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469B1 -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 Google Patents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469B1
KR970010469B1 KR1019890009808A KR890009808A KR970010469B1 KR 970010469 B1 KR970010469 B1 KR 970010469B1 KR 1019890009808 A KR1019890009808 A KR 1019890009808A KR 890009808 A KR890009808 A KR 890009808A KR 970010469 B1 KR970010469 B1 KR 97001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thylene
olefi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977A (ko
Inventor
마사시 아오시마
다다시 진노
나오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0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469B1/ko
Publication of KR91000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예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각조 파이프, 호스 등에 대한 단열재, 완충재료로서 유용한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및 이러한 튜브형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브형 EPDM 발포체를 사용하는 각종 파이프, 호스 등의 피복 또는 쟈켓팅은 이제까지 단열 및 보호를 목적으로 널리 실용화 되었었지만, 열-수축력을 갖는 튜브형 발포체는 없었다. 통상적으로, 파이프, 호스 등의 외면에 및/또는 튜브형 발포체의 내면에 윤활제를 도포한 후, 파이프, 호스 등을 튜브형 발포체에 밀어넣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압력을 가하여 튜브형 발포체를 팽창시킨 후 파이프, 호스 등을 팽창된 튜브형 발포체에 밀어넣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튜브형 발포체를 세로로 절단하여 개봉하고, 파이프, 호스 등을 튜브형 발포체에 삽입하고 발포체 둘레를 테이프로 감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튜브형 발포체를 사용하여 파이프, 호스 등을 피복시켰었다.
한편 JP-A-58-51121은 α-올레핀이 4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폴리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열-수축 시이트를 제안하고 있다.
튜브형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발포체에 파이프, 호스 등을 삽입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파이프, 호스 등에 윤활제 도입, 발포체의 가압 및 팽창 조직 및 삽입 조작의 저효율 및 가압으로 인한 튜브형 발포체의 파열과 같은 각종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피복시 안정성 및 고효율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호스 등을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기재의 튜브형 발포체로 피복시키는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 기술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0중량부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20중량부의 발포체, 50∼200℃의 비캣(Vicat) 연화점을 갖는 5∼100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및 10중량부 이하의 교차결합제를 함유하는 열-수축 발포체용 조성물, 100중량부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20중량부의 발포체 및 50∼200℃의 비캣 연화점을 갖는 5∼100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튜브형으로 성형하고, 튜브를 교차-결합 및 발포 시키고, 튜브의 내부에 가압하여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조성물을 튜브형으로 성형시키고, 튜브를 교차결합 및 발포시키고, 튜브의 내부에 가압하여 튜브를 팽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의 제조 방법 및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사용하는 파이프 또는 호스의 쟈켓팅 방법이 제공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예를 제시한다. 이 도면에서, 숫자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
1…압출기
2…연속 교차결합 가열기(열풍 오픈, 고주파 가열기, 용융염 매질 유동화 베드 매질)
3…스퀴즈롤 A
4…항온 가열기(오븐 또는 적외선 가열기)
5…극간 게이지
6…냉각욕
7…스퀴즈롤 B
8…권취기
9…압축공기
우선,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및 그의 조성물을 기술한다. 상술한 대로, 튜브형 EPDM 발포체는 이미 파이프, 호스 등의 열팽창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어 왔지만, 이 발포체는 열수축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파이프, 호스 등을 발포체로 피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는 피복 조작을 유리하게 한다는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중 에틸렌/α-올레핀의 중량비는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85/15∼40/60이다. α-올레핀의 종류도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프로필렌 및 부텐-1이 바람직하다. 비공역 디엔의 종류 역시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노르보르넨, 고리형 디엔 및 지방족 디엔이고, 이중 바람직한 것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1,4-헥사디엔이다.
조성물의 한 성분인 열가소성 수지는 발포체에 열수축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는 50∼200℃, 바람직하게는 75∼100℃의 연화점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특정에는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각종의 다른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 수지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바람직하게는 5∼10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부의 양으로 배합시킨다. 그 양이 5중량부 미만이면, 생성 발포체의 열수축력이 너무 낮다. 그 양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가공력 감소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제의 종류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바람직한 발포제에는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가 포함된다. 우레아 화합물과 같은 발포 보조제를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에틸렌-α-올레핀-빛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8중량부의 양으로 배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및 발포제외에 충전물, 교차결합제, 교차결합 촉진제, 활성제, 연화제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충전물은 카아본 블랙, 탄산칼슘, 활석, 미분 규산 및 점토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무에 배합된 형태이다. 교차결합제로는, 황 및/또는 황 화합물을 예를 들면 교차결합 촉진제와 조합하거나 조합하지 않고 사용한다. 조세 교차결합제의 양은 절대적이지 않다. 그 양은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일반적으로 1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다. 적당한 교차결합 촉진제에는 징크 디메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징크 디에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염 또는 치환 디티오카르밤산; 디펜타메틸티우람 테트라술피드 및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술피드와 같은 티우람 화합물; 메르캅 로벤조티아졸 및 디벤조티아질 디술피드와 같은 티아졸 화합물; 및 티오우레아 화합물, 구아니딘 화합물, 크산토겐산염, 알데히드아미드 암모니아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 조성물의 교차결합을 위해, 황 및 황 화합물이외에 퀴노이드 화합물 및 유기 퍼옥시드도 교차결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퀴노이드 화합물 또는 유기퍼옥시드에는 p-벤조퀴논 디옥심, p,p'-디벤조퀴논 디옥심, 디쿠밀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및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포함된다.
