 이 돌출부(18)에는 상하로 긴 압착체(23)가 수평핀(21,2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압착체(23)의 외면은 부선(1)의 오목한 곳(2)에 설치된 홈(5)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수평핀(21,22)의 앞끝은 돌출부(18)의 양측면에 설치된 긴 홈(24a,24b)에 각각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고, 압착체(23)는 선현의 연결축(12)내에 조립되어 있어서 동시에 작동하는 서로 연결된 2개의 부액압실린더(16a,16b)의 각 피스톤로드(17a,17b)에 의해 선외방향으로 압출되고, 그리고 선현측 연결축(12)이 주 액압실린더(13)의 작용에 의해 선외방향으로 압출되어, 압착체(23)가 홈(5) 속에 압입된때에, 그 압착체(23) 외면의 앞부분 사변면(26) 및 뒷부분 사변면(27)은 홈(5)의 전방사변면(6) 및 후방사변면(7)에 각각 밀착하지만, 그 끝면(28)은 홈(5)의 밑면(8)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0,10',10,…)에 접촉하지 않는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착체(23)가 부액압실린더(16a,16b)의 작용에 의해 선외방향으로 압출된 때에는, 돌출부(18)의 앞끝(19)이 압착체(23)의 끝면(28)으로부터 외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 압착체(23)에는 돌출부(18)의 앞끝(19)을 출몰시키는 창구멍(25)을 설치해 좋고 있음과 함께, 그 압착체(23)의 외면의 앞부분 사변면(26)과 뒷부분 사변면(27)에는 경질고무등의 마찰이 큰 피복(29 및 3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선현측의 연결축(12)이 주액압실린더(13)의 작용으로 압출되고, 또 압착체(23)가 부액압실린더(16a,16b)의 작용으로 홈(5)으로 압입되어 그 앞뒤부분의 사변면(26 및 27)이 홈(5)의 앞뒷부분 사변면(26 및 27)에 각각 압착되면 끝면(28)은 홈(5)의 밑바닥의 어떤 부분에도 접촉되어 있기 않으므로, 선현측 연결축(12)과 압착체(23)를 외향으로 압출력을 유지하면, 압착체(23)와 홈(5)과의 사이에는, 쐐기작용에 의해 피복(29 및 30)의 마찰효과와 더불어 큰 마찰력이 발생하고, 어느정도의 파도에 의한 힘을 받아도 압착체(23)가 홈(5) 속에서 상하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마찰걸림연결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마찰걸림연결이 형성된 상태로, 부액압실린더(16a,16b)의 압출측(헤드측)의 액압을 빼고, 동시에 주액압실린더(13)의 압출측(헤드측)으로 액압을 가하면, 선현측 연결축(12)은 다시 압출되어 그 돌출부(18)의 앞끝(19)은 대략 쐐기형상인 측부 오목부(9, 9', 9,…)의 어느것과도 밀착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앞끝(19)은 측부 오목부(9, 9', 9,…)중의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에 끼워넣고, 압착체(23)는 수평핀(21,22) 이 홈(24a,24b)내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돌출부(18)와는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앞끝(19)이 측부 오목부(9, 9', 9,…) 중의 어느 것인가와 삽입을 완료한 때에 부액압실린더(16a, 16b)의 압출측으로 액압을 가해서 피스톤로드(17a,17b)를 압출하고, 이것으로 압착체(23)를 홈(5)안으로 압입하면 선현측 연결축(12)에 의해 연결을 완료한다. 그리고, 압착체(23)를 선외쪽으로 압출함에는 상기와 같은 부액압실린더(16a,16b)외의 회전모우터와 나사봉의 조합등, 다른 방법에 의한 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부액압실린더(16a, 16b)의 헤드측 및 로드측의 공간은 선현측 연결측(12)의 선내 끝까지 도입된 관(31 및 33) 및 이것들에 각각 접속되는 고압 고무호오스등의 가요관(32 및 34)에 의해 선내의 액압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이 압력원으로부터 보내지는 액압에 의해 부액압실린더(16a,16b)가 작동해서, 압착체(23)를 미끄럼이동 전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부선(1)의 오목한 곳(2)의 가장 깊숙한 끝에는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상기한 