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236B1 -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236B1
KR970007236B1 KR1019890014557A KR890014557A KR970007236B1 KR 970007236 B1 KR970007236 B1 KR 970007236B1 KR 1019890014557 A KR1019890014557 A KR 1019890014557A KR 890014557 A KR890014557 A KR 890014557A KR 970007236 B1 KR970007236 B1 KR 97000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pipe
water
post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225A (ko
Inventor
슌이찌 나까야마
야스시 다까야나기
야스유끼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마사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마사요시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4Automatic carbon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67D1/0066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outside the carbonator
    • B67D1/0068Cooling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포타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의 기계적 냉장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포타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의 전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보인 포탑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에 있어서 포타블 탱크용 격실과 시럽공급격실을 나타내기 위해 억세스 패널과 톱 억세스 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
제4도는 시럽 패키지와 수납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보인 포타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6도는 전자밸브를 구동하기위한 전기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규모가 작은 사무실이나 음료분배용적이 작은 위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포타블하고 콤팩트한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O2실린더와 시럽패키지 사이에 연결된 도관에 배치된 전자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는 일반적으로, 본문에 참고로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제4,493,441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대기중으로 통풍되는 유량제어관을 갖는 시럽 패키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분배장치에서 시럽의 불균일한 유량이나 위생상 문제로 인해,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332,982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시럽 패키지와 같은 밀봉 패키지의 사용 및 시럽을 통풍시키기위해 CO2실린더로 부터의 CO2압력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패키지가 시럽이 소비된 후 다른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었을 때, CO2통풍을 차단하기위해 수동조작으로 밸브가 절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시럽병이 용이하게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는 포타블 포스트 믹스형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 믹스형 분배시스템은 적어도 제1억세스 패널 및 이에 이어진 제2억세스 패널을 갖는 캐비넷 하우징을 포함한다. 포타블 워터를 저장하기 위한 포타블 탱크는 캐비넷 하우징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있다. 카아보네이터는 CO2와 포타블 탱크로부터의 냉각수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한다. 냉각수 저장기는 포타블 탱크로부터 카아보네이터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한다. CO2탱크는 CO2를 카아보네이터에 공급한다. 시럽 패키지는 선택된 시럽을 분배한다. 포타블 탱크를 카아보네이터에 연결시키기위해 제1파이프가 냉각저장기에 일부 배치된다. 제2파이프는 CO2탱크와 카아보네이터를 연결한다. 밸브는 카아보네이터로부터의 탄산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제3파이프는 카아보네이터와 밸브를 연결한다. 제4파이프는 시럽패키지로부터 밸브에 시럽을 공급하도록 CO2탱크로부터 시럽 패키지에 CO2를 공급하기위해 제2파이프를 시럽 패키지에 연결한다. 제1 및 제2억세스 패널사이의 개폐를 검출하기위한 검출장치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CO2탱크와 시럽 패키지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기위해 제어밸브가 제4파이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타 특징들을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제1도 내지 3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포타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캐비넷(20)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은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 톱억세스 패널(202), 우측 억세스 패널(203), 좌측 억세스 패널(204), 후측 억세스 패널(205), 하측 억세스 패널(206) 및 부가적 억세스 패널(207)을 포함한다.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은 톱억세스 패널(202)에 인접하여 그 위에 부착된 영구자석(201a)을 포함한다. 톱 억세스 패널(202)은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위의 영구자석(201a)에 인접하여 부착된 리이드 스위치(202a)를 포함하며, 상기 리이드 스위치(202a)는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이 캐비넷(20)에 위치될 때 턴온된다. 영구자석(201a)과 리이드스위치(202a)는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이 캐비넷(20)상에 위치되는지의여부를 검출하기위한 검출장치(60)를 구성한다. 유출부(21)가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 아래에 배치되며 컵을 수납하고 다수의 슬릿을 통해 컵으로부터 누출된 액체를 배출하기위한 배출판(211)을 포함한다. 패널(201)과 유출부(21) 사이에 분배부(212)가 위치되고 전방에서 하방으로 뻗어있는 밸브레버(213)를 포함하고 있다. 캐비넷(20)의 한 상부코너에 냉각수저장기(22)가 배치되며 절연재로 덮혀진다. 카아보네이터(23), 냉각파이프(24)의 일부, 교반기(25) 및 아이스센서(26)는 모두 냉각수 저장기(22)내에 배치되어 있다. 저장기(22)는 냉각 파이프(24)를 통해 카아보네이터(23)로 도입된 포타블 워터를 냉각하기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를 저장한다.
