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11B1 -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11B1
KR970007611B1 KR1019940014358A KR19940014358A KR970007611B1 KR 970007611 B1 KR970007611 B1 KR 970007611B1 KR 1019940014358 A KR1019940014358 A KR 1019940014358A KR 19940014358 A KR19940014358 A KR 19940014358A KR 970007611 B1 KR970007611 B1 KR 97000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less
automatic
switch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155A (ko
Inventor
김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611B1/ko
Publication of KR96000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제1도는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와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을 가지는 무선 시스템도.
제2도의 (2a)는 제1도의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 중의 하나의 구체 회로도이고, (2b)는 제1도의 무선시스템(105)의 구체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자동 절환 메시지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의 통화 자동 절환 요구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자동 절환 메시지 포맷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 중의 하나의 통화 자동 절환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시스템(105)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자동 실패시 원래의 무선고정장치(103a∼103c)의 통화 자동 절환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시스템(105)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 성공 판단여부와 본래의 무선고정장치(103a∼103c)로의 통화 자동 절환에 따른 응답 흐름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지역 구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에 대한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무선 전화기는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하나로서 현재의 무선전화기는 아날로그방식으로 46/49MHz의 CT0와, 900MHz의 CT1이 사용되고 있다. 각 가정 및 사무실에서의 무선 전화기의 설치가 늘어나면서 무선전화기의 사용시 혼신 및 잡음이 많아지고, 통화도청의 위험이 있게 되어 이 분야의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무선전화기는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어 '82년도에 미국에 도입되었으며, '84년도에 영국에도 도입되었다. 상기 CT1은 '2nd세대 무선전화기의 약자로서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이다. 기존의 무선전화기가 아날로그 방식인데 대하여 CT2는 디지털방식으로 텔리포인트(Telepoint)라고 불리우는 무선공중망을 통하여 텔리포인트가 설치된 곳의 200m내에서 통화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patsiokas"에 허여된 미국특허 5,218,630호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CT2는 제1도와 기존의 무선전화기처럼 무선 휴대장치(101)와 무선 고정장치(103)로 구성되며, 제10도와 같이 셀 개념을 도입하여 텔리포인트라는 공중 기지국을 사용한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는 89년 1월 영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영국, 유럽, 아시아 각국에서 상용화될 예정이다.
CT2의 기본 사양은 하기 표1과 같이
사용 주파수 864-868KHz로서 채널당 100KHz인 40개의 채널을 갖는다. 전송방식은 FDMA/TDD(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로서 하나의 채널을 가지고, 1ms의 단위로 Tx/Rx(2ms)를 온/오프하여 양방향으로 전송한다. 송신출력은 10mw로서 공중이나 사설 베이스로부터 반경 200m내에서 통화가 가능하다.
정보의 전송속도는 75Kbps(9bit×8KHz)로서 음성코딩은 CCITT G.721의 32Kbps ADPCM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CAI를 기본적으로 한 무선시스템(105)에 적용된 통화 자동 절환 방법으로 무선 시스템(105)으로부터 제10도와 같이 셀(C1∼Cn) 단위로 몇 개의 통화그룹으로 분할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무선시스템(105)으로부터 유선으로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과, 상기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과 무선으로 통화하기 위한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시스템(105)의 통화지역 구분은 제4도와 같이 수십개의 통화그룹(A, B, …)으로 구분된다.
