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82B1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7582B1 KR970007582B1 KR1019950012923A KR19950012923A KR970007582B1 KR 970007582 B1 KR970007582 B1 KR 970007582B1 KR 1019950012923 A KR1019950012923 A KR 1019950012923A KR 19950012923 A KR19950012923 A KR 19950012923A KR 970007582 B1 KR970007582 B1 KR 970007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n
- yoke
- ring
- driving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the coupling is specially adapted to constant velocity-ratio
- F16D3/3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the coupling is specially adapted to constant velocity-ratio by the provision of two intermediate members each having two relatively perpendicular trunnions or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Toy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참고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장치를 구성하는 원동전달부의 분해 참고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시의 종단면 확대도.
제4도는 제2도 결합시의 횡단면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장치를 구성하는 종동 전달부의 분해참고사시도.
제6도는 제5도 결합시의 종단면 확대도.
제7도는 제5도 결합시의 횡단면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장치를 구성하는 원, 종동전달부의 결합한 상태의 일부 절결 참고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횡단면 상태의 작동상태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제9도시의 본 발명장치의 작동예시도.
제13도는 제8도의 평면상태의 작동예시도.
제14도 내지 제16도는 제13도시의 본 발명장치의 작동예시도.
제17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장치의 입체적 구동전달을 하는 작동예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장치의 다른 사용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동축 2 : 종동축
3, 4 : 좌, 우 케이싱 101, 102 : 원동좌우측사이드전동판
201, 202 : 종동좌우측사이드전동판 103 : 원동전동링
104 : 원동요크 204 : 종동요크
본 발명은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종동축에 전달하여 주는 원동축이 90°이내의 범위에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이에 따라 종동축 역시 90°이내의 범위에서 원동축이 움직인 대향방향으로 등각을 유지하면서 회전동력을 원동축에서 전달받아 회전되도록한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원동축과 종동축사이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원동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종동축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등의 각종 운동전달기구 및 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것들은 그 대부분이 원동축과 피동축의 중심선과의 각도가 30°이하의 범위이내에서만이 그 사용이 가능하였고, 그 이상의 범위에서는 단일의 전달기구나 장치로서는 회전동력전달이 어려웠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30°각도 이하에서 그 사용이 가능한 일반적인 기존의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때 두전동축의 중심선이 30°각도 보다 큰 범위인 경우에는 2∼3개의 기존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운동전달보조기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전달장치의 구조가 극히 복잡해지고 부피와 크기가 커질뿐만 아니라 무게도 무거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각종전달기구 및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급속한 공업, 상업, 로봇공학, 우주공학의 발달로 인하여 작은 부피와 가벼운 무게로서 간편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기구를 필요로 하는 각종 기초전달기구의 설계에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창출되어 출원된 특허공고 제89-1513 및 특허공고 제91-951를 제공하여 두 전동축의 교차각(α)이 큰 0°≤α≤90°의 경우에도 동력전달장치를 조합하거나 별도의 전달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각축을 제공한바 있다.
이러한 다각축은 원동축과 피동축으로 구성되는 전동축의 일측단부에 두축을 연결착설하는 반원형전동링으로 구성된 한쌍의 반원형전동링의 끝단에 소형 또는 대형기어를 각각 축설하여 유동자유롭게 삽입하여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반원형전동링의 끝단에는 회동핀으로 결착핀을 결착하는 상태로 회동중심링에 삽입하여 상기 결착핀이 회동중심링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회동가능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다각축은 반원형전동링이 전동축의 반원형구멍에 내삽입시킨 것이었기 때문에 전동축에 반원형구멍을 가공해야 하고 그 반원형구멍내에서 반원형전동링의 슬라이드작동을 하게 되므로 그 접촉부위의 마모가 심하고, 그 마모에 반원형전동링 역시 운동량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선등록 특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한 특허출원 제92-22231호를 제공한바 있는데, 이는 한쌍의 전달기어, 한쌍의 소형기어에 의한 기어물림식에 의하여 원동축과 종동축의 교차각(α)이 0°≤α≤90°의 상태에서도 회전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물림식에 의한 것이므로 소음방지를 위한 윤활성유지 및 기어물림에 의한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특히 원동축이 90°이내의 범위에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이에 따라 종동축 역시 90°이내의 범위에서 원동축이 움직이는 대향방향에서 등각을 유지하면서 회전동력을 원동축에서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도록 하여, 소음, 구동부하를 극히 낮춤으로써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 대별하여 원동축(1)의 조작에 따라 조작되는 원동전달부(100)와 원동전달부(100)의 조작에 따라 종동축(2)을 조작되게 하는 종동전달부(200)로 구성된다.
상기한 원동전달부(100)와 종동전달부(200)에 구성은 동일한 기술구성으로 조합되어 좌, 우 케이싱(3), (4)내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기는 하나, 원동전달부(100)에는 원동축(1)이 결합되어지고 종동전달부(200)에는 종동축(2)이 결합되는 점에서는 상이하다.
