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88B1 -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88B1
KR970007588B1 KR1019940009040A KR19940009040A KR970007588B1 KR 970007588 B1 KR970007588 B1 KR 970007588B1 KR 1019940009040 A KR1019940009040 A KR 1019940009040A KR 19940009040 A KR19940009040 A KR 19940009040A KR 970007588 B1 KR970007588 B1 KR 97000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counter
motor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90A (ko
Inventor
남상운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588B1/ko
Publication of KR95003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Landscapes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의 블럭도이다.
제2a∼d도는 24FG 모터의 경우 제1도에 나타낸 블록도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3a∼d도는 18FG 모터의 경우 제1도에 나타낸 블록도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의 블록도이다.
제5a, b도는 제4도에 나타낸 블록도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는 24주파수 발생기(FG : Frequency Generator)인 모터에만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모터, 예를 들면, 12FG, 18FG, 20FG인 모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종래의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의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클럭신호 자(CK)로 입력하여 계수하는 가변 계수기(1), 샘플링 주파수(FSC)를 128로 나눈 주파수를 클럭신호 입력단자(CK)로 입력하여 계수하는 가변 계수기(2), 상기 가변 계수기들(1, 2)에 어떤 주파수를 발생하는 모터인지를 알리는 명령어를 보내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3), 상기 가변 계수기(2)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 단자(CK)로 입력하여 계수하고 상기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를 리세트 단자(RESET)로 입력하는 127다운 계수기(4), 샘플링 주파수(FSC)를 64분주한 주파수를 입력하는 클럭신호 단자(CK)와 상기 127다운 계수기(3)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리세트 단자(RESET)를 가진 가변 계수기(5), 상기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회전수를 검출하는 순차 논리회로(6), 상기 가변 계수기(5)의 출력신호인 기준 주파수와 상기 모터 주파수를 입력하여 위상을 검출하고 에러 전압을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4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에는 모터가 1회전 할 때마다 24개의 펄스를 발생해야 하므로 가변 계수기(1)에서는 모터회전수의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그 신호를 분주하여 모터가 2회전하는 동안의 시간을 하나의 펄스로 발생시킨다.
가변 계수기(2)에서는 가변 계수기(1)에서 발생한 클럭의 반주기 동안 127다운 계수를 하는 클럭을 발생하고 127다운 계수기(4)에서는 가변 계수기(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계수를 한다. 127다운 계수의 값을 입력하여 가변 계수기(5)에서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고 위상 검출기(7)은 이 기준 주파수와 모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위상을 검출하여 에러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 에러 전압으로 서보를 실시하고 또한, 127다운계 수기(4)의 출력을 입력하여 순차 논리회로(6)에서 회전수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에 모터의 회전수의 적정 여부를 궤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수가 1800rpm 정도가 되어야만 디스크에 들어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으므로 1800rpm으로 모터가 회전한다고 가정할 때, 가변 계수기(1)의 출력은 0.033초의 주기를 갖고 있다. 가변 계수기(2)의 출력은 0.000858초의 주기인테 이 경우에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은 88이 되어 순차 논리회로(6)를 통하여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을 입력하여 가변 계수기(5)에서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여 이 신호로 모터에 들어온 주파수와 비교하여 에러 전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24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만약, 18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에, 가변 계수기(1)의 출력은 0.033초의 주기를 갖고 있고 가변 계수기(2)의 출력은 0.0006436초가 되어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회전수 검출시에 문제가 발생하여 18주파수 발생 모터에는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2a∼d도와 제3a∼d도에 나타낸 파형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d도는 24FG 모터인 경우 제1도에 나타낸 블록도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24FG의 모터의 경우는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이진수로 0100이다.
제2a도는 가변 계수기(1)로 입력되는 주기가 1.39msec인 압력 펄스와 0.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출력펄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변 계수기(1)은 프리세트 단자(PRESET)로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 0100을 입력하여 (15-4+1)×4의 연산을 수행하여 계수기(1)을 48로 프리세트하고 48까지를 계수하여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0.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2b도는 가변 계수기(2)로 입력되는 주기가 35.8μsec인 입력 펄스와 0.585msec의 주기를 가지는 출력펄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변 계수기(2)는 프리세트 단자(PRESET)로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 0100을 입력하여 (15-4+1)×2의 연산을 수행하여 계수기(2)를 24로 프리세트하고 24까지를 계수하여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0.858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2c도는 127다운 계수기(4)의 리세트 단자(RESET)로 입력되는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와 클럭신호 단자(CK)로 입력되는 가변 계수기(2)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127다운 계수기(4)는 0.033sec 동안 0.858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가 약 38.5개 발생하므로 127에서 38.5를 뺀 숫자까지 다운 카운팅하게 된다.