활성제의 특정예에는 산화아연, 지방산의 아연염, 탄산아연 및 스테아르산이 포함된다. 적당한 연화제는 고무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프로세스유(process oils), 윤활유, 파라핀등이다. 상기 성분이외에도, 필요한 경우에 항산화제, 가고 보조재 및 다른 첨가물을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튜브형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기술하겠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분을 밴버리(Banbury)믹서 또는 반죽기와 같은 내부 믹서, 또는 롤 밀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반죽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죽 온도는 일반적으로 50∼210℃이다. 그러나, 발포제, 교차결합체, 교차결합 촉진제 등을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반죽하여 분해 및 스코칭(scorching)을 방지한다.
성분을 반죽하여 수득된 조성물을 압출기를 통해 튜브로 성형시키고, 튜브를 연속 교차결합 가열기에 도입하여 교차결합 및 발포시킴으로써, 비팽창 튜브형 발포체를 제조한다.
교차결합 및 발포를 위한 연속 교차결합 가열기의 특정예는 온풍 오븐, 고주파 가열기, 용융 염 매질, 유동화 베드 매질 및 다른 가열 장치이다.
튜브를 열가소성 수지 성분의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내부를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수득된 튜브를 방사상으로 팽창시키고, 즉시 냉각한다.
항온 가열기의 특정예는 각종 오븐, 적외선 가열기등이다.
또한, 상기 조작을 계속 수행함으로써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겠다.
즉, 연속 교차결합 가열기에서 교차결합 및 발포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기재의 뜨거운 튜브형 발포체를 스퀴즈 롤로 니핑하여 튜브의 내부 구멍을 차단하고, 튜브의 차단점과 말단 사이의 부분을 튜브의 말단으로부터 그안에 압축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방사상으로 팽창시킨다.
이 조작 동안에 튜브의 팽창 부분을 냉각욕에 도입하여, 그 부분의 형태 및 크기를 고정시킨다.
그런 후, 처리된 튜브를 가압장치가 설비된 튜브 권취기에 감는다. 이 방법으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기재의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계속해서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도를 참고로, 상기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압축기(1)을 통해 성형된 튜브를 연속 교차결합 가열기(2)에 도입하여 튜브를 교차결합 및 발포시킨다. 연속 교차결합욕(2)에서 생성된 뜨거운 튜브형 발포체를 스퀴즈롤 A(3)으로 니핑시켜 튜브의 내부 구멍을 차단한다. 그런 후, 튜브의 차단점과 말단 사이의 부분을 항온 가열기(4)에 도입하고 튜브의 내부에 가압하여 일정한 정도로 팽창시키지만, 연속 교차결합의 조건 및 환경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 이 항온 가열기(4)를 생략할 수 있다. 튜브의 차단점과 말단 사이의 부분은 압축 공기(9)를 이 부분에 권취기(8)을 통하여 도입하여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방사상으로 팽창시킨다. 팽창된 튜브의 외경을 극간 게이지(5)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한정 조건하에서 방사상으로 팽창된 튜브형 발포체를 냉각욕(6)에 도입하여 형태 및 크기를 고정시킨다. 냉각욕(6)으로부터의 튜브형 발포체를 권취기(8)에 감는다. 권취의 전환 동안에 압축 공기의 도입을 중지시킬 때 튜브의 니핑을 위해 스퀴즈 롤(7)을 사용한다.
발포후, 열 수축력을 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조작 효율 및 열 효율이 높고, 튜브의 길이에 따라 뻗치는 정도가 낮아 튜브의 세로 치수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튜브의 세로치수는 가공 동안에 거의 변하지 않는다.
각종 파이프 및 호스를 피복시킬 경우, 본 발명의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는 열가소성 수지 성분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를 방사상으로 수축시켜 단열, 보호 및 다른 목적으로 견고한 쟈켓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더 상세히 설명되는데, 이것은 설명이 목적이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2 및 3 및 대조예 1]
표 1에 제시된 조성물의 혼합물을 1.7-l밴버리 믹서에서 반죽한 후, 10-인치를 밀에서 반죽하여 조성물을 수득한다. 각 반죽 조성물을 45-㎜ 압출기 및, 외경 10-㎜ 및 내경 5-㎜의 환상 다이를 통하여 튜브형으로 성형시킨다. 각 압축 조성물을 연속 교차결합 가열기에 도입시켜 조성물을 교차결합시키고, 200℃에서 발포시킨다.
수득된 발포체의 비중을 표 2에 제시한다.
