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669B1 -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669B1
KR970009669B1 KR1019940008108A KR19940008108A KR970009669B1 KR 970009669 B1 KR970009669 B1 KR 970009669B1 KR 1019940008108 A KR1019940008108 A KR 1019940008108A KR 19940008108 A KR19940008108 A KR 19940008108A KR 970009669 B1 KR970009669 B1 KR 97000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nolithic
pulse
semiconductor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420A (ko
Inventor
정형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레이져
정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레이져, 정형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레이져
Priority to KR101994000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669B1/ko
Priority to TW084103321A priority patent/TW272321B/zh
Priority to GB9507556A priority patent/GB2288689A/en
Priority to ITMI950765A priority patent/IT1273557B/it
Priority to DE19514066A priority patent/DE19514066A1/de
Priority to BR9501372A priority patent/BR9501372A/pt
Priority to CN95105043A priority patent/CN1120752A/zh
Priority to FR9504595A priority patent/FR2720859A1/fr
Publication of KR95003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9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semiconductor switches with more than two PN-junctions, or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01S5/0421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ing contacting layers
    • H01S5/042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ing contacting layers with n- and p-contacts on the same side of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H03K3/5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the switching device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01S5/0428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for applying pulses to the 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Thyr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제1도는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전체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의 에너지저장매체에 대한 구성도로서,
(a)는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의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의 정면도.
(d)는 (c)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의 반도체 스위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a)는 P1-n-i-P-n+ 구조의 반도체 스취치를 나타낸 것이고,
(b)는 (a)의 평형조건에서의 에너지대역의 다이어그램.
(c)는 (a)의 순방향바이어스에서의 에너지대역의 다이어그램.
제4도는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고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수단 200 :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
300 : 트리거링광원 및 구동수단 400 :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
500 : 고출력레이저 어레이 1 : 반도체기판
2 : 금속전극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적으로 활성 동작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다이리스터형 구조로 형성하여 고신뢰도, 고효율, 고펄스반복주파수, 고출력펄스를 얻을수 있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경우 고출력, 고펄스반복주파수, 고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드라이버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에서 상세히 언급한바 있고, 특히 기출원(출원번호 94-5497)에서 단일의 고저항 반도체 웨이퍼 기판위에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와 광학적으로 활성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일체화하여 표유 인덕턴스와 표유 캐패시턴스 영향을 최소화하고, 그결과 신속한 턴온 및 턴오프시간과 고피크출력, 고펄스반복주파수를 갖는 레이저펄스 발생에 매우 효과적이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경우, 이상적인 동작조건에서 출력레이저 펄스폭은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의 불균일 임피던스 스트립라인에서의 이방향파 천이시간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불균일 임피던스 스트립라인은 양호하게 이루어진 균일 스트립라인 구조에 비하여 전류 이득을 유도하게 되어 고출력, 고펄스반복주파수, 고효율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라이버의 동작은 스위치를 턴온하기 위해 광학에너지를 트리거링하는 광학적으로 활성화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필요로 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통상의 광학적으로 활성화되는 스위치의 출력증력이 증가함에 따라 요구되는 트리거링 광학 에너지 레벨도 급격히 상승한다.
그결과, 광학적으로 활성화되는 스위치에 따라 트리거링 레이저 드라이버의 능력과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활성화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다이리스터형 구조를 형성하여 고신뢰도, 고효율, 고펄스반복주파수, 고출력, 펄스형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기판상에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와 광활성화 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집적화한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화 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다이리스터 구조인 P+-n-i-P-n+형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제어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 시스템 구성은 제어수단(100),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 모노리식 광활성반도체수단(400), 고출력레이저 어레이(50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고, 제어된 신호를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에 출력함과 아울러,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에 출력한다.
상기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은 상기 제어수단(10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AC 전원 및 밧데리로부터 유도된 주전기에너지를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에 인가함과 아울러, 모노리식 광활성반도체수단(400)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은 상기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에서 인가된 주전기에너지를 트리거하여 저 혹은 중간 출력의 레이저광을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 매체와 트리거광에 의하여 턴 온, 오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고전류펄스로 변환 광활성 반도체 스위치를 단일 반도체 기판상에 집적구성시키되, 상기 광활성 반도체 스위치는 P+-n-i-P-n+ 스위치 구조를 갖는 다이리스터형으로 구성시켜,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으로부터 레이저광에 의하여 스위칭되면서 저장된 장전에너지를 고전류임펄스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고출력레이저 어레이(500)는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고전류 임펄스를 고출력 광펄스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고출력레이저 어레이(500)는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고전류 임펄스를 고출력 광펄스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수단(100)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수단(100)에서는 상기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을 제어하여 AC 전원 및 밧데리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을 주전기 에너지조건으로 만들어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에 인가함과 아울러,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에너지 저장매체에 저장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으로부터의 트리거광원이 광활성 반도체 스위치로 입력될 때 상기 에너지저장매체에 저장된 정전에너지를 고전류임펄스로 변환하여 상기 고출력 레이저 어레이(50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고출력 레이저 어레이(500)는 고출력 광펄스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의 (a-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후단에는 고출력 레이저 어레이(500)와 별개의 부하 매칭 임피던스를 접속한다.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은 제2도의 (a-d)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일 반도체기판(1)상에 에너지저장 캐패시터와 광활성형 반도체 스위치의 기능을 집적 시킨다.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은 에너지저장매체와 수직형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되며, 팬형과 같은 일정하지 않은 임피던스 스트립라인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심상에 원형으로 일정하지 않은 임피던스 스트립라인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동일범주에 속한다.