그러나 기관, 엔진 등의 이와 유사한 동력전달발생장치 또는 제3의 매개수단에 의한 구동력을 종동축(2)에서 받아 원동축(1)으로 전달되도록 설치하면 이는 단지 원동축(1)가 종동축(2)의 위치만 바꾼것이므로 결국 본 발명은 원동축(1)과 종동축(2)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은 무의미하나 이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를 좀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간과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동전달부(1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원동전달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 원동전동링(103) 및 원동요크(104)로 대별되어져서 상기 원동전동링(103)의 중앙내부에 원동요크(104)가 결합되고 상기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는 각각 원동전동링(103)의 좌, 우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동전달부(100)를 구성하는 상기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원동좌측사이드전동판(101)과 원동우측사이드전동판(102)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써 단지 대칭되는 상태로 원동전동링(103)의 양측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은 중앙에 각각 상, 하면이 수평으로 구성된 수평면(101-1), (102-1)을 가진 장공(101-2), (102-2)이 형성되고,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결합되는 안쪽면에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차례차례 리테이너삽입환홈(101-3), (102-3)과 볼삽입환홈(101-4), (102-4) 및 안쪽으로 돌출된 보강부(101-5), (102-5)에 상기 장공(101-2), (102-2)과 관통하는 반원형공(101-5a), (101-5b), (102-5a), (102-5b)이 상, 하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스냅링삽입홈(101-6a), (101-6b), (102-6a), (102-6b)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원동축삽입반원형공(101-7), (102-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원동진동링(103)은 중앙에 상기한 원동요크(104)를 내장설치할 수 있는 중앙공(103-1)이 형성된 링형몸체(103-2)의 양측면에 볼삽입환홈(103-3)이 형성되고, 그 상, 하부에는 각각 전동상부원통부(103-6)가 돌출된 상부휘일(103-4)과 전동하부원통부(103-7)가 돌출된 하부휘일(103-5)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원동요크(104)는 +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써, 이는 중앙에 원통형상의 원동요크몸체(104-1)와 그 좌, 우측에 원동요크좌측휘일(104-4)과 원동요크우측휘일(104-5)이 일체로 형성된 좌, 우측원통부(104-2), (104-3)가 형성되고, 상기 원동요크몸체(104-1)의 수평상부면(104-1a)과 수평하부면(104-1b)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상부원통(104-6)와 하부원통부(104-7)이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원통부(104-2), (104-3)에서 연장형성되는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각각 구성된 상기의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 원동전동링(103) 및 원동요크(104)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로 결합되어지고 또한 그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원동전동링(103)을 구성되는 중앙공(103-1)에 원동요크(104)를 구성하는 원동요크몸체(104-1)과 상부원통부(104-6) 및 하부원통부(104-7)을 위치시키되 상기 상부원통부(104-6)와 하부원통부(104-7)에 각각 커버니이들베어링(96), (97)을 각각 끼운상태로 위치시켜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을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원동요크(104)의 양측에서 결합시켜 주어야 하는 바, 이때에는 원동요크(104)를 구성하는 좌, 우측원통부(104-2), (104-3), 원동요크 좌, 우측휘일(104-4), (104-5) 및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각각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1), (101-2)을 각각 통과되도록 하여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를 구성하는 보강부(101-5), (102-5)가 서로 원동전동링(103)의 중앙공(103-1)의 내부에서 서로 맞닿게 한다.
이렇게 하게되면 상기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에 구성된 반원형공(101-5a)와 반원형공(102-5a)이 원동요크(104)의 상부원통부(104-6)에 끼워지는 커버니이들베엉링(96)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고, 또한 반원형공(101-5b)와 반원형공(102-5b)은 원동요크(104)의 하부원통부(104-7)에 끼워지는 커버니이들베어링(97)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이 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커버니들베어링(96), (97)이 작동중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한 반원형공(101-5a), (102-5a)에 형성된 스냅링삽입홈(101-6a), (102-6a)에는 스냅링(94)을 설치하고, 상기 반원형공(101-5b), (102-5b)에는 스냅링(95)을 설치하여 준다.
또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2), (102-2)에는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가 위치하게 되므로 원동요크몸체(104-1)의 수평상, 하부면(104-1a), (104-1b)이 상기 장공(101-2), (102-2)의 수평면(101-1), (102-1)에 접면하게 된다. 따라서 원동요크(104)가 정지된 상태라면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은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을 정점인 축지점으로 하여 수평으로 작동되게 되고,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이 수평이 아닌 그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원동요크(104)는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는 볼트구멍(99)를 통해 체결볼트(98)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별개로 작동되는 것이 아님을 물론이다.