각 통화 그룹은 70∼100m의 반경을 갖고 존재하다. 여기서 통화 자동 절환이란 제4도의 A그룹(Cn)에서 통화중인 사용자가 B그룹(C3)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B그룹(C3)에서 통화를 가능토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통화 자동 절환은 수신 전계강도의 측정값에 따라 핸드오버(Hand over) 절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핸드오버 절체는 통화중인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무선 휴대장치(101a∼101c)로부터 수신전계 강도를 추정하여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을 통해 무선 시스템(105)으로 핸드오버 절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시스템(105)은 이를 받아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로 전계강도 측정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를 받은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은 상기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로부터 오는 수신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무선 시스템(105)으로 전송하면 이때 무선 시스템(105)은 주변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로부터 오는 수신전계 강도를 비교하여 가장 수신전계가 강한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이때 무선휴대장치들(101a∼101c)과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간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음성 채널을 잡아 통신을 실행토록 되어 있다. 이 방법은 1992년 5월 26일자 "Onoda"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117,502호에 상세히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우선 전계강도를 모두 측정하여 이로부터 강한쪽을 찾아 절환을 하므로 절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리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를 위한 제반 처리데이터가 많아지며 어느 일부분의 채널이 제어채널과 음성채널로 각각 고정되어지므로 유효채널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무선 고정장치에서 수신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CAI에 의한 링크의 재설정을 지시하는 방법으로 링크를 설정하므로 절환시간을 단축시키고 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을 구분하지 않고 1∼40채널중에 어느 채널이라도 선택되는 대로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유효채널 사용을 높이는 통화 자동 절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105) 및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2도(2a)는 제1도의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로서, 무선 고정장치(103a∼103c)와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간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RF부(202)와, 상기 RF부(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를 수신하여 레벨을 비교검출하여 출력하는 RSSI 레벨 쉬프팅부(204)와, 상기 RSSI 레벨 쉬프팅부(204)와 연결되어 상기 전계강도의 검출결과 값으로부터 CAI 포트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CAI제어부(206)와, 상기 CAI제어부(206)의 CAI에 의한 링크를 설정토록 제어하고 전 채널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10)와, 사용자의 수신전계 강도를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움직임을 감시하여 수신전계강도가 일정레벨 이하에 있으면 통화 자동 절환을 요구하고 상기 통화 자동 절환 요구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응답이 있으면 이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가능상태를 체킹하여 CAI에 규정된 동기데이터와 링크 재설정 데이터에 따라 통화 자동 절환을 위한 제어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부(208)와, 상기 중앙제어부(210)와 통제부(218)간에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접속되는 RS-232C부(216)와, 상기 중앙제어부(210)와 무선 시스템(105)간에 유선구간을 접속하는 S-인터페이스부(212)로 구성된다.
제2도(2b)는 제1도의 무선 시스템(105)의 구체회로도로서, 상기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과 접속을 위한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304)와, 상기 무선 시스템(105)에 음성안내를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통로를 제공토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308)와, 사설교환기(107)의 가입자 라인 접속을 위한 라인 인터페이스부(312)와,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a∼103c)를 통해 수신되는 통화 자동 절환 요구신호로부터 통화 자동 응답 신호를 발생토록 제어하여 무선 고정장치(103a∼103c)와의 접속을 위해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0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와 같이 CAI를 기본으로 한 무선 시스템(105)에 적용된 통화 자동 절환 방법으로 무선 시스템(105)으로부터 제10도와 같이 몇개의 통화그룹으로 분할되어져 제1도와 같이 무선 시스템(105)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고정장치(103, Cordless Fixed Part)와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에 무선으로 통화를 하기 위한 무선 휴대장치(101, Cordless Portable Part)로 이루어진다. 