그러면,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은 88이 된다.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011000이 된다.
제2d도는 가변 계수기(5)의 클럭신호 단자(CK)로 입력되는 17.8μsec의 주기를 가지는의 펄스와 1.39msec의 주기를 가지고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출력되는 펄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2d도에 있어서, 가변 계수기(5)는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신호인 88을 입력하여 (126-88+1)×2의 연산을 하여 78을 계수하게 된다. 즉, 1.39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즉, 가변 계수기(1)은 프리세트 단자(PRESET)로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의 데이터 P가 입력되면 (15- P+1)×4로, 가변 계수기(2)는 (15- P+1)×2로, 가변 계수기(3)은 프리세트 단자(PRESET)로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 데이터 C가 입력되면 (126- C+1)×2로 각각 프리세트하게 된다.
제3a∼d도는 18FG의 모터의 경우의 제1도에 나타낸 블록도의 각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18FG모터의 경우는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 가변 계수기(1, 2)로 1000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제3a도는 가변 계수기(1)로 입력되는 주기가 1.85msec인 입력 펄스와 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출력펄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변 계수기(1)은 프리세트 단자(PRESET)로 마이크로 컴퓨터(3)로부터 1000을 입력하여 (15-8+1)×4의 연산을 수행하여 32까지를 계수하여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0.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3b도는 가변 계수기(2)로 입력되는 주기가 35.8μsec인 입력 펄스와 1.288msec의 주기를 가지는 출력펄스로 나타내는 것이다. 가변 계수기(2)는 프리세트 단자(PRESTE)로 마이크 컴퓨터(3)로부터 1000을 입력하여 (15-8+1)×2의 연산을 수행하여 16까지를 계수하여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1.288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제3c도는 127다운 계수기(4)의 리세트 단자(RESET)로 입력되는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와 클럭신호 단자(CK)로 입력되는 가변 계수기(2)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c도에 있어서 127다운 계수기(4)는 0.066msec 동안 1288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가 약 51.2개 발생하므로 127에서 51.2를 뺀 숫자까지 다운 카운팅하게 된다. 그러면,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은 약 75가 된다.
제3d도는 가변 계수기(5)의 클럭신호 단자(CK)로 입력되는 17.8(스캔작업)μsec의 주기를 가지는의 펄스와 1.85msec의 주기를 가지고 출력단자(OUT)를 통하여 출력되는 펄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2d도에 있어서, 가변 계수기(5)는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신호인 75을 입력하여 (126-75+1)×2의 연산을 하여 104를 계수하게 된다. 즉, 17.8μsec×104=1.85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즉, 기준 주파수는 540㎐로 발생되어 모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와 비교하여 서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수 검출에서 현재의 회전수와 다른 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다시 말하면,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이 88이 되어야 하는데 75라는 데이터가 출력되기 때문에 정확한 회전수를 검출할 수가 없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18FG의 경우만 설명하였지만 다른 12FG나 20FG의 모터의 경우에도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회전수 검출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 주파수 발생기의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는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는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값으로 프리세트되고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제1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계수수단,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값으로 프리세트되고 샘플링 주파수를 128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제2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계수수단, 상기 제1주파수 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제2주파수 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계수하여 소정값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3계수수단, 상기 제3계수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샘플링 주파수를 64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계수하여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주파수 발생수단, 상기 제1주파수 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샘플링 주파수를 128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24분주하기 위한 24분주수단, 상기 제3계수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24분주수단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127다운 계수하여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수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의 블록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는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가변 계수기(1), 가변 계수기(2), 마이크로 컴퓨터(3), 127다운 계수기(4), 가변 계수기(5), 위상 검출기(7)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순차 논리 회로(6)의 구성도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수 검출회로가 상기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리세트 단자(RESET)와를 입력하는 클럭신호 단자(CK)를 가진 24계수기(10), 상기 24계수기(1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클럭신호 단자(CK)와 상기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리세트 단자(RESET)를 가진 127다운 계수기(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18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3)에서 18주파수 발생 모터라는 신호를 가변 계수기(1)에 출력하면 가변 계수기(1)의 출력은 0.33초가 되고 가변 계수기(2)의 출력은 0.0006436초가 되어 가변 계수기(5)가 기준 주파수를 발생할 수가 있다.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샘플링 주파수(FSC)를 128분주한값을 24계수기(10)에 의해서24분주하면 0.000858초가 된다. 이 값을 127다운 계수기(11)가 다운 계수를 하게 되면 출력이 88이 되어 순차 논리회로(6)을 통하여 정확한 회전수를 검출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18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는 주파수가 540㎐이고 이의 기준 주파수는 540㎐가 된다. 20주파수 발생 모터의 경우는 주파수가 600㎐가 되고 기준 주파수는 600㎐가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의 동작을 제5a, b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a, b도는 제4도에 나타낸 회로의 각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5a도는 24계수기(10)의 리세트 단자(RESET)로 0.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가 입력되고 클럭신호 단자(CK)로 35.8μ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가 입력된다.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는 24FG, 18FG인 모터의 경우에 동일하므로 24계수기(10)의 출력신호는 동일하다.