측부 오목부(9, 9', 9,…)와 같은 모양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 병렬시키고 그리고, 한개 한개는 상기 오목한 곳(2)을 향하여 개방하는 동일 형성의 중심선 오목부(35,35',35,…)를 마련하고, 한편, 계압선(3)의 선수(4) 끝에 설치한 비교적 긴 선수축받이(36)에는 선수 연결축(37)이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이 선수연결축(37)의 선내 끝에는 계압선(3)의 선체상에 설치한 선수액압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9)와 서로가 상대적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이음쇠(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수의 연결축(37)은 선내에 설치한 액압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보내지는 액압에 의해 작동하는 선수액압실린더(38)의 작용에 의해 전진과 후퇴를 하고, 또 전진한 채로의 위치에서 펌프나 축압기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급된 액압력에 의해 외향력을 유지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수의 연결축(37)을 전진과 후진시키는 기구로서는 선수 액압실린더(38)에 의한 것외에, 회전모우터와 나사봉과의 조합등, 다른방식의 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선수의 연결축(37)의 선외측 앞끝(37a)은 중심선의 오목부(35,35',35,…)의 어느것과도 밀착끼워맞춤할 수가 있는 대략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앞끝(37a)은 이것들의 중심선 오목부(35,35',35,…)중의 대략 같은 높이에 있는 것에 끼워넣고, 이것으로 선수의 연결축(37)에 의한 연결이 완료되어, 이 한개의 선수 연결축(37)과 상기의 2개의 선현측의 연결축(12)의 공동작용에 의한 계압선(3)과 부선(1)과의 3점 지지식 강연결이 달성되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연결장치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을 하기 전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함과 같이 선현측 연결축(12)은 선현측 축받이(11)속으로, 또 선수연결축(37)은 선수축받이(36)속으로 각각 끌어넣어져, 모두 계압선(3)의 선내를 향해 후퇴한 위치에 있다. 또, 계압선(3)의 선수(4)의 앞끝부분에는 통상 연질의 방현재(41)를 부착하고 있고, 계압선(3)을 선수(4)로부터 부선(1)의 오목한 곳(2)에 끼워넣고, 방현재(41)가 오목한 곳(2)의 가장깊숙한 끝에 접촉했을때에 압착체(23)의 끝면(28)의 선수측 끝 즉 끝면(28)과 앞부분 사변면(26)과의 수직방향으로 뻗는 교선이 홈(5)의 전방사변면(6)의 입구끝으로부터 약간 후방, 즉 선미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선현측의 연결축(12)과 홈(5)과의 상대위치를 정하고 있다. 여기서, 부액압실린더(16a,16b)를 작동시켜서 압착체(23)를 선외방향으로 압출시키고, 그 압출에 의해 나옴이 끝난 시점에서 부액압실린더(16a,16b)의 작동측 출입구를 폐쇄해서 압착체(23)가 후퇴할 수 없게 해놓고, 이어서, 주액압실린더(13)를 작용시켜서 선현측의 연결축(12)을 선외방향으로 압출시키면 이미 압출되어 있는 압착체(23)의 앞부분 사변면(26)은 그 외측의 일부가 홈(5)의 전방사변면(6)의 입구부근의 일부에 최초로 접촉하고 서현측의 연결축(12)이 다시 압출되면 압착체(23)는 그 앞부분 사변면(26)이 홈(5)의 전방 사변면(6)의 위를 마끄러짐으로써 접차 홈(5) 속으로 진입하고, 동시에 전방사변면(6)의 경사에 상당하는 분만큼 계압선(3)이 후방으로 되밀려져서, 방현재(41)와 오목한 곳(2)의 가장 깊숙한 끝과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해서, 압착체(23)의 후방사변면(27)이 홈(5)의 후방 사변면(7)에 접촉된 시점에서 선현측 연결축(12)의 외향운동은 정지한다. 이 상태를 제9도에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주액압실린더(13)내의 압력을 펌프나 축압기둥에 의해 유지해주면 압착체(23)와 홈(5)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유지되어 이것들의 상대적 상하미끄러짐이 방지되고, 이것으로 마찰걸림에 의한 예비 연결이 완료된 것이 된다.