무선 시스템(105)의 통화지역 구분은 제10도와 같이 수십개의 통화그룹(A, B, …)으로 구분된다. 각 통화그룹은 70∼100m의 반경을 갖고 존재한다. 여기서 통화 자동 절환시 제10도의 A그룹에서 통화중인 사용자가 B그룹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B그룹에서 통화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아래에서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현재 통화중인 A그룹의 무선 고정장치(103)의 RSSI 레벨 쉬프팅부(204)에서 검출된 값을 CAI 제어부(201)를 통해 중앙제어부(210)에서 무선 휴대장치(101)의 수신 전계강도(RSSI)를 일정시간마다 무선 고정장치(101)의 중앙제어부(210)에서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움직임을 감시한다. 이때 무선휴대장치(101)가 B그룹으로 이동함이 감지될 경우 수신전계강도가 점점 낮아지고 일정레벨에 이르면 통화중인 무선고정장치(103)는 내부 중앙제어부(210)에서 통화 자동 절환 요구 정보(341)를 S-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무선 시스템(105)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에서 발생되는 통화 자동 절환 요구 정보(341)는 제5도의 (5a)와 같은 포맷으로 현재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103)가 속한 그룹 Id(A)값과, 통화에 사용되는 채널번호(1∼40중 채널번호)와, 링크 참조값은 CAI에 규정된 값으로부터 다른 무선 고정장치(103)와 구별키 위한 값 및 통화중인 상태변수 값을 CAI에 규정된 송수신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무선 시스템(105)은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정보(342)를 (5b)와 같은 포맷으로 송신하는데, 응답상태는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0인 경우), 주변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에 통화 자동 절환 가능한 경우, 둘째(1인 경우) 주변 무선 고정장치(103a∼103c)가 통화중이거나 통화 자동 절환할 수 없는 경우, 셋째(2인 경우) 주변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실패나 성공이 없는 경우 본래의 통화중이었던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로 계속 통화를 유지하기 위한 경우를 말한다. 통화중인 PID는 현재 통화에 사용한 무선 휴대장치(101a∼101c)의 고유번호로 CAI에 규정되어 있다.
무선 시스템(105)는 주변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에 통화 자동 절환지시 정보(343)를 제공하는데, 이는 (5c)와 같은 포맷으로 송신하는데 그 구성요소는 통화 자동 절환지시 ID, 사용 채널번호 PID 링크참조값 상태변수로 되어 있다. 통화 자동 절환지시 정보(343)를 수신한 주변 무선 고정장치(103a∼103c)의 중앙제어부(210)는 CAI를 제어하여 지정된 채널로 튜닝하고 CAI에 규정된 SYNC 데이터와 링크 재설정 요구데이터 정보(346)를 무선 휴대장치(101a∼101c)에서 수신하면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정보(344)와 CAI에 규정된 링크 재설정 응답정보(347)를 송신한다. 상기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정보(344)는 (5d)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 재설정에 실패한 주변 무선 고정장치(103a∼103c)는 통화 자동 절환 실패 정보(348)를 (5e)와 같은 포맷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3도 관계를 제4도, 제6도∼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4도는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103a∼103c)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 요구흐름도로서, 중앙 제어부(210)는 (401)과정의 통화중 상태에서 RSSI 레벨 쉬프팅부(204)에서 CAI제어부(206)를 통한 무선 전계강도를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402)과정에서 체크한다. 상기 중앙제어부(210)에서 체킹된 수신전계강도는 RSSI 레벨 쉬프팅부(204)에서 처리되어지는데, 통화 자동 절환을 위한 레벨인가를 비교 체킹하여 결과가 특정 레벨이상이면 (401)과정의 통화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403)과정에서 특정 레벨이하이면 (404)과정에서 무선 시스템(105)으로 (5a)같이 통화 자동 절환 요구 정보(341)를 S-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405)과정에서 중앙 제어부(210)는 S-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무선 시스템(105)로부터 (5b)와 같은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정보를 S-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미수신시 계속 통화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정보(34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중앙제어부(210)는 구성요소의 응답상태를 분석하여 '1'인 경우 중앙 제어부(210)는 CAI제어부(206)를 제어하여 (411)과정에서 계속하여 통화상태를 유지하며 위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406)과정에서 '0'인 경우 (409)에서 중앙 제어부(210)는 CAI 제어부(206)를 제어하여 통화중인 무선 휴대장치(101)에 CAI에 규정된 링크 재설정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410)과정에서 대기상태로 천이 한다.
상기 무선고정장치(105)는 하기와 같이 4가지 상태로 구분된다.