상기 에너지저장 캐패시터는 반도체기판(1)의 양측에 금속전극(2)을 접합 형성한다.
그 구조는 n-i-p형으로 되어 있다.
모노리식 에너지 저장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이 캐패시터속에 저장된 정전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εo은 물질의 유전율, εr은 유전체의 유전상수, A를 전극의 면적, d는 장치의 두께, V는 펄스바이어스 전압이다. 이 모노리식장치로부터 예상되는 출력 레이저 펄스폭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t는 에너지 저장매체에서의 이 방향파 천이시간, L은 에너지 저장매체의 내외측 연부사이의 전극길이이다.
제3도 (a)는 본 발명 모노리식 반도체수단의 다이리스터형 반도체 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이리스터형 반도체 스위치는 P+-n-i-P-n+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제3도 (b)는 다이리스터형 반도체 스위치의 평형조건에서 에너지-밴드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제3도 (c)는 다이리스터 반도체 스위치에 순방향 바이어스 동작조건에서 에너지-밴드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순방향 바이어스 동작조건에서는 크게 도우프된 P1+와 n1층에 의해 생긴 접합부 J1과, 크게 도우프된 P2와 n2+층에 의해 생긴 접합부 J2은 순방향 바이어스 P-n 접합부가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바이어스 전압은 중심 n-i-P 다이오드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펄스 바이어싱 기간동안 영역 n1-i-P2(n-i-P다이오드)는 차단다이오드로서 작용한다.
상기 P+-n-i-P-n+구조인다이리스터형 스위치에 트리거링 광펄스가 도입될 때, 전자-정공쌍이 차단 n-i-P 다이오드 내측에서 발생된다.
이들 광자-발생전자-정공쌍은 전기장에 의해 분리되어 광전류를 일으킨다.
그래서 i층을 통과하는 전압은 급격히 감소되고, P1+-n1 및 P2-n2+접합부에 전달되도록 광전류가 i 영역의 전도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P1+-n1 및 P2-n2+접합부로부터의 캐리어 주입은 스위치의 턴온을 도와 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명령이 제어수단(100)에 전송되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는 작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먼저, 전력조건 및 충전수단(200)이 동작하면서, AC 출력라인 또는 밧데리로부터의 주출력을 제어하여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에너지 저장매체인 에너지 저장캐패시터를 펄스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에너지 저장매체에 펄스바이어스 전압이 피크전압에 도달되는 시점에서 상기 트리거광원 및 구동수단(300)의 트리거링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는 매우 높은 펄스반복주파수에서 신속 상승시간 피크 전압(광펄스)을 발생한다.
상기 발생된 피크전압(광펄스)는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트리거링 반도체 스위치 즉 다이리스터형 P+-n-i-P-n+스위치 속으로 도입된다.
상기 적정 파장뿐만 아니라 충분한 광출력을 갖는 트리거링 광펄스가 상기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상의 다이리스터형 구조의 P+-n-i-P-n+스위치의 활성영역속에 침투하면, 충분한 갯수의 광자-발생전자-정공쌍을 생성하고, 스위치 절환을 시작하여 완전폐쇄(도통)스위치상태를 절환된다. 즉 스위치가 턴온되면 펄스 바이어스된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다이리스터형 스위치 내측전극에서의 경계조건은 고임피던스(개방상태)로부터 고전도성(폐쇄상태)으로 전환된다.