또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볼삽입환홈(101-4), (102-4)과 원동전동링(103)의 양측면이 형성된 볼 삽입홈(103-3)사이에는 다수개의 볼(92), (93)을 끼워 설치하고, 리테니너삽입홈(103)의 축지점으로 하여 상, 하로 작동할 때 볼(92), (93)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볼(92), (93)이 구를 때 윤활성을 위하여 윤활유를 공급했을 때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너(94), (95)가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원동축삽입반원형공(101-7), (102-7)은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구멍상에 원동축(1)을 통상의 보스(89) 끼움방식에 의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결합을 일단종료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원동요크(104)를 구성하는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에 각각 니이들베어링(83), (84)을 끼운상태에서 각각 회동평판(81), (82)에 형성된 삽입공(81a), (82a)에 각각 삽입되어 좌, 우측스냅링홈(104-2b), (104-3b)에 스냅링(79), (80)으로 체결하여, 회동가능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원동요크(104)가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a), (82a)내에서 이를 축지점으로 하여 회동작동이 자유롭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한 원동요크좌, 우측휘일(104-4), (104-5)에는 각각 다수겹으로 구성된 와이어(77), (78)의 한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고정하여 준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원동요크(104)의 체결조합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원동전동링(103)을 구성하는 링형몸체(103-2)의 상,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상, 하부원통부(103-6), (103-7)에는 커버니이들베어링(45), (46)을 끼워준 상태에서 좌, 우측케이싱(3), (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회동요공(3a), (4a)에 각각 삽입하여 줌으로써, 원동전동링(103)이 회동요공(3a), (4a)내에서 이를 축지점으로 회동작동이 자유롭도록 하여 주고, 상기 상, 하부휘일(103-4), (103-5)에는 각각 다수겹으로 구성된 와이어(75), (76)의 한단을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각각 고정하여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로 체결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서 구하고자 하는 원동전달부(100)의 구성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 있는 것과 같이 원동전달부(100)와 동일한 구성의 종동전달부(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그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동전달부(200)는 원동전달부(100)와 그 기술적구성이 동일한 것으로써, 크게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 종동전동링(203) 및 종동요크(204)로 대별되어져서 상기 종동전동링(203)의 중앙내부에 종동요크(204)가 결합되고 상기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는 각각 원동전동링(103)의 좌, 우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종동전달부(200)를 구성하는 상기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종동좌측사이드전동판(201)과 종동우측사이드전동판(202)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써 단지 대칭하는 상태로 종동전동링(203)의 양측에 결합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의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은 중앙에 각각 상, 하면이 수평으로 구성된 수평면(201-1), (202-1)을 가진 장공(201-2), (202-2)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전동링(203)과 결합되는 안쪽면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차례차례 리테이너삽입환홈(201-3), (202-3)과 볼삽입환홈(201-4), (202-4) 및 안쪽으로 돌출된 보강부(201-5), (202-5)에 상기 장공(201-2), (202-2)과 관통하는 반원형공(201-5a)(201-5b), (202-5a), (202-5b)이 상, 하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스냅링삽입홈(201-6a), (201-6b), (202-6a), (202-6b)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종동축삽입반원형공(201-7), (202-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종동전동링(203)은 중앙에 상기한 종동요크(204)를 내장설치할 수 있는 중앙공(203-1)이 형성된 링형몸체(203-2)의 양측면에 볼삽입환홈(203-3)이 형성되고, 그 상, 하부에는 각각 전동상부원통부(203-6)가 돌출된 상부휘일(203-4)과 전동하부원통부(203-7)가 돌출된 하부휘일(203-5)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동요크(204)는 +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써, 이는 중앙에 원통형상의 종동요크몸체(104-1)와 그 좌, 우측에 원동요크좌측휘일(204-4)과 종동요크우측휘일(204-5)이 일체로 형성된 좌, 우측원통부(204-2), (204-3)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요크몸체(204-1)의 수평상부면(204-1a)과 수평하부면(204-1b)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상부원통(204-6)와 하부원통부(204-7)이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원통부(204-2), (204-3)에서 연장형성되는 좌, 우측끝단부(204-2a), (204-3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각각 구성된 상기의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 종동전동링(203) 및 종동요크(204)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로 결합되어지고 또한 그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종동전동링(203)을 구성되는 중앙공(103-1)에 종동요크(204)를 구성하는 종동요크몸체(204-1)과 상부원통부(204-6) 및 하부원통부(204-7)를 위치시키되 상기 상부원통부(204-6)와 하부원통부(204-7)에 각각 커버니이들베어링(96), (97)을 각각 끼운상태로 위치시켜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을 상기 종동전동링(203)과 종동요크(204)의 양측에서 결합시켜주어야 하는 바, 이때에는 종동요크(204)를 구성하는 좌, 우측원통부(204-2), (204-3), 종동요크좌, 우측휘일(204-4), (204-5) 및 좌, 우측끝단부(204-2a), (204-3a)가 각각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장공(201-1), (201-2)을 각각 통과되도록 하여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를 구성하는 보강부(201-5), (202-5)가 서로 종동전동링(203)의 중앙공(203-1)의 내부에서 서로 맞닿게 한다.