다음으로, 부액압실린더(16a,16b)의 압출측의 액압을 빼주면 압착체(23)는 바깥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미끄럼이동하면서 인입될 수가 있게 되고, 압착체(23)와 홈(5)과의 사이의 마찰력은 소실된다.
이와동시에 주액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서 선현측의 연결축(12)을 압출시키면 돌출부(18)의 앞끝(19)은 측부의 오목부(9, 9', 9,…)중의 대략 동일 높이에 있는 것을 선택해서 여기에 삽입한다. 여기에서 즉시, 또한번 부액압실린더(16a,16b)를 작동시켜서 압착체(23)를 압출시키고, 홈(5)의 전후방 양사변면(6,7)으로 압착시키면 압착체(23)와 홈(5)과의 압착 및 측부 오목부의 한개와 선단(19)과의 맞물림에 의한 조합효과에 의해, 선현측 연결축(12)에 의해서 확실한 연결이 성립된다.
이 상태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이것에 계속해서 선수액압실린더(38)를 작동시켜서 선수의 연결축(37)을 밀어내고, 그 앞끝(37a)을 중심선의 오목부(35,35', 35,…)중의 대략 동일 높이에 있는 것에 끼워넣고, 선수액압실린더(38)의 압출측의 액압을 펌프나 축압기둥(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도입된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면, 선수의 연결축(37)에 의한 연결이 완료되고, 여기서 2개의 선현측의 연결축(12)과 한개의 선수연결축(37)의 공동작용에 의한 강고한 3점 지지식 강연결이 달성되고, 이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계압선단은 보통의 일체형 선박과 다를 것이 없는 우수한 내항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파도가 높아서 선단이 크게 상하운동이나 종요동을 하고 있을 때에도, 선현측 연결축(12)의 돌출부(18)는 큰 높이를 가져, 상하 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안전한 연결 항해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항내에서 부선의 하역을 하고 있을때에는 부선의 홀수가 서서히 변화하지만, 이때, 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파도가 극히 낮고, 파도에 의해 연결장치가 받는 하중도 극히 작다. 따라서, 연결장치를 상기한 바와같이 제9도에 도시하는 마찰걸림에 의한 예비연결의 상태로 해놓는 것임으로도 충분히 안전한 연결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하역에 의해 부선의 홀수가 변화하면, 계압선과의 사이에 홀수의 평형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적당한 간격으로 주액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서 선현측의 연결축(12)을 조금 인입시키면, 압착체(23)와 홈(5)과의 사이의 마찰이 없어지므로, 계압선(3)은 그때 발생하고 있는 홀수차 만큼 순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해서 평형위치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다시 주액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서, 서현측의 연결축(12)을 전진시켜, 압착체(23)의 면을 홈(5)의 면에 압착시켜서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선은 새로운 홀수관계에서의 연결로 이행하고, 부선의 하역에 대한 홀수조정은 완료한 것이 된다. 이와같이 연결을 이완시킴으로써 홀수조정을 미리 설정된 적당한 시간간격으로 자동적으로 행하면, 양선을 항상 대략 평형상태에서 연결한 상태로 해놓을 수가 있고, 하역중에 계압선을 부선으로부터 떼어내서 따로 계류할 필요가 없어지며, 또 부근을 통과하는 다른 배에 의해 발생한 파도로 인해 계압선이 동요하거나 하는 불편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으며, 그 연결장치는 일견 상기의 일본국 특공소 51-4053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장치와 성능에 있어서 대차가 없는 것같이 보일지 모르나, 양자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선행장치에서는 연결축의 선단을 부선의 오목한 곳에 설치한 홈에 다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톱니 사이의 오목부에 직접 끼워넣지 않으면 안되며, 선박이 파도 때문에 어느정도 이상 동요하고 있으므로, 이 끼워넣기 동작이 위험하게 되어 연결을 할 수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단지 압착체가 부선의 홈으로 진입해서 압착될뿐이며 마찰력에 의한 예비연결을 실현하고, 연결위치에 있어서의 양선의 상대적 운동의 대부분을 멈추크로, 이 단계까지의 동작은 어지간한 파도가 있어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장치에서는, 선현측의 연결축의 선단과 오목부와의 맞물림에 의한 최종연결로의 이행을 파도에 의한 동요 사이의 적절한 시기에 단시간에 충분히 행함으로써 전체의 연결작업으로서는 상기의 선행장치에 의한 것보다 훨씬 높은 파도속에서도 가능한 것이다. 또 계압선의 선수방현재가 부선의 오목한 곳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 접촉한 후에는, 우선 압착체를 계속해서 선현측을 연결축을 밀어내는 동작으로부터 시작하는 일련의 동작은 모두 액압실린더등의 동력장치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연결을 위한 직접 인력작업은 필요치 않으며, 조타 실로부터의 완전한 원격조작에 의해 연결 및 분리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서, 항내에서의 부선은 하역중에는 부선을 마찰력에 의한 예비연결상태로 해놓고 계압선의 홀수를 부선의 홀수변환에 순응시켜서 수시로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이 조정작업은 시간간격을 미리 설정해서 자동적으로 할 수도 있는등, 3점 지지형상으로 강결합할 수 있는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로서는 극히 유효하다.