상기 내측 전극에서 경계조건이 고전도성이 됨에 따라서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400)의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 속에 저장된 정전에너지는 진행파가 되어 다이리스터형 스위치를 통해 흐르기 시작하여 고전류 임퍼스로서 고출력 레이저 어레이(50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고출력 레이저 어레이(500)에서는 제4도 (a)(b)(c)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출력 레이저펄스폭을 갖는 레이저광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캐패시터와 레이저광에 의하여 턴온,오프되면서 전기 에너지를 고전류펄스로 변환하는 광활성 반도체 스위치를 단일반도체 기판상에 집적시키되, 상기 광활성 반도체 스위치를 다이리스터형 구조의 P+-n-i-P-n+스위치로 구성하여 줌으로써, 고진폭 전류펄스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노리식 광활성 반도체수단은 표유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같은 나쁜 회로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득회로를 제공함은 물론, 또한 낮은(또는 중간의) 출력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의 트리거링 광펄스로 스위칭 턴온하면 극히 신속한 상승 및 하강시간을 얻게 되어, 고펄스반복주파수에서신속한 상승시간 및 하강시간을 갖는 고출력 레이저 출력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하나의 기판상에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와 광활성화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집적화한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화 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다이리스터 구조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리스터 구조는 P+-n-i-P-n+스위치로 접합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KR1019940008108A 1994-04-18 1994-04-18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KR97000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108A KR970009669B1 (ko) 1994-04-18 1994-04-18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TW084103321A TW272321B (ko) 1994-04-18 1995-04-07
GB9507556A GB2288689A (en) 1994-04-18 1995-04-11 Laser diode driver incorporating monolithic semiconductor storage capacitor and optically activated thyristor switch
ITMI950765A IT1273557B (it) 1994-04-18 1995-04-13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laser a semiconduttore a potenza elevata che utilizza un dispositivo a semiconduttore monolitico con un commutatore strutturato come un tiristore
DE19514066A DE19514066A1 (de) 1994-04-18 1995-04-13 Treiberstufe für gepulsten Hochleistungs-Halbleiterlaser mit thyristorartigem Halbleiterschalter
BR9501372A BR9501372A (pt) 1994-04-18 1995-04-13 Acionador de diodo laser
CN95105043A CN1120752A (zh) 1994-04-18 1995-04-17 高功率激光二极管驱动器
FR9504595A FR2720859A1 (fr) 1994-04-18 1995-04-18 Circuit de commande de diode laser de grande puissance utilisant un composant à semiconducteur monolithique à interrupteur à structure de type thyr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108A KR970009669B1 (ko) 1994-04-18 1994-04-18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20A KR950030420A (ko) 1995-11-24
KR970009669B1 true KR970009669B1 (ko) 1997-06-17

Family

ID=1938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108A KR970009669B1 (ko) 1994-04-18 1994-04-18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970009669B1 (ko)
CN (1) CN1120752A (ko)
BR (1) BR9501372A (ko)
DE (1) DE19514066A1 (ko)
FR (1) FR2720859A1 (ko)
GB (1) GB2288689A (ko)
IT (1) IT1273557B (ko)
TW (1) TW272321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4403B (ko) * 1972-07-03 1974-02-18 Bofors Ab
US5121401A (en) * 1990-05-03 1992-06-09 Motorola, Inc. Pulsed modulators utilizing transmission lines
US5280168A (en) * 1991-11-25 1994-01-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apered radial transmission line for an optically activated hybrid pul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8689A (en) 1995-10-25
CN1120752A (zh) 1996-04-17
KR950030420A (ko) 1995-11-24
TW272321B (ko) 1996-03-11
ITMI950765A1 (it) 1996-10-13
IT1273557B (it) 1997-07-08
GB9507556D0 (en) 1995-05-31
DE19514066A1 (de) 1995-11-23
FR2720859A1 (fr) 1995-12-08
BR9501372A (pt) 1995-11-14
ITMI950765A0 (it) 199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0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aser diode sources
EP0048146B1 (en) Solid state optically coupled electrical switch
US6111454A (en) Power supply circuit
US4782222A (en) Bulk avalanche semiconductor switch using partial light penetration and inducing field compression
US4695733A (en) Photoconductive power switch
US8294078B2 (en) Optically-triggered multi-stage power system and devices
EP0226395B1 (en) Solid state relay having a thyristor discharge circuit
KR970009744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US5062113A (en) Light source drive device
US4216485A (en) Optical transistor structure
US5444729A (en) High power, high pulse repetition frequency, compact, pulsed laser diode driver
US4625182A (en) Optically triggered bulk device Gunn oscillator
US4347437A (en) Light activated switching by the avalanche effect in semiconductors
US4520277A (en) High gain thyristor switching circuit
KR970009669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GB2288484A (en) High power, pulsed laser diode driver incorporating low impedance storage capacitor
JPH0645633A (ja) 半導体光スイッチとその駆動方法
US5418807A (en) High power, high pulse repetition frequency, compact, pulsed laser diode driver
US5406572A (en) High power, high pulse repetition frequency, compact, pulsed laser diode driver
US4386283A (en) Process for the cutting-off of a thyristor
GB2286483A (en) High power, pulsed laser diode driver incorporating low impedance storage capacitor
US5477556A (en) High power laser diode driver utilizing a monolithic semiconductor device with a thyristor-like structured switch
US5051789A (en) Device having two optical ports for switching applications
US7002188B2 (en) Laser-gated and pumped multi-layer semiconductor power switch with reduced forward losses
KR970009668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