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676B1 -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676B1
KR970008676B1 KR1019940029151A KR19940029151A KR970008676B1 KR 970008676 B1 KR970008676 B1 KR 970008676B1 KR 1019940029151 A KR1019940029151 A KR 1019940029151A KR 19940029151 A KR19940029151 A KR 19940029151A KR 970008676 B1 KR970008676 B1 KR 97000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all
decrease
channel
fix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089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676B1/ko
Publication of KR96002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에 대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무선 전화기의 고장 장치에 대한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제어부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량 증감부20 : 제1제어부
30 : 공채널 검출부40 : 제1위상 동기부
50 : 제1송수신부60 : 제2무선 송수신부
70 : 제2제어부80 : 제2위상 동기부
90 : 표시 구동부100 : 표시부
110 : 음량조절부120 : 제1저장부
130 : 제2저장부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전화 통화를 가능케하는 휴대 장치와 이 휴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국선 교환기와 접속되어 송수신을 담당하는 고정 장치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는 국선 선로와 접속되어 국선 선로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인가받아 호출음을 내는 한편, 휴대 장치와 국선 선로간을 무선으로 연결하므로써 사용자가 휴대 장치로서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젼화 통화는 크게 착호시의 통화와 착호시의 통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착호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편이에 따라 전화기를 훅킹 오프하고 다이얼링을 행하므로써 전화 통화가 수행되나, 착호시에는 호출음에 의하여 호출된 사용자가 전화기를 훅킹 오프하므로써 전화 통화가 수행된다. 따라서, 착오시에 전화기의 사용자가 전화기가 멀리 떨어져 있어 호출음을 청취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착호 상태에서도 전화 통화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호출음을 청취하지 못하는 경우는 무선 전화기의 경우에는 유선전화기의 경우 보다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무선 전화기의 사용자는 휴대 장치를 구비하고 고정 장치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 바, 호출음을 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무선 전화기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고정 장치로 별도로 음량 조잘 장치를 구성하고, 호출음량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 음량 조절 장치를 조절하여 호출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장치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고정 장치의 음량 조절 장치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고정 장치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장치의 호출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에서 호출 증감신호에 따라 호출음량을 조절하는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을 음량 증감키 및 음량증감완료 버튼이 구성된 휴대 장치로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음량 증감 버튼이 구동되면 상기 고정 장치와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고정 장치와의 채널이 설정되면, 기저장된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호출음량의 표시후, 음량 증감버튼의 구동에 따라 호출 증감 신호를 고정 장치에 송신하고, 송신된 호출 증감 신호에 대응하는 호출음량을 저장 및 표시하는 단계와, 호출 증감신호의 송신후 음량 증감 완료 버튼이 구동하면 상기 고정 장치와 설정된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음량 조절 방법을 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어에 따른 호출음량 증감 신호를 출력하는 음량 증감부(10)와, 음량 증감부(10)의 호출음량 증감 신호를 인가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 출력하는 제1제어부(20)와, 제1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공채널을 검출하는 공채널 검출부(30)와, 공채널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을 설정하는 제1위상동기부(40)와, 제1위상 동기부(40)에서 설정된 채널에 따라 제1제어부(20)와, 고정 장치간의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송수신부(50)와, 제1제어부(20)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구동부(90)와, 표시구동부(90)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현재의 음량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표시부(100)와, 제1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된 음량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제2도에는 상술한 휴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고정 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로 휴대 장치의 제1송수신부(50)와 통신을 행하는 제2송수신부(60)와, 제2송수신부(6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제어부(70)와, 제2제어부(7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을 설정하는 제2위상동기부(80)와, 제2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호출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110)와, 음량 조절부(110)에서 조절된 호출음량의 레벨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전화기를 보면 음량 증감부(10)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에 실장되어 있으며 버튼 등으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이 작거나 크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음량 증감부(10)의 버튼 등을 작동시키게 되며, 버튼의 작동에 따라 음량 증감부는 호출음량 증가 또는 감소 신호를 출력한다.
제1제어부(20)는 음량 증감부(10)에서 출력된 호출음량 증감 신호를 인가받아 휴대 장치내 제1제어부(20)의 구동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휴대 장치내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공채널 검출부(30)는 제1제어부(20)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타인이 점유하고 있지 않은 즉,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채널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공채널 검출부(30)에 의해 공채널이 검출되면 제1제어부(20)는 이 공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제1위상 동기부(40)에 제공하며, 제1위상 동기부(40)는 이 채널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로 제1송수신부(50)가 제1제어부(50)의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한다.
표시 구동부(90)는 제어부(70) 휴대 장치와 고정 장치간에 채널이 연결되어 무선으로 송수신이 수행되면 고정 장치의 현재 착신음량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표시부(100)는 상기 표시구동부(90)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고정장치의 현재 음량상태를 액정화면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고정장치의 착신음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제1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착신음량 조절 데이타를 저장한 후 상기 제1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독출된다.
제2송신부(60)는 고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으며 설정된 채널의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설정된 채널의 데이타를 수신하게 된다.
