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437B1 -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437B1
KR970008437B1 KR1019940006267A KR19940006267A KR970008437B1 KR 970008437 B1 KR970008437 B1 KR 970008437B1 KR 1019940006267 A KR1019940006267 A KR 1019940006267A KR 19940006267 A KR19940006267 A KR 19940006267A KR 970008437 B1 KR970008437 B1 KR 97000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oling air
plate
cooling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49A (ko
Inventor
성관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437B1/ko
Publication of KR95002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풍량분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냉각팬의 덕트에 취부시켜 냉각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15' : 배출공
20 : 1실21 : A실
22 : B실23 : C실
30 : 2실40 : 연통구
50 : 곡면판
본 발명은 전장실내의 냉각덕트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한개의 냉각팬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마그네트롬과 파워모듈의 2방향으로 분리하여 송풍시키도록 한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장실내의 주요구성부품인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 즉 고압트랜스, 고압콘덴서, 필라멘트트랜스등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각팬을 사용하는데, 예를들면 가정용 소형 전자렌지는 한개의 냉각팬을 전장실내에 설치하여 그 냉각팬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전장실전체를 순환하면서 상기 부품을 냉각시켰다. 하지만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경우는 상당히 크기때문에 냉각팬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상기 부품으로 송풍시키기 위해서 냉각덕트를 전장실내에 설치한 후, 그 덕트를 통하여 소풍되는 냉각공기를 상기 부품을 냉각시키는 방식이었다.
종래 생고무, 섬유등의 산업용제품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주파 가열기의 경우, 용량이 커야하고 고주파의 출력세기도 또한 강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맞게 전장부품인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도 다수개를 사용하거나 큰것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부품에는 고열이 발생함에 따라 이 부품을 냉각시켜 온도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냉각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냉각팬을 설치하고 그 냉각팬에 덕트를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한개의 냉각팬을 설치하고 그 냉각팬에 설치되는 덕트를 복잡하게 서로 연결하는 등의 여러가지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장실내의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고압콘덴서, 필라멘트트랜스등의 위치는 전장실을 최적으로 구성키 위해 성능, 조립성, 보수유지의 용이성들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결정하여 설치한 후에, 소수개의 냉각팬에 상기 다수개의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는 덕트를 연결하려면 덕트시스템이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원가상승 및 덕트조립의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렇게 복잡한 구조로 구성하여 송풍시키는 경우에 그 복잡하게 얽히고 설킨 덕트를 통과하여 냉각공기가 유통되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러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개의 냉각팬에서 송풍되는 냉각공기를 마그네트롬과 파워모듈의 2방향으로 분리송풍함으로써 전장실내의 냉각덕트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조립 및 보수 유지등을 용이하게 한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본체를 구성하되, 1실과 2실로 나누어 1실은 냉각공기를 파워모듈로 보내는 A실과, 마그네트론으로 보내는 B실과, 2실을 통해 파워모듈로 보내는 C실로 3등분하고, 2실은 냉각공기를 파워모듈로 보내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을 보다 상세하게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팬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다수개의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보내는 장치를 냉각팬의 덕트(60)에 설치함에 있어서, 본체(10)의 전면과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1실(20)은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일측면을 통하여 파워모듈로 보내는 A실(21)과,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바닥의 배출공(15')을 통하여 마그네트론으로 보내는 B실(22)과,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연통구(40)를 통해 연통된 2실(30)을 통해 파워모듈로 보내는 C실(23)로 3등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1실(20) 위에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2실(30)은 상기 C실(23)을 통해 들어온 냉각공기를 개방된 일측면을 통하여 파워모듈로 보내도록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본체(10)는 절곡되어 양측판이 형성된 상부판(11), 배출공(15')이 형성된 평판의 하부판(15), 평판의 측판(14), 후판(13) 및 풍량조절판(16), 절곡되어 일측판이 형성된 중간판(12)을 서로 결합조립함으로써 형성되고 또는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풍량조절판(16)으로 A실(21)과 B실(22)의 크기를 조절하여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송풍되는 풍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체의 A실(21), B실(22), C실(23), 2실(30)에는 냉각공기가 부딪혀 정체하지 않고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공기가 부딪히는 모서리부분에 곡면판(5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중A실(21), B실(22), C실(23)의 개방된 전면에 냉각팬의 덕트(60)를 설치한 후, 마그네트론 덕트를 B실(22)의 배출공(15')에 연결하고, 파워모듈 덕트를 A실(21)과 2실(30)의 개방된 일측면에 연결하여 설치한 후, 냉각팬을 작동시키면 다음과 같이 냉각공기가 송풍된다.
