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970Y1 - 전압 조정기 - Google Patents

전압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970Y1
KR870002970Y1 KR2019850002642U KR850002642U KR870002970Y1 KR 870002970 Y1 KR870002970 Y1 KR 870002970Y1 KR 2019850002642 U KR2019850002642 U KR 2019850002642U KR 850002642 U KR850002642 U KR 850002642U KR 870002970 Y1 KR870002970 Y1 KR 870002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oltage
led
voltage regulato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416U (ko
Inventor
김사권
Original Assignee
김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권 filed Critical 김사권
Priority to KR201985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970Y1/ko
Publication of KR860012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 조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
제2도는 환상코어를 채용한 본 고안 트랜스의 실체 배선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형코어 L1, L2, L3: 전압표시용 LED
RECT : 정류회로 T1, T2: 제1권선 및 제2권선
TR1, TR2: 트랜지스터 VR1, VR2, VR3: 저항
ZD1, ZD2, ZD3: 제너다이오드
본 고안은 가정용이나 산업용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전압조정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압조정기의 트랜스코어로서 EI 코어나 EE 코어등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는 그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많을뿐 아니라 또한 다층식권선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정격용량을 조금이라도 초과하는 경우에는 쉽게 과열되어 절연이 파괴되었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종래의 전압조정기는 출력전압을 전압계에 의하여 지시하도록 된 것이어서, 조명이 어두운 장소나 전압조정기로부터 다소 떨어진 곳에서는 출력전압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그러므로 전압변동이 심한 지역이나 정밀한 전기 기구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수시로 전압조정기의 전압계에 가까이가서 확인하고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전압조정기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처리된 환형코어(1)의 표면에 다수의 탭단자(2)(2'),……(2n-1)(2n)를 갖는 제1권선(T1)과 탭단자(3)(3')를 갖는 제2권선(T2)을 형성하고, 제1권선(T1)의 탭단자(2)(2'),……(2n-1), (2n)는 셀렉터스위치(S)의 분기단자(B)에 접속하며, 셀렉터 스위치(S)의 중앙접점(C)과 제2권선의 탭단자(3')는 입력전원단자(4)(4')에 접속하고 제2권선의 탭단자(3)(3')는 전압계(V)가 접속된 출력단자(5)(5')에 연결하며, 3개의 LED(L1), (L2), (L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저항(VR1), (VR2), (VR3) 및 제너 다이오드(ZD1), (ZD2), (ZD3) 및 트랜지스터(TP1), (TR2)로 구성된 전압상태표시회로(VS1)에 제1권선(T1)의 두점에서 정류회로(RECT)를 통하여 얻어진 저 전압직류전원이 인가 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 입력전원을 단자(4)(4')에 인가하면 셀렉터 스위치(S)를 거쳐서 탭단자(2), (2"),……(2n-1), (2n) 중에 어느하나를 통하여 제1권선(T1)과 제2권선(T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환형코어(1)를 통하여 제2권선(T2)에는 강하된 전압이 유기되어 전압계(V)와 출력단자(5)(5')에 나타나게 되는바,
이때 본 고안에서는 환형코어를 통하여 제1권선에 입력된 전력이 그대로 제2권선에 유기되는 것이어서 전력손실이 거의 없을 뿐만아니라 권선된 상태가 다층권선이 아닌 단층권선 방식이므로 부하변동상태에서 다소의 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열이 권선자체에 축적되지 아니하므로 절연이 파괴되어 레어쇼트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느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전압계 뿐만아니라 LED (L1), (L2), (L3)에 의하여 전압상태의 높고 낮음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즉, 셀렉터 스위치(S)를 조작하여 전압계(V)의 지시치가 원하는 값으로 되게한 후 이어서 가변저항(VR1), (VR2)를 조정하여 줌으로서, 정류회로(RECT)의 출력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1)(ZD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1)(TR2)에 인가되어 턴온(turn on) 되도록함으로써 LED (L1)와 LED (L2)가 점등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는 출력전압이 정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입력전압이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LED(L1)만이 점등 되거나 모든 LED(L1)(L2)(L3)가 점등되는 것이다.
먼저 입력전압이 낮게 된 경우를 살펴보면 제1권선(T1)의 두점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낮고 따라서 정류회로(RECT)에서의 출력전압도 낮으며, 이는 가변저항(VR1)을 거치면서 제너 다이오드(ZD1)을 통과하는데 만일 이때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벌런쉬전압(Avalanche Voltage)보다도 낮은 전압이 인가되었다면 어느 하나의 LED도 점등되지 않고 단지 전압계(V)에 의하여 얼마나 낮은 전압인지를 알 수 있으며, 정상전압보다 약간 낮은 전압이라면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을 턴온시켜 LED(L1)를 점등시킬 수는 있으나 가변저항(VR2) 및 제너 다이오드(ZD2) 그리고 트랜지스터(TR2)를 턴온(turn on)시킬 수는 없게 되며, 제너 다이오드(ZD3)는 물론 턴온시킬 수 없게되므로, 결국, 전압이 정상치보다 약간 낮은 경우에는 LED(L1)만이 점등되고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모든 (LED(L1), (L2), (L3))가 소등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입력전압이 높은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정류회로(RECT)의 출력전압이 높게되어 가변저항(VR1), (VR2) 및 저항(R3)에 제너 다이오드(ZD1), (ZD2), (ZD3)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1)(TR2)를 턴온시키는데 충분하므로 모든 LED(L1)(L2)(L3)가 점등되어 입력전압의 높음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 LED 들의 색상을 각기 달리하여 주면 먼거리에서도 전압의 고저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압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 셀렉터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압계(V)에 정상 출력전압이 지시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제3도 및 제4도에 보인바와 같이 제1권선(T1)과 제2권선(T2)의 어떤 위치에서 출력단자(5)(5')를 연결하는가에 따라 승압조정기나 강압조정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압조정기의 트랜스코어로서 환형코어를 채용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층권선 방식을 채용한 것이어서 권선에서 부하의 변동으로 인한 열이 발생되더라도 열이 다층권선의 경우와 같이 축적되지 않으므로 절연이 파괴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특히 LED에 의하여 출력전압의 고저 상태를 조명이 어두운 곳이나, 전압조정기와 상당히 떨어진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다대한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절연처리된 환형코어(1)의 표면에 제1권선(T1)과 제2권선(T2)을 단층으로 형성하고, 제1권선(T1)에서 두점을 인출하여 정유회로(RECT)에 접속하며 이의 출력을 저항(VR1), (VR2)(VR) 제너 다이오드(ZD1), (ZD2), (ZD3) 및 트랜지스터(TR1)(TR2) 그리고 LED (L1), (L2), (L3)로 구성된 전압상태 표시회로에 인가하여, 제1권선(T1)에 입력된 전원전압의 상태를 LED (L1), (L2), (L3)로써 지시하도록한 전압조정기.
KR2019850002642U 1985-03-15 1985-03-15 전압 조정기 KR87000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642U KR870002970Y1 (ko) 1985-03-15 1985-03-15 전압 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642U KR870002970Y1 (ko) 1985-03-15 1985-03-15 전압 조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416U KR860012416U (ko) 1986-10-10
KR870002970Y1 true KR870002970Y1 (ko) 1987-09-05