포타블 탱크(27)는 캐비넷(20)의 상부 좌측에 제거가능하게 배치되며, 탄산화되고 시럽과 직접 혼합될 포타블 워터를 저장하고 공급하기위해 사용된다. 제어함(28), CO2실린더 또는 탱크(29) 및 분배부(212)위에 위치되고 이에 연결된 다수의 시럽 패키지(S1,S2,S3)는 캐비넷(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캐비넷(20)의 하부에는 펌프(30), 압축기(31) 및 응축기(54)가 배치되어 있다. 포카블 탱크(27)는 밀봉결합기(32) 및 제1도관(33)을 통해 펌프(30)에 연결된다. 밀봉결합기(32)는 제1도관(33)이 물을 누출시키지 않고 그로부터 분리될수 있도록 하기위해 제1도관(33)의 일단을 포타블 탱크(27)에 연결한다. 제1도관(33)은 펌프(30)와도 연결되며, 펌프(30)의 타측이 냉각파이프(24)에 연결된다. 냉각파이프(24)는 냉각수 저장기(22)에 배치된 직사각형의 나선형부(241)를 갖는다. 냉각파이프(24)의 하단은 제2도관(34) 및 3방향 전자 밸브(36)를 통해 제3도관(35)에 연결된다. 제2도관(34)은 체크밸브(37)를 가지며 냉각수 저장기(22)에 위치된 카아보네이터(23)의 내측으로 뻗어있다. 제3도관(35)은 3개의 부도관 35a,35b 및 35c로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부도관은 분배부(212)에 배치된 각각의 유량제어밸브(38)를 통해 각각의 밸브(V1,V2,V3)와 연결된다.
CO2실린더(29)는 제4도관(39)을 통해 카아보네이터(23)의 내측에 연결된다. 체크밸브(40) 및 압력게이지(411)를 포함한 감압밸브(41)가 실린더 탱크(29)와 카아보네이터(23) 사이의 제4도관(39)에 배치되어 있다. 탄산수는 카아보네이터(23)에서 포타블 탱크(27)로부터의 냉각수를 CO2실린더(29)로부터의 CO2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제5도관(42)은 감압밸브(41)와 체크밸브(40) 사이의 위치에서 제4도관(39)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밸브(44)의 위치 다음에, 제5도관(42)은 3개의 부도관(42a,42b,42c)으로 분할되며, 상기 각각 부도관은 각각 체크밸브(45)를 갖는다. 부도관(42a,42b,52c)은 유량제어밸브(46)를 통해 밸브 V1,V2 및 V3와 각각 연결된다. 감압밸브(43)는 제5도관내의 CO2의 압력을 대략 0.4kg/㎠의 레벨로 감소시킨다.
카아보네이터(23)는 그안에 유지되어 있는 냉각탄산수를 포함한다. 제5도관(47)은 그 일단이 카아보네이터(23)의 하부근방으로부터 뻗어있으며, 그 타단에서 3개의 부도관(47a,47b 및 47c)으로 분할된다. 부도관(47a,47b,47c)은 각각의 유량제어밸브(48)를 통해 밸브(V1,V2,V4)와 각각 연결된다. 밸브(V1,V2,V3)의 타단은 혼합된 음료를 각각의 컵(52)에 분배하기위해 노즐(49,50,51)에 연결된다.
냉각수 저장기(22)의 내벽의 외면을 따라 증발기(5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는 냉각수 저장기(22)의 물을 냉각 시킨다. 증발기(53)는 냉장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로는 적어도 캐비넷(20)내의 냉각수 저장기(22)의 외측으로 위치된 응축기(54) 및 압축기(31)를 더 포함한다. 냉각수(22)의 물은 대략 0℃의 온도로 될 때까지 증발기(53)에 의해 냉각된다.