즉, 에어필터를 통하여 걸러진 외부공기가 냉각팬의 양측에 설치된 레이디얼 팬을 통해서 냉각팬으로 들어온 다음 송풍되어 B실(22)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는 B실(22)에 설치된 곡면판(50)에 의해 냉각공기가 정체하지 않고 배출공(15')을 통하여 마그네트론 덕트로 송풍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냉각시키고, A실(21)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는 A실(21)에 설치된 곡면판(50)에 의해 냉각공기가 정체하지 않고 파워모듈 덕트로 송풍되고, C실(23)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는 C실(23)의 곡면판(50)에 의해 냉각공기가 정체하지 않고 연통구(40)를 거쳐 2실(30)로 들어오고 2실(30)의 곡면판(50)에 의해 원활하게 파워모듈 덕트로 송풍되어 파워모듈의 고열을 냉각시킨다. 즉, A실(21)과 2실(30)의 공기는 합쳐져서 파워모듈로 송풍되는 것이다.
한편,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냉각공기를 송풍시키는 A실(21), B실(22)의 크기와 냉각팬에서 A실(21)과 B실(22)로 송풍되는 냉각공기의 양은 비례하기 때문에 본체(10)를 냉각팬에 결합시키기 전에 A실(21)과 B실(22)을 구분짓는 풍량조절판(16)을 사출성형시 또는 결합조립시 좌우로 조정하여 형성하고 또한 이에 맞게 B실(22)의 배출공(15')을 형성하여 A실(21)과 B실(22)의 크기를 정한다음, 냉각팬에 본체(10)를 결합시킴으로써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송풍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구성을 통하여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유효적절하게 냉각공기를 송풍시킴에 따라 종래 소수개의 냉각팬에 다수개의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덕트시스템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여 원가상승 및 덕트조립의 어려운 문제점과,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첫째, 덕트시스템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고, 둘째, 덕트의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조립 및 보수유지가 쉬워지고, 셋째, 덕트시스템의 단순화의 곡면판(50)이 설치로 인해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넷째, 풍량조절판(16)으로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의 고열 발생정도에 따라 송풍되는 냉각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팬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다수개의 마그네트론과 파워모듈로 보내는 장치를 냉각팬의 덕트(60)에 설치함에 있어서, 본체(10)의 전면과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1실(20)은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일측면을 통하여 파워모듈로 보내는 A실(21)과,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바닥의 배출공(15')을 통하여 마그네트론으로 보내는 B실(22)과, 냉각공기를 개방된 전면과 연통구(40)를 통해 연통된 2실(30)을 통해 파워모듈로 보내는 C실(23)로 3등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1실(20) 위에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2실(30)은 상기 C실(23)을 통해 들어온 냉각공기를 개방된 일측면을 통하여 파워모듈로 보내도록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절곡되어 양측판이 형성된 상부판(11), 배출공(15')이 형성된 평판의 하부판(15), 평판의 측판(14), 후판(13) 및 풍량조절판(16), 절곡되어 일측판이 형성된 중간판(12)을 서로 결합조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풍량분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풍량조절판(16)에 의해 A실(21)과 B실(22)의 크기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는 A실(21), B실(22), C실(23), 2실(30)의 냉각공기가 부딪히는 모서리에 곡면판(50)을 각각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KR1019940006267A 1994-03-28 1994-03-28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KR97000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267A KR970008437B1 (ko) 1994-03-28 1994-03-28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267A KR970008437B1 (ko) 1994-03-28 1994-03-28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49A KR950027349A (ko) 1995-10-16
KR970008437B1 true KR970008437B1 (ko) 1997-05-24

Family

ID=1937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267A KR970008437B1 (ko) 1994-03-28 1994-03-28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4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49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5718A (zh) 热电式空调装置
KR100323515B1 (ko) 3면 토출형 공기 조화기
CN217685396U (zh) 空调室内机
CN211556470U (zh) 一种强力散热控制柜
CN102095227B (zh) 一体式节能空调
KR970008437B1 (ko)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냉각공기 풍량분배 장치
CN211239024U (zh) 一种恒温自动开关柜
CN212204637U (zh) 烹饪电器
CN215121695U (zh) 机柜及无功补偿和谐波抑制设备
WO2017206240A1 (zh) 嵌入式烹饪器具
CN112493876A (zh) 微蒸烤装置
CN113154535A (zh) 空调器室内机
CN217844296U (zh) 一种双ptc加热式暖风机
CN219607202U (zh) 一种模块化拼接式浴霸
CN218942991U (zh) 散热结构及烹饪设备
KR970006076B1 (ko) 산업용 고주파 가열기의 파워공급장치 구조
CN218870011U (zh) 蒸烤一体机
WO2013189020A1 (zh) 一种空调器室外机
CN218540152U (zh) 一种多核衣物干燥器
CN113131353B (zh) 一种自适应模块化智能低压无功功率补偿装置
CN212522448U (zh) 一种导风体及热风内循环式消毒柜
CN219389868U (zh) 一种线型浴霸
CN215486490U (zh) 空气压缩机
CN212746602U (zh) 微波烹饪器具
CN110779082B (zh) 一种空调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