① 제어상태 : 무선 휴대장치(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채널을 검색하는 상태
② 대기상태 : 아이들상태
③ 통화상태 : 통화중인 상태
④ 폐쇄상태 : 무선 휴대장치(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구분된다.
제4도의 (404)과정의 무선 시스템(105)의 통화 자동 절환 관계를 제7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무선 시스템(105)의 내부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304)를 통해 메인제어부(306)에서 (5a)의 통화 절환 요구신호를 (701)과정에서 받으면 (401)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103)에 주변 무선 고정장치가 존재하는가를 메인제어부(306)에서 (702)과정에서 조사하여 통화상태이거나 통화 자동 절환을 할 수 없는 상태이면 (5b)의 응답상태 구성요소에 '1'을 설정하여 통화 자동 절환 응답신호를 (705)과정에서 송신하고, 상기 (702)과정에서 가능하면 (703)과정에서 (5b)의 응답상태 구성요소에 '0'을 설정하여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103)에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304)를 통해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704)과정에서 또다른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를 통해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의 주변 무선 고정장치에 (5c)와 같이 통화 자동 절환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706)과정에서 무선 고정장치로부터 (5d나 5e)의 통화 자동 절환 성공이나 실패신호를 수긴 대기한다. 상기 주변 무선 고정장치의 통화 자동 절환은 제6도에서 (601)과정에서 통화 자동 절환지시를 제2도(2a)와 같이 구성된 중앙 제어부(210)에서 수신하고 (602)과정에서 구성요소인 사용채널번호에 의해 튜닝한다. CAI에 의해 링크 재설정 요구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다림. CAI에 의한 특정 동기를 (603)과정에서 검출하고, (604)과정에서 링크 재설정 요구를 (604)과정에서 수신하면 (611)과정에서 무선 휴대장치(101)로 링크 재설정 응답을 송신하고 무선 시스템으로 제5도(5d)와 같이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정보를 송신후 통화 상태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603)과정에서 미검출시나 (604)과정에서 미수신시 (605)과정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타임아웃이 아니면 위의 과정을 반복하고, 타임아웃이면 (606)과정에서 지정된 채널에서 미사용 채널을 스케닝하여 튜닝후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기다린다. 상기 튜닝과정에서 동기신호(SYNC)를 검출 했을시 (608)과정에서 링크 재설정 요구수신 여부 체킹하여 수신했을시 (611)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도 타임아웃동안 링크 재설정 요구를 (609)과정에서 받지 못하면(5e)와 같은 통화 자동절환 실패신호를 (610)과정에서 송신한다. 즉, 상기 링크재설정은 ETSI(European Telecommunitions Standards Institute)에서 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무선 휴대장치(101)가 무선 고정장치(103)와의 링크의 재설정이 완료되면 무선 고정장치(103)에서 무선 시스템(105)으로 "통화 자동 절환 성공"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이때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은 이 신호를 받은 포트(무선 고정장치)로 기존의 통화패스를 연결시키게 되며, 그리고 상기 링크의 재설정은 동기성을 잃은 두 CT2링크 사이를 재동기화 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제6도의 예와 같은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데, 무선 고정장치(103)의 해당 그룹의 기지국이 무선 시스템(105)으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응답"신호를 받으면 기존의 통화중인 무선 휴대장치(101)로 "링크 재설정"을 지시하고, 자신의 무선 고정장치(103)는 대기상태로 천이 하게 되며, 이때 무선 시스템(105)은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를 통화상태로 묶어 놓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무선 고정장치(103)를 대기상태로 만들면 다른 무선 휴대장치가 통화요구시 이 기지국의 통화 하던 모드를 사용하므로 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 시스템(105)은 무선 고정장치(103)의 주변 그룹에 "통화 자동 절환지시"를 하고, 이 정보를 받은 기지국 즉, 무선 고정장치는 지정된 채널로 튜닝을 한 후 기다리게 되는데, 이때 적정레벨 이상의 수신전계강도를 검출시 자신의 그룹에 가까워짐을 판단하여 무선 고정장치(104)에 가까워지면 자동 절환 레벨 이상의 RSSI를 검출하여 SYNC를 검출하려 기다린다. 특히 여기서 특정패턴의 SYNC를 검출하면 무선 고정장치(104)는 "링크 설정 요구" 메시지중에 LID를 검출하여 자신이 보유한 LID("통화 자동 절환지시"의 LID)와 같은가를 비교하여 같으면 PID를 비교하고, 상기 PID가 같으면 "링크 설정 응답"을 응답하고, 무선 시스템(105)으로 "통화 자동 절환 성공"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무선 고정장치(103)과 무선 휴대장치(101)사이에 채널제어(Channel Control)메시지를 통화가능모드로 변경하고 무선 고정장치(105)로 채널설정완료를 보고한다. 이 메시지에 의해 무선 시스템(105)은 통화로를 다른 무선고 장치를 접속한다. 