이렇게 하게되면 상기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에 구성된 반원형공(201-5a)와 반원형공(102-5a)이 종동요크(204)의 상부원통부(204-6)에 끼워지는 커버니이들베어링(96)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고, 또한 반원형공(201-5b)와 반원형공(202-5b)은 종동요크(204)의 하부원통부(204-7)에 끼워지는 커버니이들베어링(97)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이 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커버니들베어링(96), (97)이 작동중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반원형공(101-5a), (102-5a)에 형성된 스냅링삽입홈(201-6a), (202-6a)에는 스냅링(94)를 설치하고, 상기 반원형공(201-5b), (202-5b)에는 스냅링(95)을 설치하여준다.
또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장공(201-1), (201-2)에는 종동요크(204)의 종동요크몸체(204-1)가 위치하게 되므로 종동요크몸체(204-1)의 수평상, 하부면(204-1a), (204-1b)이 상기 장공(201-1), (201-2)이 수평면(201-1), (202-1)에 접면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요크(204)가 정지된 상태라면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은 종동요크(204)의 종동요크몸체(204-1)를 축지점으로 하여 수평으로 작동되게 되고,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이 수평이 아닌 그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종동요크(204)는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의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과 마찬가지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은 볼트구멍(99)를 통해 체결볼트(98)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별개로 작동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볼삽입환홈(201-4), (202-4)과 종동전동링(203)의 양측면이 형성된 볼 삽입홈(203-3) 사이에는 다수개의 볼(92), (93)을 끼워 설치하고, 리테이너삽입홈(201-3), (202-3)에는 리테이너(90), (91)의 일측면을 끼워주고 상기 리테이너(94), (95)의 타측면은 종동전동링(203)의 링형몸체(203-2)의 양측면에 각각 강하게 압압하도록 하여 종동전동링(203)을 축지점으로 하여 상, 하로 작동할 때 볼(92), (93)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볼(92), (93)이 구를 때 윤활성을 위하여 윤활유를 공급했을 때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너(94), (95)가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종동축삽입반원형공(201-7), (202-7)은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구멍상에 종동축(2)을 통상의 보스(89) 끼움방식에 의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결합을 일단종료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종동요크(204)을 구성하는 좌, 우측끝단부(204-2a), (204-3a)에 각각 니이들베어링(83), (84)을 끼운상태에서 각각 회동평판(81), (82)에 형성된 삽입공(81b), (82b)에 각각 삽입하여 좌, 우측스냅링홈(204-2b), (204-3b)에 스냅링(79), (80)으로 체결하여 회동가능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종동요크(104)가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내에서 이를 축지점으로 하여 회동작동이 자유롭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한 종동요크좌, 우측휘일(204-4), (204-5)에는 각각 다수겹으로 구성된 와이어(77), (78)의 타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고정하여준다.
이때 상기하고 있는 와이어(77), (78)는 체인, 고리사슬 등을 이용하여도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종동요크(204)의 체결조합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종동전동링(203)을 구성하는 링형몸체(203-2)의 상,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상, 하원통부(203-6), (203-7)에는 커버니이들베어링(45), (46)을 끼워준 상태에서 좌, 우측케이싱(3), (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회동요공(3b), (4b)에 각각 삽입하여 줌으로써, 종동전동링(103)이 회동요공(3b), (4b)내에서 이를 축지점으로 회동작용이 자유롭도록 하여 주고, 상기 상, 하부휘일(203-4), (203-5)에는 각각 다수겹으로 구성된 와이어(75), (76)의 타단을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각각 고정하여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로 체결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서 구하고자 하는 종동전달부(200)의 구성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원동축(1), 원동전달부(100), 종동전달부(200)를 통하여 종동축(2)에까지 어떻게 동력전달이 3차원 입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원동축(1)과 종동축(2)이 수평관계 다시 말해 중심축으로 180°를 유지하고 있을때의 동력전달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엔진, 모터 등의 기관 또는 이를 매체로한 제3의 전달수단에 의해 원동축(1)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고 하면, 원동축(1)이 원동전달부(10)를 구성하는 원동, 좌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원동축삽입반원형공(101-7), (102-7)에 끼워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은 이와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회전구동력은 좌, 우측케이싱(3), (4) 및 회동평판(81), (82)을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좌, 우측케이싱(3), (4) 및 회동평판(81), (82)의 회전구동에 의해 종동전달부(200)가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좌, 우측케이싱(3), (4)의 회동요공(3b), (4b)에 종동전달부(200)에 구성하는 종동전동링(203)의 종동상, 하부원통부(203-6), (203-7)가 커버니이들베어링(45), (46)에 끼워진 상태로 좌, 우측케이싱(3), (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요공(3b), (4b)에 삽입되어 있고, 종동요크(204)의 좌, 우끝단부(204-2a), (204-3a)가 니이들베어링(83), (84)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종동축(2)의 회전을 좌, 우측케이싱(3), (4)과 종동전달부(200)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원동축(1), 원동전달부(100) 좌, 우측케이싱(3), (4), 종동전달부(200), 종동축(2)으로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별개의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모두 결합된 것이므로 원동축(1)의 회전구동과 함께 종동축(2)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력전달에 대한 기본 메카니즘을 참고하여 원동축(1) 일정한 각도(α)의 범위(α≤90°)내에서 어느 방향에서 위치하여도 종동축(1) 역시 원동축(1)에 따라 움직이면서 움직인 만큼의 일정한 각도(α)를 동일범위(α≤90°)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그 유지된 상태로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게 되는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한 도면 제9도 내지 제12도에 의거하여 원동축(1)을 수직의 상태로 상,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동축(1)을 수직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여 주게되면, 좌, 우측케이싱(3), (4)의 회동요공(3a), (4a)에 원동전동링(103)의 전동상, 하부원통부(103-6), (103-7)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원동전동링(103)의 전동상, 하부원동부(103-6), (103-7)은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되고, 원동축(1)을 고정하고 있는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은 원동전동링(103)과의 사이에 볼(92), (93)이 볼삽입환홈(101-4), (102-4)와 (103-3)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결국 원동전동링(103)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가 원동축(1)을 따라 상, 하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2), (102-2)에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결국 원동요크(104)는 니이들베어링(83), (84)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18a), (82a)에 삽입된 좌, 우측끝단(104-2a), (104-3a)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동축(1)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움직인 만큼의 각도(α)범위(α≤90°)내에서 원동요크(104)가 회동하는 것이된다. 이러한 원동요크(104)가 회동은 원동요크 좌, 우측휘일(104-4), (104-5)이 일체로 회동하는 것이 되므로 상기 원동요크좌, 우측휘일(104-4), (104-5)의 일지점상에 한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된 와이어(77), (78)를 원동축(1)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강제로 당겨주는 것이된다.
