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295B1 -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 Google Patents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295B1
KR970007295B1 KR1019920023860A KR920023860A KR970007295B1 KR 970007295 B1 KR970007295 B1 KR 970007295B1 KR 1019920023860 A KR1019920023860 A KR 1019920023860A KR 920023860 A KR920023860 A KR 920023860A KR 970007295 B1 KR970007295 B1 KR 97000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ied
power supply
comparat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002A (ko
Inventor
김관성
강태오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채준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295B1/ko
Publication of KR94001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표시수단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컨덕트 클립 4 : 트랜스
5 : 브릿지 정류기 8 : 전원표시용 LED
11 : 비교기 13 : 정전압 다이오드
14 : 220V 표시용 LED 17 : 110V 표시용 LED
본 발명은 멀티탭(Multi-tab)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공급되고 있는 전원이 110V 또는 220V인가를 사용자에 알려주도록 한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공장용으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원이 대부분 220V이지만 많은 종류의 전동 공구 또는 가전제품이 110V와 220V를 전환세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110V 또는 220V의 한가지로만 세팅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므로 크고 작은 규모의 공장은 물론 일반가정에서도 110V와 220V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그리고 벽면 매립형 콘센트 또는 메인 콘센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만 110V와 220V의 구별이 되는 콘센트를 사용하고, 다시 멀리 떨어진 여러 부하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는 110V와 220V의 구별이 완전하게 되지 않는다.
특히 여러 가지의 플럭을 삽입할 수 있는 멀티캡의 경우에는 110V와 220V의 구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의 멀티탭은 전원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동시에 이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는 온/오프 스위치와 보호용 퓨우즈를 내장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110V로 세팅되어 있는 부하에 220V를 공급하여 손상을 가져오거나, 220V로 세팅되어 있는 부하에 110V를 공급하여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까닭에 기기의 고장인가 오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멀티탭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110V 또는 220V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한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멀티탭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를 거쳐 다수의 병렬로 접속된 컨덕트 클립들로 공급되는 전원의 값을 다운 시키면서 직류로 바꾸어 준 후 임의로 정한 기준 전압보다 큰가의 여부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110V 표시용 LED 또는 220V 표시용 LED를 점등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플럭(1)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은 전원스위치(2)를 거쳐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컨덕트 클립(3)들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트랜스(4)의 1차측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트랜스(4)의 2차측에서 전파정류회로인 브릿지정류기(5)를 경유한 양단에 콘덴서(6)를 접속한 후 다시 저항(7) 및 전원표시용 LED(8)를 병렬로 접속하여 전원스위치(2)가 온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표시용 LED(8)가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표시용 LED(8)로도 공급되는 전원은 두 저항(9),(10)에 의해 분할되어 비교기(11)의 반전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하면서 다시 저항(12) 및 5V용인 정전압 다이오드(13)를 거쳐 상기 비교기(11)의 비반전 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11)의 출력단에서 상기 브릿지 정류기(5)의 일측(+단)으로는 역방향의 220V 표시용 LED(14)와 저항(15)을 거쳐 접속하면서 상기 브릿지 정류기(5)의 타측(-단)으로는 저항(16)과 순방향의 110V 표시용 LED(17)를 거쳐 접속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플럭(1)을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 등에 삽입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 전원스위치(2)를 온시키면 다수개가 병렬로 접속된 컨덕트 클립(3)들로 입력되는 전원이 AC 110V인 경우에는 트랜스(4)에 의해 10 : 1로 다온된 전원(AC 11V)이 브릿지 정류기(5)를 정유하면서 DC 11V의 전원이 일측(+단)으로 출력된다.
상기의 DC 11V는 저항(7)을 거쳐 전원표시용 LED(8)로 흐르면서 점등시켜 현재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동시에, 저항(9),(10)에 의해 분할되어 DC 4.7V로 비교기(11)의 반전입력단(-)로 인가된다.