Family

ID=1924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642U KR870002970Y1 (ko) 1985-03-15 1985-03-15 전압 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9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416U (ko) 198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4587A (en) High frequency gas discharge lamp dimming ballast
US5886423A (en) Electric series circuit
CA2019589A1 (en) Auto electric tester
US4914560A (en)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ircuit
US4739149A (en) Current sensor for welder conductor
WO1998056101A1 (en) Low voltage illumination system
KR870002970Y1 (ko) 전압 조정기
US3940572A (en) Power supply for key telephone system
US4723279A (en) Line use indicator in a telephone set
US5748094A (en) Switch with current flow detector
JP2767010B2 (ja) 過電圧保護回路
JPH0614080B2 (ja) 負荷断線検出装置
KR970007295B1 (ko)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EP4276477A1 (en) Self-powered alternating current indicator
KR950006922Y1 (ko) 반파 정류회로에서의 퓨즈단선 표시회로
KR900007131Y1 (ko) Ac/dc 겸용 레귤레이터
US20240188203A1 (en) Current-Limiting Circuit for LED Power Supply
KR900001901Y1 (ko) 출력전압 안정화 회로
JPH079393Y2 (ja) 電気機器の発光ダイオード点灯制御回路
SU1273895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SU903837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ограничитель амплитудного значени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850002271Y1 (ko) 보조전원회로의 정류전압 자동절환스위치 회로
KR920006113Y1 (ko) 전압레벨 표시 회로
KR890000287Y1 (ko) 전원제어용 집적회로의 발열방지회로
KR890009013Y1 (ko) Smps의 연속모드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