제5b도는 127다운 계수기(11)의 리세트 단자(RESET)로 0.066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를 입력되고 클럭신호 단자(CK)로 0.858msec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가 입력된다. 127다운 계수기(4)의 출력신호는 24FG, 18FG인 모터의 경우에 동일하므로 127다운 계수기(11)의 출력신호는 동일하다. 그래서, 18FG, 24FG인 모터의 경우에 모두 88인 회전수를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을 통하여 볼 때 본 발명은 18FG, 20FG, 24FG 등의 모터의 경우에 종래의 회로를 사용하더라도 정확하게 기준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지만, 회전수 검출을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회전수를 검출할 수가 없으므로 종래의 회로에서 모터의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동일한 주파수를 출력하는 가변 계수기(1)의 출력신호와신호를 이용하여 항상 정확한 회전수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는 정확한 회전수의 검출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정확한 회전수가 검출되어야만 이 검출된 회전수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주파수 발생기를 가지는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회전수를 검출할 수가 있다.
특히,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 검출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

  1.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값으로 프로세트되고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제1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계수수단;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소정값으로 프리세트되고 샘플링 주파수를 128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제2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계수수단; 상기 제1주파수 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제2주파수 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계수하여 소정값을 발생하기 위한 제3계수수단과; 상기 제3계수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샘플링 주파수를 64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계수하여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주파수 발생수단; 상기 제1주파수 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샘플링 주파수를 128분주한 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24분주하기 위한 24분주수단; 상기 제3계수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리세트되고 상기 24분주수단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127다운 계수하여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수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모의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KR1019940009040A 1994-04-27 1994-04-27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40A KR970007588B1 (ko) 1994-04-27 1994-04-27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40A KR970007588B1 (ko) 1994-04-27 1994-04-27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90A KR950030090A (ko) 1995-11-24
KR970007588B1 true KR970007588B1 (ko) 1997-05-10

Family

ID=1938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040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588B1 (ko) 1994-04-27 1994-04-27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5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90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106A (en) Absolute resolver angle to digital converter circuit
KR830000030B1 (ko) 리졸버의 절대위치 측정장치
KR890016541A (ko) 서보 장치
EP0013903B1 (en) Recording system using disk-shaped recording medium
US4516060A (en) Digital motor speed control
KR930002719B1 (ko) 인코더 출력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4862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a rotor
KR970007588B1 (ko) 스핀들 모터의 기준 주파수 발생 및 회전수 검출회로
KR900002511B1 (ko) 속도 검출 방식
US4710770A (en) Phase modulation type digital position detector
US4792754A (en) Device for production of a tachometry signal of infinite resolution and without ripple from an inductive position sensor
US5621711A (en) Velocity detection circuit
US562769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motor speed control
KR0185917B1 (ko) 캡스턴 서보모터의 저속제어장치
JPH05188067A (ja) サーボモータの速度検出装置
GB2177821A (en) Variable speed control circuit
JP3736907B2 (ja) 記録ペン駆動装置
JPH04233467A (ja) モータの速度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2649513B2 (ja) 高精度位置決め装置
JPS5932238Y2 (ja) パルスモ−タの回転軸の位置検出装置
JP2793770B2 (ja) 位置検出器の信号伝送装置
JP3302864B2 (ja) モータ回転速度検出回路
JPH05188068A (ja) サーボモータの速度検出装置
JPS61209360A (ja) 速度検出装置
JPH01458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8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8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