여기서 비교기(11)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저항(7) 및 정전압 다이오도(13)에 의해 항상 5V의 기준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비교기(11)의 출력단에는 하이전원 5V가 출력되고, 두 표시용 LED(14),(17)사이의 접점(A)에는 두 저항(15),(16)에 의해 분할된 전압치인 3.7V가 인가되는 상태이므로 저항(15) 및 220V 표시용 LED(14)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서 상기 비교기(11)의 출력단으로부터의 5V가 저항(16) 및 110V 표시용 LED(17)로만(Path 1)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는 110V 표시용 LED(17)의 점등 상태에서 현재 콘센트로 110V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110V로 세팅된 가전제품이나 공구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220V가 공급될 때에는 트랜스(4)에 의해 10 : 1로 다운된 AC 22V의 전원이 브릿지 정류기(5)와 콘덴서(6)를 거치면서 DC 22V가 된다.
이 DC 22V는 저항(7)을 통해 전원표시용 LED(8)로 흐르면서 점등시켜 외부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두 저항(9),(10)에 의해 분할된 전압치인 DC 9.4V가 비교기(11)의 반전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여기서 비교기(11)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저항(7) 및 정전압 다이오드(13)에 의해 DC 5V의 기준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비교기(11)의 출력단은 로우전위인 0V가 되고, 접점(A)의 전위는 두 저항(15), (16)에 의해 분할된 DC 7.3V가 된다.
그러므로 저항(15) 및 220V 표시용 LED(14)를 통해서만 전류가 흐르면서(Path 2) 외부에 220V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에 의하여서는 플럭(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트랜스(14)와 브릿지 정류기(15)를 정유하도록 하여 전압강하된 DC전원을 얻은 다음 비교기(11)에서 110V 또는 220V의 여부를 판단하여 110V 표시용 LED(17)를 점등시키는 경로(Path 1) 또는 220V 표시용 LED(14)를 점등시키는 경로(Path 2)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외부에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플럭(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스위치(2)를 통해 다수의 컨덕트 클립(3)으로 공급되도록한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에 있어서, 공급되는 AC전원의 값을 다운시키면서 DC전원으로 바꾸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경유한 전원이 일정값보다 큰가로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의해 전원의 종류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비교수단의 비교기(11)에서는 입력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출력단으로 하이나 로우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11)의 출력에 따라 표시수단의 110V 표시용 LED(17)를 점등시키는 경로 또는 220V 표시용 LED(14)를 점등시키는 경로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KR1019920023860A 1992-12-10 1992-12-10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KR97000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860A KR970007295B1 (ko) 1992-12-10 1992-12-10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860A KR970007295B1 (ko) 1992-12-10 1992-12-10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002A KR940017002A (ko) 1994-07-25
KR970007295B1 true KR970007295B1 (ko) 1997-05-07

Family

ID=1934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860A KR970007295B1 (ko) 1992-12-10 1992-12-10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433B1 (ko) * 2001-12-08 2004-04-14 이은진 전력계와 원격제어스위치가 부착된 다중연결 콘센트.
KR101721227B1 (ko) * 2016-08-17 2017-03-29 주식회사 대신전력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002A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539B2 (en) Identifying apparatus for AC power supply arrangement
KR970007295B1 (ko)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KR20010001187A (ko) 자동 전압 전환장치
DE69531868T2 (de) Schaltnetzteil
US4052664A (en) Circuit monitor to determine power on and circuit working
KR100332234B1 (ko)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US5925888A (en) Optocoupler input expansion circuit
US5748094A (en) Switch with current flow detector
KR0127531Y1 (ko) Ac 110v/220v 자동변환회로
KR200201660Y1 (ko)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기회로를 갖는 리미트스위치
KR20190141999A (ko) 전류 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KR960006373Y1 (ko) 전원자동전환회로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CN212304129U (zh) 一种交流负载指示插座
KR200189834Y1 (ko) 다용도 점등회로
KR910008720Y1 (ko) Dc/ac 전원변환회로
KR20000013542A (ko) 과부하 경보 및 표시장치
KR950006922Y1 (ko) 반파 정류회로에서의 퓨즈단선 표시회로
KR940004191Y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전압 선택회로
JP2572194Y2 (ja) 電源回路
KR200270331Y1 (ko) 부하 인지 파워 코드
KR840001565Y1 (ko) 자동 절환 전원회로
JPH05161358A (ja) Ac電源入力電圧自動切換回路
KR870002970Y1 (ko) 전압 조정기
KR900001902Y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