이러한 와이어(77), (78)의 강제적 당김에 의해 상기 와이어(77), (78)의 타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동전달부(200)의 종동요크(204)를 구성하는 종동요크좌, 우측휘일(204-4), (204-5)을 강제적으로 당겨주는 것이 되므로 결국 이를 회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종동요크(204)의 좌, 우측끝단부(204-2a), (204-3a)가 니이들베어링(83), (84)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에 내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동요크(204)의 종동요크몸체(204-1)가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장공(201-2), (202-2)상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종동요크(204)의 강제적회동에 종동전동링(203)이 수직상으로 의해서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 역시 종동요크(204)를 따라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다시 정지한 상태에서 종동전동링(203)과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의 사이에 볼(92), (93)이 볼삽입홈(201-4), (202-4)와 (203-3)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결국 상기의 내용에 의하여 원동축(1)이 수평의 상태에서 상, 하부로(α/2)의 각도만큼 움직이면 종동축(2) 역시 상, 하부로(α/2)의 각도만큼 강제로 이동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원동축(1)이 상부로(α/2) 및 하부로(α/2)의 각도만큼 이동이 가능하므로 결국 α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는 것이여서 종동축(2) 역시 α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된다.
이때 원동축(1)과 종동축(2)의 상부 또는 하부로 최대한의 각도(α)만큼 이동했을 때 원동축(1)의 중심선과 종동축(2)의 중심선이 유지하는 각도(α)는 원동축(1) 또는 종동축(2)가 움직여서 유지할 수 있는 각도와 합한 것이 된다.
결국 원동축(1)과 종동축(2)이 최대로 움직여서 유지할 수 있는 각도(α)와 원동축(1)과 종동축(2)의 사이각(β)는 동일한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면 제13도 내지 제16도에 의거하여 원동축(1)이 수평방향인 전후로 움직여서 일정한 각도(α)만큼 이동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 제13도는 상기의 경우와는 달리 편의상 수평방향인 전후로 이동시킨 상태를 잘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면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원동축(1)을 수평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음직여 주게되면,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a), (82a)에 전동요크(104)를 구성하는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삽입된 상태이고, 또한 전동요크(104)의 상, 하부원통부(104-6), (104-7)는 각각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반원형공(101-5a), (102-5a), (101-6b), (102-6b)에 내삽입된 정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된다.
이때 원동축(1)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을 의미하는 것이 되므로 원동전동링(103)의 상, 하부원통부(103-6), (103-7)가 커버니플베어링(96), (97)에 끼워진 상태로 좌, 우측케이싱(3), (4)의 회동요공(3a), (4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하여 원동전동링(103)이 회동하게 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2), (102-2)는 수평면(101-1), (102-1)상에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인 수평상, 하부면(104-1a), (104-1b)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결국 원동요크(104)는 그대로 있으면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와 원동전동링(103)만 이동 즉, 회동하게 되는 것임을 알수 있다.
이러한 원동전동링(103)의 회동은 원동전동링(103)을 구성하는 전동상, 하부원동부(103-6), (103-7)과 함께 상, 하부휘일(103-4), (103-5)이 일체로 회동하는 것이되므로 상기 상, 하부휘일(103-4), (103-5)의 일지점상에 한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된 와이어(75), (76)을 원동축(1)의 수평이동방향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강제로 당겨주는 것이된다.