Claims (1)

  1. 계압선(3)의 선체에 그 계압선(3)의 양현으로부터 횡방향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이 자유로운 선현측 연결축(12)을, 또 선수(4)끝에 그 선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이 자유로운 선수 연결축(37)을 각각 액압실린더(13,38)등으로 관계되게 설치하고, 한편 부선(1)의 선미에는 상기 계압선(3)을 선수(4)로부터 끼워넣을 수 있게 한 오목한 곳(2)을 설치해서 계압선(3)과 부선(1)을 상기 선현측의 연결축(12)과 선수의 연결축(37)에 의해 3점 지지형상으로 강연결시킬 수 있는 계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곳(2)의 양쪽벽에는 그 오목한 곳(2)을 향해서 개방함과 동시에 그 개방구멍을 향해서 폭이 점차로 크게되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의 홈(5)을 수직방향으로 따라서 설치하고, 이 홈(5)의 밑바닥(8) 위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대략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 병렬시켜놓고, 그리고 하나 하나는 상기 오목한 곳(2)을 향해서 개방하는 동일형상의 측부 오목부(9,9',9",…)를 설치하고, 한편, 상기 선현측 연결축(12)의 선외끝은 상기 측부 오목부(9,9',9",…)에 끼워넣어지는 대략 쐐기형상의 앞끝(19)을 가진 돌출부(18)를 형성해서, 이 돌출부(18)에는 상기 측부 오목부(9,9',9",…)의 직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홈(5)의 전방 및 후방 사변면(7)의 사이에 밀착 끼워맞춤할 수 있고, 그 돌출부(18)의 앞끝(19)이 출몰할 수 있는 창구멍(25)을 마련한 압착체(23)를 별도로 설치한 액압실린더(16a,16b) 등에 관계되게 부착하고, 또 상기 오목한 곳(2)의 가장 깊숙한 끝에는 수직방향의 중심선을 따라서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상기 측부 오목부(9,9',9",…)와 같이 대략 등간격으로 다단적으로병렬시켜놓고, 그리고, 한개 한개는 그 오목한 곳(2)을 향해서 개방하는 동일형상의 중심선 오목부(35,35',35,…)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선수 연결축(37)의 선외끝에는 상기 중심선 오목부(35,35',35",…)와 밀착 끼워맞춤할 수 있는 쐐기형상의 앞끝(37a)을 설치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장치.