한편, 링크재설정을 받은 무선 휴대장치(101)는 통화로를 절단하고, 다중화(MUX)모드를 변경하며, 기지국측으로 링크설정요구를 전송하고, 이때 링크를 처음 설정할 때 사용하던 LID를 사용치 않으며, 기존 통화중에 사용하던 LID를 사용하여 링크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시스템(105)은 대기상태에서 (706) 주변 무선 고정장치부터 통화 자동 절환 성공여부를 판단한다. (706) 이를 (706)상세히 설명한 것이 제9도이다. 제9도의 (901)과정에서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304)를 통해 (5d)의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송신을 메인제어부(306)에서 수신하면 송신한 무선 고정장치와 통화모드로 (906)과정에서 설정하고, 통화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901)과정에서 통화 자동 절환 성공이 수신않되었을시 메인제어부(306)는 (902)과정에서 일정시간이 경과 또는 통화 자동 절환 실패신호를 수신하면 본래의 무선 고정장치로 (5b)통화 자동 절환 응답신호를 (903)과정에서 응답상태 '2'로 설정하여 무선 고정장치 접속부(304)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송신에 따라 무선 고정장치로 통화 자동 절환에 따른 관계를 제8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903)을 수신하면, (801)과정에서 수신하여 응답상태 '2'인가를 (802)과정에서 체크하고, 미사용 채널을 스케닝하여 튜닝후, (803)과정에서 CAI 형태를 수신하기 위해 기다린후 (804)과정에서 CAI 규정에 의한 동기(SYNC) 후 링크(Link) 재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805)과정에서 무선 휴대장치(101)로 CAI에 의한 링크 재설정을 응답송신 및 (5d)의 통화 자동 절환 성공신호를 무선 시스템으로 송신 후 통화모드를 제9도의 (906)과정에서 설정하고 통화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9도의 (904)과정에서 수신하면 (906)과정에서 통화를 유지한다. 상기 (804)과정에서 링크 재설정 요구를 수신하지 못했을시 (806)과정에서 타임아웃이 되면 (5e)의 통화 자동 절단 실패신호를 송신후 (807)과정에서 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상기 제9도의 (905)과정에서 타임아웃이나 상기 (5e)신호를 수신하면 (907)과정에서 통화를 종료처리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자동 절환 방법에 관해 기술한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통화중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계속하여 통화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기지국에서 수신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CAI에 의한 링크 재설정을 지시하여 링크를 설정하고 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을 구분하지 않고 전사용 채널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절환되면 통화 절환시간 절약과 유효채널 사용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 시스템(105)에 연결되는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과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의 통화중 상태에서 통화 자동 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상태에서 일정시간 마다 수신전계 강도를 체킹하여 통화 자동 절환 수신전계 강도 이하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통화 자동 절환을 위한 일정 이하의 수신전계 강도일 때 상기 무선 시스템으로 통화 자동 절환 요구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을 응답 수신 여부를 체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수신된 응답신호가 없을 때 계속 통화상태를 유지하고 수신응답신호가 있을 때 통화중인 무선 휴대장치에 링크 재설정 지시를 송신한 후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105)의 제2과정의 통화 자동 절환응답이 통화중인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중의 하나의 무선 고정장치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요구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통화 자동 절환 요구신호를 수신했을시 통화 자동 절환을 위한 주변 무선 고정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자동 절환을 위한 주변 무선 고정장치가 존재할시 응답상태를 제1상태로하여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존재하지 않을시 응답상태를 제2상태로 하여 자동 절환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신호를 제1상태로 송신하고, 주변 무선 고정장치에 통화 자동 절환을 지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4단계의 상기 무선 시스템(105)에서 주변 무선고정 장치들(103a∼103c)로의 통화 자동 절환 지시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성공적으로 수신했을시 통화모드를 설정하고 수신하지 않았을시 일정시간 실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일정시간 경과 또는 통화 자동 절환 실패일시 본래의 무선 고정장치로 자동 절환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수신여부를 일정시간동안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4. 