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227B1 -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227B1
KR101721227B1 KR1020160104509A KR20160104509A KR101721227B1 KR 101721227 B1 KR101721227 B1 KR 101721227B1 KR 1020160104509 A KR1020160104509 A KR 1020160104509A KR 20160104509 A KR20160104509 A KR 20160104509A KR 101721227 B1 KR101721227 B1 KR 10172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stant voltage
terminal
receptac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전력
Priority to KR102016010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전압에 따른 전원공급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는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작동기기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는 제1 전원단자와 제2 전원단자, 상기 제1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2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을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과 비교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비교하는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설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설정부,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거나,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 상기 제1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1 콘센트부와 상기 제2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2 콘센트부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위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케이싱,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변환된 정류 및 정전압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공급을 표시하는 램프부의 오작동으로 인한 작동기기의 수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a outlet apparatus using Induction voltag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유도전압에 따른 전원공급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교류 모터 또는 교류 전기기기에 설치되는 램프 또는 릴레이는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에 연결되고, 단자와 램프 간에 트랜스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램프 또는 릴레이의 전압에 맞도록 변환한다.
이러한, 램프 또는 릴레이가 연결되는 케이블은 여러 종류 및 많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함께 포설되므로 유도전압이 발생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램프 또는 릴레이의 양단에 콘덴서와 저항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유도전압을 방지하거나, 케이블을 실드케이블을 사용하여 유도전압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1256호(2008.4.11.공고)의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는 교류를 사용하는 기기의 알림램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기기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지는 전원단자와; 상기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1차적으로 유도전압을 상쇄시키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와 연결되어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되어지는 전압 및 전류가 일정하게 인가되어지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 및 정전압부와, 상기 정류 및 정전압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입력 수치에 따라 램프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값을 입력하는 설정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입가되어지는 전압 및 전류와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어진 설정값을 비교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되어진 값을 전송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전송되어지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램프를 동작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제어부와; 상기 출력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램프를 작동시키는 설정 값이하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유도전압이라고 판단하여 램프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램프의 오작동 및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는 램프가 설치된 기기에만 적용하여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콘센트 장치에 적용하여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콘센트 장치에 설치된 램프가 유도전압으로 인해 오작동하여 기기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는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작동기기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는 제1 전원단자와 제2 전원단자, 상기 제1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2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을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과 비교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비교하는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설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설정부,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거나,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 상기 제1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1 콘센트부와 상기 제2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2 콘센트부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위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케이싱,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변환된 정류 및 정전압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제1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1 단자부에서 이격되어 제2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제1 전원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접속부, 및 상기 제2 전원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1 콘센트부와 상기 제2 콘센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콘센트부 또는 상기 제2 콘센트부에 꽂아지는 작동기기의 코드 주변 둘레에서 빛을 발산하는 확산링, 및 상기 확산링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전압에 의해 전원공급을 알리는 램프부가 오작동함에 따라 작동기기의 이상으로 오인하여 작동기기를 수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케이싱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다른 전압 및 전류를 사용하는 작동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의 콘센트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를 구성하는 유도전압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부(150)를 포함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전압의 유입으로 인해 램프부(150)가 작동되어 작동기기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이다.