이러한 와이어(75), (76)의 강제적 당김에 의해 상기 와이어(75), (76)의 타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동전달부(200)의 종동전동링(203)을 구성하는 상, 하부휘일(203-4), (203-5)을 강제적으로 당겨주는 것이 되므로 결국 이를 회동시켜주게 되는 것이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종동전동링(203)의 전동 상, 하부원동부(103-6), (103-7)에 커버니이들베어링(45)을 끼운상태로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에 회동가능하게 내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동요크(204)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종동전동링(203)이 와이어(75), (76)이 당겨진 만큼 즉 원동축(1)이 이동된 각도(α)만큼 종동전동링(203)이 회동하게 되고 이와함께 종동전동링(203)의 양측면에서 결합된 종동좌, 우사이드전동판(101), (102)이 동시에 이동하므로 결국 종동축(2)도 당연히 이동하여 원동축(1)이 움직인 각도(α)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원동축(1)이 일정한 각도(α≤90°)만큼 이동하여 중앙에서 수평 및 수직이 아닌 그 사이에서 위치했을때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면 제17도는 원동축(1)이 일정한 각도(α≤90°)만큼 이동하여 표시된 바와 같은 90°로 교차하는 가상선(13), (14)으로 구획할 때 우측하단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위치각을 360°로 이루어지게 되는 가상선(13), (14)를 그래프로 환산하여 본 경우에 원동축(1)이 위치하는 위치각(γ)이 90°〈α〈180°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동축(2)은 원동축(1)이 위치하고 있는 대향에서 위치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한 도면 제17도에 원동축(1)이 수직으로 이동한 일정한 각도(α≤90°)만큼 이동한 상태(첨부한 도면 제9도 참조)에서 화살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각(γ)을 χ°만큼 이동시킨 경우에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동축(1)을 수직으로 일정한 각도(α≤90°)만큼 하향시켜 주게되면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1), (102-2)내에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가 내삽입되어 있고, 또한 원동요크(104)의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a), (82a)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동축(1)이 위치각(γ)을 χ°만큼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원동전동링(103)의 전동상, 하부원통부(103-6), (103-7)이 커버니이들베어링(45), (46)에 끼워진 상태로 좌, 우측케이싱(3), (4)의 회동요공(3a), (4a)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동전동링(10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원동전동링(103)의 상부휘일(103-4)이동시에 회동하면서 한단에 고정된 와이어(75)를 강제로 회동하는 거리만큼 강제로 당기게 되므로 종동전동링(203)의 상부휘일(203-4)이 회동하게 되므로 결국 종동전동링(203)의 회동으로 인해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와 함께 종동축(2) 역시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원동축(1)이 상기와 같이 위치각(γ)을 χ°만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의 장공(101-2), (102-2)내에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고, 또한 장공(101-2), (102-2) 역시 일정한 각도(α≤90°)만큼 즉 원동축(10)이 수직으로 하향한 일정한 각도(α≤90°)만큼 하향되어 있어서 수평으로 위치한 장공(101-2), (102-2)이 일정한 각도(α≤90°)로 기울어져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동축(1)이 위치각(γ)을 χ°만큼 이동할 때 장공(101-2), (102-2)이 일정한 각도(α≤90°)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원동전동링(103)의 전동상, 하부원통부(103-6), (103-7)를 축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장공(101-2), (102-2)내에 삽입되어 있는 원동요크(104)의 원동요크몸체(104-1)의 수평상, 하부면(104-1a), (104-1b)이 장공(101-2), (102-2)의 수평면(101-1), (102-1)과 면접하고 있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원동요크(104)의 상, 하부원통부(104-6), (104-7)가 커버니이들베어링(96), (97)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이를 축지점으로 하여 원동요크(104)가 일정한 각도(α≤90°)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동하는 것이된다.
이러한 원동요크(104)의 기울어진 상태로 자체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원동요크(104)의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a), (82a)에 삽입되어지므로 결국 회동평판(81), (8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게된다.
이러한 회동평판(81), (82)의 회동은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에 종동요크(204)의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결국 종동요크(204)가 기울어진 상태로 회동하는 것이 되고, 이러한 종동요크(204)의 작동은 종동전동링(103)의 종동상, 하부원통부(103-6), (103-7)가 좌, 우측케이싱(3), (4)의 삽입홈(3b), (4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를 축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회동은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201), (202)를 회동작동케하여 위치각(γ)를 χ°만큼 종동축(2)을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므로, 결국 종동축(2)은 원동축(1)의 대향위치로 등각을 유지하면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첨부한 도면 제18도 내지 제2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원동축(1)이 수직으로 이동한 일정한 각도(α≤90°)를 유지하면서 원동축(1)을 180°〈α〈270°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치각(γ)을 Y°만큼 이동시키거나, 원동축(1)을 270°〈α〈360°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치각(γ)을 W°만큼 이동시키거나, 원동축(1)을 360°〈α〈90°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치각(γ)을 Z°만큼 이동시켜도 결국은 상기한 바와같은 작동에 의해 원동축(1)이 위치한 대향의 위치에 그대로 등각을 유지하면서 종동축(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원동축(1)은 일정한 각도(α≤90°)의 범위내에서 위치각(γ)을 어떤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종동축(2)이 그대로 위치하게 되므로 원동축(1)에서 종동축(2)으로서 회동구동력의 전달은 3차원적인 입체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동축(1)이 일정한 각도(α≤90°)만큼 이동하고, 또한 위치각(γ)는 어떤 방향에서 위치하면서 회전하여도 종동축(2)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원동축(1)이 원동전달부(100)를 구성하는 원동좌, 우사이드전동판(101), (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원동축삽입반원형공(101-7), (102-7)에 끼워 고정되어 있고,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은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이된다.