무선 시스템(103)에 연결된 주변 무선 고정장치(103a∼103c)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105)으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시지 정보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자동 절환 지시신호 수신시 지정된 채널로 튜닝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기다린후 동기를 검출하고 링크 재설정 요구에 대한 신호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있으면 무선 휴대장치로 링크 재설정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시스템으로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송신후 통화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기다린후 미사용 채널로 튜닝하여 데이터 수신을 기다려 동기검출 및 링크 재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5. 무선 시스템(105)에 연결된 무선 고정장치들(103a∼103c)와 무선 휴대장치들(101a∼101c)에서 무선 고정장치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105)으로부터 통화 자동 절환 응답 신호가 제2상태일시 미사용 채널로 튜닝하여 데이터 수신을 기다리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터 수신을 기다려 동기를 검출하고 링크 재설정 요구를 수신했을시 링크 재설정 응답송신, 통화 자동 절환 성공 송신후 통화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링크 재설정 요구가 수신 안되었을시 일정시간 기다려 통화 자동 절환 실패신호 송신후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KR1019940014358A 1994-06-22 1994-06-22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KR97000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58A KR970007611B1 (ko) 1994-06-22 1994-06-22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358A KR970007611B1 (ko) 1994-06-22 1994-06-22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55A KR960003155A (ko) 1996-01-26
KR970007611B1 true KR970007611B1 (ko) 1997-05-13

Family

ID=1938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358A KR970007611B1 (ko) 1994-06-22 1994-06-22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3591B2 (ja) * 2000-12-15 2010-11-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738837B1 (ko) * 2001-02-13 2007-07-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플라즈마화학증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55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354B1 (ko) 사용자 지국 사이에 직접 통신을 설정하는 방법과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CA2232693C (en)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and roaming in a radio communication environment
US5513248A (en) Cordless telephone micro-cellular system
JP2006191455A (ja) 無線移動通信方法、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無線移動端末
US5890069A (en) Cordless telephone micro-cellular system
GB2250665A (en) Improved call set-up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dynamic channel allocation
WO2003058832A1 (en)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ies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EP0921668B1 (en) TDM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H0830793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970007611B1 (ko) 무선 시스템에서의 통화 자동 절환방법
JP41343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91634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1160989A (ja) 通信システムを用いたfsu割当方法、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固定加入者ユニット
WO199500367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base stations
KR0142955B1 (ko) 니어-파 문제를 해소한 무선통화방법
JPH09168182A (ja) 移動電話装置及びその干渉回避方法
KR960003223B1 (ko) 구내 무선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JP3068547B2 (ja) 携帯端末通信方法
KR100241789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착호처리 방법
KR2000000777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제어방법
JPH1098756A (ja) 簡易型携帯電話端末
KR100273968B1 (ko) 차세대 무선 전화기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전화기의 위치 추적방법
KR100325431B1 (ko) 다중 셀 구축 방법
JP314035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