그리고, 작동기기는 교류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기계 또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는 서로 다른 전압 및 전류를 사용하는 작동기기의 코드가 각각 꽂아져 작동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는 각각 상부 또는 하부 돌출되어 하기에 설명될 회전축(121)에 설치되는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접속부(134)와 제2 단자접속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전원단자(133)가 접속되는 제1 단자부(135)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의 부분에 설치된 제1 단자부(135)에 제1 단자접속부(134)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제2 전원단자(143)가 접속되는 제2 단자부(145)는 콘센트케이싱(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의 부분에 설치된 제2 단자부(145)에 제2 단자접속부(14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콘센트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콘센트케이싱(120)은 제1 전원단자(133)가 설치되어 작동기기의 코드가 꽂아지는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전원단자(143)가 설치되어 작동기기의 코드가 꽂아지는 제2 콘센트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는 콘센트케이싱(120)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케이싱(120)의 내부에는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가 전기적으로 완벽히 구획될 수 있도록 격벽(1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콘센트케이싱(120)의 상부 및 하부 중앙에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상하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형태의 회전축(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케이싱(120)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가 형성된 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둘레면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는 서로 다른 코드가 꽂아지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매립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매립하우징(110)은 벽체에 매립되거나, 콘센트 장치(100)가 설치되는 설비에 매립될 수 있으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립하우징(11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상하로 돌출된 회전축(121)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111)이 형성되어 매립하우징(110)에서 콘센트케이싱(120)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매립하우징(110)의 양측면은 콘센트케이싱(12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콘센트케이싱(120)의 양측에 형성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매립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케이싱(120)은 회전에 따라 매립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 중 어느 하나만 노출되어 노출된 제1 콘센트부(123) 및 제2 콘센트부(125)로만 작동기기의 코드를 꽂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퍼(160)는 매립하우징(110)에서 회전하는 콘센트케이싱(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60)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제1 콘센트부(123)가 매립하우징(110)에 노출되도록 회전 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회전을 고정하거나, 제2 콘센트부(125)가 매립하우징(110)에서 노출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스토퍼(160)는 매립하우징(110)과 콘센트케이싱(120) 중 어느 하나에는 볼안착홈(16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안착홈(161)에 안착되는 고정볼(163)이 탄성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볼안착홈(161)에 고정볼(163)이 걸쳐지는 경우,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볼안착홈(161)은 매립하우징(110)에서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을 고정하기 위한 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및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는 제1 전원선(130)에서 제1 전원단자(133)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램프부(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일정한 전류 및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는 제2 전원선(140)에서 제2 전원단자(143)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일정한 전류 및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및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는 공지된 정전류회로 및 정전압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전원선(130)과 제2 전원선(1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서로 다른 전류와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컨트롤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175)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및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변환된 전원의 정류 및 정전압 값을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 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75)에서 비교하는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 값은 하기에 설명될 설정부(174)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설정부(174)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비교 값과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비교 값이 서로 다른 값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75)는 정류 및 정전압 값을 비교하는 기능 외에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설정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설정부(174)는 컨트롤러(175)에서 비교할 전원의 정류 및 정전압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을 저장하여 컨트롤러(175)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정부(174)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값을 입력하도록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부(174)에서 설정되는 정류 및 정전압 값은 램프부(150)의 동작 전압의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75)는 70% 미만의 전압일 경우, 유도전압이라고 판단하여 램프부(150)을 미작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출력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출력부(176)는 컨트롤러(175)에서 판단된 정류 및 정전압 값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제공받아 하기에 설명될 램프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76)는 컨트롤러(175)에서 판단된 정류 및 정전압 값이 일치되는 경우만 램프부(150)를 작동하도록 램프부(150)를 구동시키거나, 컨트롤러(175)에서 판단된 정류 및 정전압 값이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도전압 방지장치(170)는 컨트롤러(175),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 설정부(174)를 포함하고, 하나의 기판에 실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램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램프부(150)는 출력부(176)에서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램프부(150)는 