Figure kpo00001
주, (1) ESPRENE 505 : EPDM(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고무,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2) SEAST SO : 카아본 블랙(Tokai Carbon Co., Ltd. 제품)
(3) SUMIKATHENE G808 : 저밀도 폴리에틸렌(비캣 연화점 : 79℃,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3') SUMIKATHENE F221-1 : 저밀도 폴리에틸렌(비캣 연화점 : 97℃,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4) EVATATE H2011 :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비캣 연화점 : 82℃,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5) CELMIC A :
발포제 :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화학식 : CHNO
Figure kpo00002
제조원 : Sankyo Kasei Co., Ltd.
(6) CELTON NP : 우레아 및 그 유도체
제조원 : Sankyo Kasei Co., Ltd.
수득된 각 튜브형 발포체의 한쪽 말단을 봉하고, 100℃로 가열 및 유지하고, 다른 쪽 말단으로 압축 공기를 도입함으로 내부에 가압하여 원래 직경의 1.5배로 팽창시키고, 냉수에 담가 바로 냉각시켜서 튜브형 발포체의 크기를 고정시킨다.
표 2는 또한 압력 제거후의 각 팽창 튜브흥 발포체의 내경 및 각 발포체의 팽창 정도, 즉 비팽창 발포체에 대한 발포체의 내경비를 나타낸다. 대조예 1의 발포체는 낮은 팽창 정도, 즉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지 않은 이 발포체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원래 발포체의 내경과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2 및 3의 발포체는 높은 팽창 정도를 나타내며, 압력 제거후, 그것은 팽창 직후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유지한다.
수득된 튜브형 발포체를 100℃의 온풍으로 가열한 후, 각 발포체의 내경을 측정하고, 각 발포체의 내경 수축율(%)을 결정한다. 이 측정 결과도 표 2에 제시한다. 실시예 1, 2 및 3의 튜브형 발포체는 우수한 열 수축력을 가져서, 가열에 의해 원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수축된다.
Figure kpo00003

Claims (10)

100중량부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20중량부의 발포제 및 50∼200℃의 비캣(Vicat) 연화점을 갖는 5∼100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튜브형으로 성형시키고, 튜브를 교차결합 및 발포시키고, 튜브의 내부에 가압하여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중 α-올레핀이 프로필렌 또는 부텐-1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중 에틸린/α-올레핀의 중량비가 85/15∼40/60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중 비공역 디엔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1,4-헥사디엔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비캣 연화점이 75℃∼100℃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또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100중량부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 1∼20중량부의 발포제, 50∼200℃의 비캣 연화점을 갖는 5∼100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및 10중량부 이하의 교차결합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발포체용 조성물.
제8항에 따른 조성물을 튜브형으로 성형시키고, 튜브를 교차결합 및 발포시키고, 튜브 내부에 가압하여 튜브를 팽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파이프 또는 호스를 제1항에 따른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로 쟈켓팅시키는 방법.
KR1019890009808A 1989-07-10 1989-07-10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KR97001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808A KR970010469B1 (ko) 1989-07-10 1989-07-10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808A KR970010469B1 (ko) 1989-07-10 1989-07-10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977A KR910002977A (ko) 1991-02-26
KR970010469B1 true KR970010469B1 (ko) 1997-06-26

Family

ID=1928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808A KR970010469B1 (ko) 1989-07-10 1989-07-10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4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977A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562A (en) Extrusion coating method with polyolefin foam
JP3380816B2 (ja) 超低密度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発泡可能な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US4327193A (en) Foaming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certain higher ethers, esters or anhydrides
ZA958267B (en) Moldable polyolefin beads
US4680317A (en) Molding composition for crosslinked foam material from polyolefins and ethylene-propylene elasto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foam material
GB2099434A (en) Extrusion process for propylene resin foams
US4345041A (en) Foaming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N-(higher alkyl) C.sub. -C8 amides
US4552708A (en)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foam
JPH0952983A (ja) 高発泡絶縁ポリエチレン用の発泡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被覆して作った高発泡絶縁ポリエチレン被覆電線
US5071886A (en) Heat-shrinkable, tubular foam
KR970010469B1 (ko) 열-수축 튜브형 발포체
US5043115A (en) Heat-shrinkable, tubular foam
KR10158823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고무 발포단열재와 그 제조방법
JP2002518571A (ja) 発泡さ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物品
EP0412172B1 (en) Heat-shrinkable, tubular foam
PL145298B1 (en) Method of making boards and/or blocks of foamed network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ylene
US5114987A (en) Foamed polymer blends
EP1336064B1 (en) Thermal insulation metallocene polyethyle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7278365A (ja) 低密度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発泡可能な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830001834B1 (ko) 가교풀리올레핀 연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JPS599336B2 (ja) ポリオレフイン発泡体の製造方法
JP2505543B2 (ja) 結晶性プロピレン系樹脂含有発泡体の製造方法
KR840001712B1 (ko) 고급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로 안정화시킨 발포성 합성수지 조성물
JP2603858B2 (ja) 球状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の製造法
KR850000112B1 (ko) 지방족 올레핀 중합체의 발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