KR1019900013513A 1989-09-01 1990-08-30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KR970010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773 1989-09-01
JP1989101773U JP2535034Y2 (ja) 1989-09-01 1989-09-01 押船と艀との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08A KR910006108A (ko) 1991-04-27
KR970010822B1 true KR970010822B1 (ko) 1997-07-01

Family

ID=1430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513A KR970010822B1 (ko) 1989-09-01 1990-08-30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50522A (ko)
EP (1) EP0415434B1 (ko)
JP (1) JP2535034Y2 (ko)
KR (1) KR970010822B1 (ko)
CA (1) CA2024200A1 (ko)
DE (1) DE6901293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53A (ko) * 2015-06-12 2016-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501B1 (en) * 1999-04-30 2001-03-13 Intercontinental Eng. Mfg. Corp. Articulated tug and barge mobile lightering connection
US6487985B1 (en) * 2001-08-14 2002-12-03 Clare J. Kuhlman Tug and barge connector and receiver apparatus
FI20021441A (fi) * 2001-09-07 2003-03-08 Acomarin Engineering Ltd Oy Laite työntöhinaajan kytkemiseksi puskuproomuun
US6637361B1 (en) * 2001-12-31 2003-10-28 Hoerkkoe Tuija Arja Tuulikki Connecting device for a push-barge system
US6612253B1 (en) * 2002-04-29 2003-09-02 Clare J. Kuhlman Apparatus for coupling tug boats to barges
US20060169190A1 (en) * 2005-02-02 2006-08-03 Kuhlman Clare J Tug barge lightering connection system
US7757622B2 (en) 2005-05-09 2010-07-20 Umoe Mandal As Transfer of wheeled objects
EP2310257B1 (en) * 2008-07-15 2012-07-11 Taisei Engineering Consultants, Inc. Apparatus for coupling a pushboat to a barge
US9061742B2 (en) 2011-08-05 2015-06-23 Great Lakes Dredge and Dock Company, LLC Articulated tug barge, trailing suction hopper dredge system
KR102039907B1 (ko) * 2018-01-31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KR102039905B1 (ko) * 2018-02-01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495A (en) * 1966-10-20 1970-05-19 Us Freight Co Selectively connectable boat and barge
JPS5437397B2 (ko) * 1972-03-06 1979-11-14
US3837315A (en) * 1973-06-08 1974-09-24 Sharp Inc G Tug-barge system and method
US3910219A (en) * 1973-10-05 1975-10-07 Aoki Construction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JPS5432237B2 (ko) * 1973-10-05 1979-10-12
JPS5736200B2 (ko) * 1974-04-15 1982-08-02
JPS5238000U (ko) * 1975-09-09 1977-03-17
JPS6141678Y2 (ko) * 1981-04-10 1986-11-27
JPS61275087A (ja) * 1985-05-29 1986-12-05 Takuma Yamaguchi 押船と艀との連結装置
US4688507A (en) * 1985-07-05 1987-08-25 Intercontinental Engineering-Manufactur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coupling tugboats to bar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53A (ko) * 2015-06-12 2016-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2492U (ko) 1991-04-22
KR910006108A (ko) 1991-04-27
JP2535034Y2 (ja) 1997-05-07
US5050522A (en) 1991-09-24
DE69012933D1 (de) 1994-11-03
EP0415434B1 (en) 1994-09-28
EP0415434A1 (en) 1991-03-06
DE69012933T2 (de) 1995-05-11
CA2024200A1 (en) 199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822B1 (ko)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US3735722A (en) Rigid disconnectable coupling for waterborne vessels
US3844245A (en) Means of connecting pusher boat and barge
US3935831A (en) Means of connecting a pusher boat and a barge
CN102089203B (zh) 用于将推船联接到驳船的联接装置
US4805548A (en) Means of connecting a pusher boat and a barge
US4446808A (en) Barge-tug connection apparatus
US3962983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CN109795086A (zh) 一种自锁抽芯机构及其自锁方法
CN209718512U (zh) 一种自锁抽芯机构
CN113047230A (zh) 一种港口船舶防撞装置
FI96831B (fi) Tapa, jolla kytketään yhteen puskija ja proomu
US3374761A (en) Hydraulic stabilizer for boat steering
JPH092375A (ja) 押し船と艀との連結装置
CN220303058U (zh) 便携式破拆用单接口液压油管
JPH038998B2 (ko)
JPH0729035Y2 (ja) 船の連結装置
CN110758656A (zh) 一种推进船与驳船齿条式连接结构
CN116853438B (zh) 一种水污染治理用开体泥驳船
US20050016433A1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barge and an equipment for connecting a pusher to a barge
CN215290091U (zh) 一种机械连接件及预制构件组合
CN217976821U (zh) 自锁式艏跳板插销油缸
KR102039905B1 (ko)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JPH08290797A (ja) 押し船と艀との連結装置
RU2551777C1 (ru) Барже-буксирный соста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