이러한 회전구동력은 좌, 우측케이싱(3), (4) 및 회동평판(81), (82)을 함께 회전구동하는 것이된다.
이러한 좌, 우측케이싱(3), (4) 및 회동평판(81), (82)의 회전구동에 의해 종동전달부(200)가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좌, 우측케이싱(3), (4)의 회동요공(3b), (4b)에 종동전달부(200)이 구성하는 종동전동링(203)의 종동상, 하부원통부(203-6), (203-7)가 커버니이들베어링(45), (46)에 끼워진 상태로 좌, 우측케이싱(3), (4)에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요공(3b), (4b)에 삽입되어 있고, 종동요크(204)의 좌, 우끝단부(204-2a), (204-3a)가 니이들베어링(83), (84)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평판(81), (82)의 삽입공(81b), (82b)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종동축(2)의 회전을 좌, 우측케이싱(3), (4)과 종동전달부(200)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원동축(1), 원동전달부(100) 좌, 우측케이싱(3), (4), 종동전달부(200), 종동축(2)으로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별개의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모두 결합된 것이므로 원동축(1)의 회전구동과 함께 종동축(2)이 그대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 첨부한 도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것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로 원동축이 90°이내의 범위에서 회전구동을 위한 어떠한 위치에서 회전구동하여도 종동축을 등각으로 유지시키면서 대향되는 동일위치에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4)
- 원동축(1)과 종동축(2)의 교차각(α)이 0°〈α〈90°인 경우에 원동축(1)에서 종동축(2)에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상기 원동축(1)과 종동축(2)을 각각 원동좌, 우사이드전동판(101), (102)과 원동좌, 우사이드전동판(201), (202)에 각각 고정하고, 좌, 우케이싱(3), (4)에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의 중앙내부에 원동요크(104)와 종동요크(204)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과 원동좌, 우사이드전동판(201), (202)이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의 좌, 우측에서 볼(92), (93)을 내장시키면서 각각 회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 사이를 상, 하부에서 와이어(75), (76)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하되 상기 원동요크(104)와 종동요크(204) 사이는 좌, 우에서 와이어(77), (78)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하고, 상기 원동요크(104)와 종동요크(204)의 양단은 각각 회동평판(81), (8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좌, 우측사이드전동판(101, 102)과 원동좌, 우사이드전동판(201, 202)를 각각 중앙에 각각 상, 하면이 수평으로 구성된 수평면(101-1, 102-1), (201-1, 202-1)을 가진 장공(101-2, 102-2), (201-2, 202-2)이 형성되고,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를 각각 결합하는 안쪽면에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차례차례 리테이너삽입환홈(101-3, 102-3), (201-3, 202-3)과 볼삽입환홈(101-4, 102-4), (201-4, 202-4) 및 안쪽으로 돌출된 보강부(101-5, 102-5), (201-5, 202-5)에 상기 장공(101-2, 102-2), (201-2, 202-2)과 관통하는 반원형공(101-5a, 101-5b), (102-5a, 102-5b), (201-5a, 201-5b), (202-5a, 202-5b)이 상, 하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스냅링삽입홈(101-6a, 101-6b), (102-6a, 102-6b), (201-6a, 201-6b), (202-6a, 202-6b)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각각 원동축삽입반원형공(101-7, 102-7)과 종동축삽입반원형공(201-7, 202-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전동링(103)과 종동전동링(203)은 각각 중앙에 상기한 원동요크(104)와 종동요크(204)를 내장설치할 수 있는 중앙공(103-1), (203-1)이 형성된 링형몸체(103-2), (203-2)의 양측면에 볼삽입환홈(103-3), (203-3)이 형성되고, 그 상, 하부에는 각각 전동상부원통부(103-6), (203-6)가 돌출된 상부휘일(103-4), (203-4)과 전동하부원통부(103-7), (203-7)가 돌출된 하부휘일(103-5), (203-5)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요크(104)와 종동요크(204)는 +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써, 중앙원동요크좌측휘일(104-4), 종동요크좌측휘일(204-4)과 원동요크우측휘일(104-5), 종동요크우측휘일(204-5)이 일체로 형성된 좌, 우측원통부(104-2, 104-3), (204-2, 204-3)가 형성되고, 상기 원동요크몸체(104-1), 종동요크(204-1)의 수평상부면(104-1a), (204-1a)과 수평하부면(104-1b), (204-1b)에는 각각 원동형상의 상부원통(104-6), (204-6)와 하부원통부(104-7), (204-7)이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원통부(104-2), (104-3), (204-2, 204-3)에서 연장형성되는 좌, 우측끝단부(104-2a, 104-3a), (204-2a, 204-3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2923A KR970007582B1 (ko) | 1995-05-23 | 1995-05-23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US08/655,298 US5718635A (en) | 1995-05-23 | 1996-05-21 | Three dimensional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PCT/KR1996/000075 WO1996037712A1 (en) | 1995-05-23 | 1996-05-22 | Three-dimensional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2923A KR970007582B1 (ko) | 1995-05-23 | 1995-05-23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1788A KR960041788A (ko) | 1996-12-19 |