서로 다른 색상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램프부(150)는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150)는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에 코드가 꽂힌 상태에서 코드의 둘레로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가 제1 콘센트부(123) 또는 제2 콘센트부(125)만 바라봐도 유도전압이 발생하였음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램프부(150)는 빛을 발산하는 LED(151)와 LED(151)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링(15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산링(153)은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의 주변 둘레로 빛이 발산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스위칭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위칭부(173)는 회전축(121)에 설치되어 매립하우징(110)에서 콘센트케이싱(120)이 회전할 때, 사용을 위해 노출되는 제1 콘센트부(123) 또는 제2 콘센트부(125)에 따라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또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를 거친 전원을 컨트롤러(175)로 제공하는 동시에 이와 대응되는 설정부(174)에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컨트롤러(175)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부(173)는 제1 콘센트부(123)를 사용하기 위해 매립하우징(110)에서 콘센트케이싱(120)이 회전하여 제1 콘센트부(123)가 노출되는 경우, 제1 정류 및 정전압을 거친 전원을 컨트롤러(175)로 제공하는 동시에 설정부(174)에 미리 설정된 제1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컨트롤러(17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173)는 사용을 위해 노출되는 제1 콘센트부(123) 또는 제2 콘센트부(125)에 설치된 램프부(150)만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스위칭부(173)는 회전축(121)의 회전을 감지하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공지된 광학센서 또는 전기적인 통전을 이용하는 공지된 전기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부(173)가 광학센서로 구현될 경우에는 발신되는 빛의 회전축(121)에 설치된 특정마커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는 하는 형태로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전기센서로 구현될 경우에는 회전축(121)의 일부에 통전 또는 단락되는 단자를 설치하여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에 따라 통전 또는 단락에 따라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는 회전축(121)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콘센트케이싱(120)에 설치된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 각각에 제1 전원선(130)과 제2 전원선(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는 각각 복수 개의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는 회전축(121)의 서로 다른 위치 예컨대, 콘센트케이싱(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21)에는 제1 단자부(135)가 구비되며, 콘센트케이싱(120)의 하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21)에는 제2 단자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135)의 외주에는 제1 전원선(1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단자부(135)의 내주에는 제1 전원단자(133)의 제1 단자접속부(134)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2 단자부(145)의 외주에는 제2 전원선(1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2 단자부(145)의 내주에는 제2 전원단자(143)의 제2 단자접속부(144)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부(135)는 제1 단자접속부(1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단자부(145)도 제2 단자접속부(14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의 각각의 외주에 접속되는 제1 전선선과 제2 전원선(140)에는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에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는 제1 전원선(130)과 제2 전원선(140)이 제1 단자부(135)와 제2 단자부(145)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매립하우징(110)에서 콘센트케이싱(120)이 회전할 때, 제1 전원선(130)과 제2 전원선(140)이 함께 회전하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콘센트케이싱(120)의 내부에 제1 전원단자(133)와 제2 전원단자(143)가 설치되고, 제1 전원단자(133)의 제1 단자접속부(134)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의 부분에 설치된 제1 단자부(1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전원단자(143)의 제2 단자접속부(144)는 콘센트케이싱(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의 부분에 설치된 제2 단자부(1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벽면에는 매립하우징(110)이 매립되며, 매립하우징(110)의 상부 및 하부로는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선(130)과 제2 전원선(140)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벽면에 매립된 매립하우징(110)의 축공(111)에는 콘센트케이싱(120)의 상하로 돌출되는 회전축(121)이 삽입되어 끼워져 매립하우징(110)에서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콘센트케이싱(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콘센트케이싱(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에 구비된 제1 단자부(135)의 외주에는 제1 전원선(130)의 부싱(13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콘센트케이싱(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21)에 구비된 제2 단자부(145)의 외주에는 제2 전원선(140)의 부싱(14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회전축(121)에는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스위칭부(17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제1 전원선(13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제1 단자부(135)를 통해 제1 전원단자(133)로 공급되며, 제1 전원단자(133)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에서 일정한 정류와 정전압을 갖는 전원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제2 전원선(14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제2 단자부(145)를 통해 제2 전원단자(143)로 공급되며, 제2 전원단자(143)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일정한 정류와 정전압을 갖는 전원으로 변형한다.
한편,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와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일정하게 변형된 정류 및 정전압을 갖는 전원은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스위칭부(173)에 의해 사용을 위해 노출되는 제1 콘센트부(123) 또는 제2 콘센트부(125)를 파악하고, 이와 대응되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또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변형된 전원을 컨트롤러(175)로 제공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75)에서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171) 또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172)에서 변형된 정류 및 정전압 값과 설정부(174)에서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 값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경우, 램프부(150)를 작동시키고, 일치되지 않으면 램프부(150)를 미작동시킨다.