제2제어부(70)는 제2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고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를 알고리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위상 동기부(80)는 제2제어부(70)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2송수신부(60)의 채널을 상기 제1송수신부(50)의 채널로 설정하므로써 제1,2송수신부(50,60)간에 통신이 가능케 한다.
음량 조절부(11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호출음량을 증감시키며, 제2저장부(120)는 음량 조절부(110)에서 증감된 호출음량의 레벨을 저장하고, 이 저장된 정보를 제2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출력한다.
제3도는 제1 및 제2도의 제1 및 제2제어부(20)(70)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착신음량 조절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1제어부(20)는 음량 증감부(10)의 버튼 즉, 호출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작동하였는가를 판단하여(400) 작동한 경우에는 공채널 검출부(30)로 하여금 때 타인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공채널이 있는가를 검사케 하고, 검사한 결과 공채널이 없을때 경고음을 발생시킨다(402)(404).
그러나, 공채널 검출부(30)를 통하여 공채널 유무를 검출한 결과 공채널이 있을 경우 제어부(20)는 제1위상 동기부(40)로 하여금 검출된 채널로 제1송수신부(120)의 채널을 설정하므로써 고정 장치와의 채널 연결을 시도한다(406).
그리고, 제어부(20)는 고정 장치와의 채널 연결을 시도한 후 채널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채널이 연결되지 않았을때 채널연결을 재시도한다(408).
이어, 무선 전화기의 고정 장치와 휴대 장치간에 채널이 연결되었을때에 제어부(20)는 표시 구동부(90)로 하여금,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이전 호출음량을 표시부(100)에 표시케하여 휴대 장치의 현재 호출음량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호출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410).
그 다음, 제어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음량 증감부(10)의 음량증가 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고(412), 음량 증감부(10)의 음량증가 버튼이 작동되면, 상술한 제1송수신부(50)를 통하여 호출음량 증가 신호를 고정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 조절된 현재의 호출음량의 레벨을 제1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지정된 호출음량 레벨을 상기 표시부(100)에 표시하게 된다(414,420).
상기 단계와는 반대로, 상기 음량증감부(10) 음량증가 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으면 제어부(20)는 음량 증감부(10)의 음량감소 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고(416). 음량 증감부(10)의 음량감소 버튼이 작동되면, 상술한 제1송수신부(50)를 통하여 호출음량 감소 신호를 고정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 조절된 현재의 호출음량의 레벨을 제1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이 호츨음량의 레벨을 표시부(100)에 표시하므로써 사용자가 변화된 호출음량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418,420).
이와 같이 휴대 장치로부터 호출음량 증가 신호 또는 호출 음량 감소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음량 조절부(11)의 호출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과정을 행하게 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호출음량을 출력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음량 증강부(10)를 제동작하여 음량 증감의 완료를 명하는 음량 증감완료키가 구동되었는지를 판단하고(422), 음량 증감 완료키가 구동하였으면, 고정 장치와의 채널 연결을 중지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424).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사용하여 고정 장치의 호출 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무선 전화기에서 호출 증감 신호에 따라 호출음량을 조절하는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을 음량 증감 키 및 음량증감 완료 버튼이 구성된 휴대 장치로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량 증감 버튼이 구동되면 상기 고정 장치와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400~408)와, 상기 고정 장치와의 채널이 설정되면, 기저장된 고정 장치의 호출음량을 표시하는 단계와(410), 상기 호출음량의 표시 후, 상기 음량 증감 버튼의 구동에 따라 상기 호출 증감 신호를 상기 고정 장치에 송신하고, 송신된 호출 증감 신호에 대응하는 호출음량을 저장 및 표시하는 단계(412~420)와, 상기 호출 증감신호의 송신후 상기 음량 증감 완료 버튼이 구동하면 상기 고정 장치와 설정된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422,424)를 구비하는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KR1019940029151A 1994-11-08 1994-11-08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KR97000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151A KR970008676B1 (ko) 1994-11-08 1994-11-08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151A KR970008676B1 (ko) 1994-11-08 1994-11-08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89A KR960020089A (ko) 1996-06-17
KR970008676B1 true KR970008676B1 (ko) 1997-05-28

Family

ID=1939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151A KR970008676B1 (ko) 1994-11-08 1994-11-08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6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89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589B2 (en) Handsfree device
JPH0583194A (ja) 携帯用無線電話
GB2344028A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hands free arrangement and voice recognition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910007709B1 (ko) 무선전화장치
US842295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volume control method
US6904289B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annunciates when a mobile telephone is out of a service area
KR920009332B1 (ko) 무선 전화기
EP071331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970008676B1 (ko) 무선 전화기의 호출음량 조절 방법
JP2003023476A (ja) 情報通信装置
KR200600003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 원격 제어 방법
JP2850794B2 (ja) 着信音自動調整機能付携帯電話機
JP4182373B2 (ja) 通信装置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JP2962261B2 (ja) 携帯電話機
JPH06326660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チャンネル切替装置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313356Y1 (ko) 국선을 이용한 휴대폰
KR0184504B1 (ko) 무선전화기에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잠금방법
JP2000196713A (ja) 電話機の着信通知方法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JP3253648B2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