KR970007582B1 true KR970007582B1 (ko) | 1997-05-10 |
Family
ID=1941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2923A KR970007582B1 (ko) | 1995-05-23 | 1995-05-23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718635A (ko) |
KR (1) | KR970007582B1 (ko) |
WO (1) | WO199603771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273462T1 (de) * | 1998-12-14 | 2004-08-15 | Paul J Cornay | Kugelnockenzentriereinrichtung |
US6375577B1 (en) * | 1999-10-27 | 2002-04-23 | Abbott Laboratories | Universal style coupling |
US7178421B2 (en) * | 2001-01-04 | 2007-02-20 |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 | Dual spherical ball clamp |
US7338378B1 (en) | 2004-08-03 | 2008-03-04 | Torque-Traction Technologies Llc | Retainer for universal joint bearing cup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6244A (en) * | 1933-04-06 | 1935-12-31 | Myard Francis Emile | Universal constant speed joint |
US2902843A (en) * | 1957-09-05 | 1959-09-08 | Nelson H Forbes | Driving mechanism with flexible joints |
US3319439A (en) * | 1964-05-14 | 1967-05-16 | Daimler Benz Ag | Universal joint |
WO1984004368A1 (en) * | 1983-04-20 | 1984-11-08 | Ivan Sotirov | Articulated coupling |
US4540383A (en) * | 1984-03-15 | 1985-09-10 | Allied Corporation | Centering device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
DE3541404A1 (de) * | 1984-11-23 | 1986-09-11 | Ivan Dipl.-Ing. 8000 München Sotirov | Gelenkkupplung |
US4907937A (en) * | 1985-07-08 | 1990-03-13 | Ford Motor Company | Non-singular industrial robot wrist |
DE3637132A1 (de) * | 1985-10-31 | 1987-07-16 | Ivan Dipl Ing Sotirov | Drehgelenkkupplung |
DE3714516A1 (de) * | 1986-10-31 | 1988-12-15 | Ivan Dipl Ing Sotirov | Drehgelenkkupplung |
US5425676A (en) * | 1989-06-28 | 1995-06-20 | Cornay; Paul J. | Universal joint having centering device |
US5525110A (en) * | 1993-10-29 | 1996-06-11 | The Torrington Company | Universal joint |
-
1995
- 1995-05-23 KR KR1019950012923A patent/KR9700075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
- 1996-05-21 US US08/655,298 patent/US571863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5-22 WO PCT/KR1996/000075 patent/WO19960377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1788A (ko) | 1996-12-19 |
WO1996037712A1 (en) | 1996-11-28 |
US5718635A (en) | 1998-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46030B2 (en) | Cam bar centering mechanism | |
US4172616A (en) | Cutting head with self-contained power source | |
AU2002253914A1 (en) | Cam bar centering mechanism | |
JP4660770B2 (ja) | 3自由度能動回転関節 | |
WO2008085931A2 (en) | Magnetic planetary gear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970007582B1 (ko)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
US11945528B2 (en) | Hip joint mechanism and humanoid robot | |
KR20170143396A (ko) | 로봇 관절 구조 | |
KR20220121078A (ko) | 이동체 | |
US11661972B2 (en) | PDM transmission with ball-CV torque transfer | |
US8607666B2 (en) | Power transfer unit with output shaft having integrated joint assembly | |
EP1141566A2 (en) | Ball cam centering mechanism | |
KR101640000B1 (ko) | 3방향 하중의 지지가 가능한 감속 유니트 | |
AU7297700A (en) | Housing for angle gear box for a boat propulsion motor | |
CN106304840A (zh) | 用于润滑滑动轴承的系统和方法 | |
US1965853A (en) |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 |
US3798925A (en) | Universal coupling | |
US1158457A (en) | Gearing. | |
CN218006391U (zh) | 一种双头顶视摄像头 | |
KR100236406B1 (ko) | 3차원 입체 동력전달장치 | |
KR102655835B1 (ko) | Cv joint 일체형 캐리어를 포함한 트랜스액슬 | |
EP0316445A4 (en) | CONNECTION JOINT WITH INTERLOCKING ANNULAR STRUCTURES FOR THE TRANSMISSION OF A FLOW OR FORCE. | |
EP1435467A1 (en) | Wide-angle constant-velocity joint, with arrangment for reducing the stresses of the internal members | |
KR200487532Y1 (ko) | 3d 블록체인 | |
KR950006376Y1 (ko) | 다각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