이때, 램프부(150)는 제1 콘센트부(123)와 제2 콘센트부(125)에 각각 설치되지만, 스위칭부(173)에 의해 제1 콘센트부(123)에 설치된 램프부(150)와 제2 콘센트부(125)에 설치된 램프부(150) 중 사용하기 위해 노출되는 콘센트부에 설치된 램프부(150)만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75)에서 비교하는 비교 값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됨을 램프부(150)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175)에서 비교하는 비교 값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부(150)가 미작동됨으로써, 예컨대, 유도전압에 의한 램프부(150)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100)는 서로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전원을 콘센트케이싱(120)의 회전에 따라 제1 콘센트부(123) 또는 제2 콘센트부(125)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유도전압에 의해 램프부(150)의 작동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의 정상공급으로 오인하여 작동기기를 수리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110: 매립하우징 111: 축공
120: 콘센트케이싱 121: 회전축
123: 제1 콘센트부 125: 제2 콘센트부
130: 제1 전원선 131,141: 부싱
133: 제1 전원단자 134: 제1 단자접속부
135: 제1 단자부 140: 제2 전원선
143: 제2 전원단자 144: 제2 단자접속부
145: 제2 단자부 150: 램프부
151: LED 153: 확산링
160: 스토퍼 161: 볼안착홈
163: 고정볼 165: 탄성스프링
170: 유도전압 방지장치 171: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172: 제2 정류 및 정전압부 173: 스위칭부
174: 설정부 175: 컨트롤러
176: 출력부

Claims (3)

  1.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작동기기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는 제1 전원단자와 제2 전원단자,
    상기 제1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2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2 정류 및 정전압부,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을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과 비교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비교하는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설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설정부,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되는 정류 및 정전압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정류 및 정전압의 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거나,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
    상기 제1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1 콘센트부와 상기 제2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제2 콘센트부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위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케이싱,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정류 및 정전압부 또는 상기 제2 정류 및 정전압부에서 변환된 정류 및 정전압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케이싱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에 접촉되도록 제1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 전원단자에서 상기 제1 단자부가 위치된 회전축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1 단자접속부,
    상기 콘센트케이싱에서 하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에 접촉되도록 제2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2 전원단자에서 상기 제2 단자부가 위치된 회전축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2 단자접속부,
    상기 콘센트케이싱은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상기 제2 전원단자를 전기적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케이싱의 회전축이 상하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벽면에 매립되는 매립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1 콘센트부와 상기 제2 콘센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콘센트부 또는 상기 제2 콘센트부에 꽂아지는 작동기기의 코드 주변 둘레에서 빛을 발산하는 확산링, 및 상기 확산링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04509A 2016-08-17 2016-08-17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KR10172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09A KR101721227B1 (ko) 2016-08-17 2016-08-17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09A KR101721227B1 (ko) 2016-08-17 2016-08-17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227B1 true KR101721227B1 (ko) 2017-03-29

Family

ID=5849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09A KR101721227B1 (ko) 2016-08-17 2016-08-17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35B1 (ko) * 2018-05-28 2018-10-12 강준기 가구용 멀티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002A (ko) * 1992-12-10 1994-07-25 유채준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KR20070082132A (ko) * 2006-02-15 2007-08-21 주식회사 두원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구동방법
KR100821256B1 (ko) * 2007-10-29 2008-04-11 김호수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와이를 이용한 유도전압 방지 방법.
KR20150071242A (ko) * 2013-12-18 2015-06-26 최재춘 올인원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002A (ko) * 1992-12-10 1994-07-25 유채준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KR20070082132A (ko) * 2006-02-15 2007-08-21 주식회사 두원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구동방법
KR100821256B1 (ko) * 2007-10-29 2008-04-11 김호수 고전압 고전류를 사용하는 장치의 유도전압 방지장치와이를 이용한 유도전압 방지 방법.
KR20150071242A (ko) * 2013-12-18 2015-06-26 최재춘 올인원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35B1 (ko) * 2018-05-28 2018-10-12 강준기 가구용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948B1 (en) Illuminated electrical outlet and light switch
US8299712B2 (en) Light unit with internal power failure detection
JP5571791B2 (ja) Led電球
US10389205B2 (en) Motor programming tool
US10236716B2 (en) Lamp with battery backup capability
CN104053942A (zh) 无起火和电击危险的具有电压感测机构的线性固态照明
US4454452A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101721227B1 (ko) 유도전압 방지장치를 이용한 콘센트 장치
KR101723048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US20090273917A1 (en) Lighting device
US20060209484A1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WO2019072114A1 (en) LED EMERGENCY LIGHTING BULB
EP1842276A1 (en) Device for detect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failure
WO2010139385A2 (en) A mains power failure indicator
KR101728534B1 (ko) 차량의 스마트 정션블록 내 퓨즈 단선 감지 장치
US20050231162A1 (en) Mobile work robot
US6356024B1 (en) Lighting device for normal and emergent use
US11973336B2 (en) Circuit and plug for timing automatic detection of leakage protection function
KR102048489B1 (ko) 대기전력 저감이 가능한 전원분배기
KR102023892B1 (ko) 절전이 가능한 벽체 매립형 전기 콘센트
KR20190090619A (ko) 안정기 호환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US11713869B2 (en) Lighting device having moveable, non-incandescent lamp stick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KR200275615Y1 (ko) 엘리베이터 비상조명등 전원 장치
KR200318831Y1 (ko) 유도등의 전원 입력 상태 표시 회로
KR19980020438U (ko) 인디게이트가 구비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