전자밸브(44)가 제어장치(60)에 연결되어 검출장치(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감압밸브(43)와 체크밸브(45)사이에 제5도관(42)의 연통을 개폐한다.
동작시, 사용자는 선택된 음료에 대응하는 선택된 노즐(49,50,51)중 하나 밑의 배출판(211)위에 컵을 놓는다. 다음, 사용자는 선택된 노즐에 대응하는 밸브레버(213)중 하나를 누르며, 이와동시에 펌프(30)와 3방향 전자밸브(36)가 동작한다. 펌프(30)는 제1도관(33)을 통해 포타블 탱크(27)로부터 냉각 파이프(24)의 나선형부(241)내로 물을 가압하며, 상기 물은 저장기(22)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그 후, 높은 3방향 전자밸브(36)를 통해 카아보네이터(23)내로 흐르고 물을 탄산화시키기위해 CO2실린더(29)로부터의 CO2와 혼합된다. 플로트 스위치(55)는 카아보네이터(23)내의 탄산수의 용적을 제어한다. 탄산수의 수위가 소정치 이하일 경우, 탄산수의 수위가 소정치까지 인상되도록 하기위해 펌프가 동작되어 보다많은 프카블 워터가 CO2와 함께 카아보네이터(23)에 공급된다. 카아보네이터에 공급된 물은 증기의 형태로 존재한다. 카아보네이터(23)에서 혼합된 탄산수는 제6도관(47)을 통과하며, 또한 적절한 부도관을 통해 각각의 유량제어밸브(48)로 흐른다. 또한, 포타블 워터는 제3도관 및 전자밸브로부터의 적절한 부도관을 통해 분배부(212)의 한 유량제어밸브(28)에 직접 보내진다. 즉, 물은 카아보네이터(23)를 통과하기 않고 나선형부(241)로부터 흐른다. 결국, 시럽이 도관(45) 및 적절한 부도관의 CO2의 압력에 따라 적절한 시럽패키지(S1,S2,S3)의 하나에서 각각의 유량제어밸브(46)로 흐른다.
도관(45) 및 예컨대, 부도관(42a)의 CO2가 제4도 및 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럽패키지(S1)의 내부에 공급되고 CO2압력이 일정할 경우, 시럽패키지(S1)로부터 유량제어밸브(46)까지의 시럽의 유량 역시 일정하게된다. 탄산수, 포타블 워터 및 시럽의 용적은 유량제어밸브(43,38,46)에서 각각 제어되고 조합된 밸브(V1,V2,V3)에 공급되어 혼합된다. 혼합된 음료는 다음, 조합된 노즐(49,50,51)을 통해 컵(52)으로 흐른다.
CO2실린더(29)와 시럽패키지(S1,S2,S3)는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시럽패키지나 탱크의 내용물이 모두 공급되어 소비되었을 때 탱크 또는 패키지는 제거되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이 캐비넷(20)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에 부착된 영구자석(201a)이 톱 억세스 패널(202)에 부착된 리이드 스위치(202a)로부터 떨어진다. 이에따라, 리이드 스위치(202a)가 오프되어 제6도에 보인바와 같이 전자밸브(44)의 솔레노이드(44a)에 대한 전원(61)으로부터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전자밸브(44)가 제5도관(42)과 각각의 부도관(42a,42b,42c) 사이의 연통을 폐쇄시킨다. 각각의 시럽패키지(S1,S2,S3)에 대한 시럽의 공급은 전자밸브(44)에서 중단된다. 따라서, 적절한 시럽패키지(S1,S2,S3)가 대응하는 부도관(42a,42b,42c)으로부터 제거되더라도, 실린더(29)의 CO2가 대기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다음, 새로운 것으로 교체후, 프론트 억세스 패널(201)이 분배부(212)에 배치되었을 때 영구자석(20la)이 리이드 스위치(202a)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따라, 전자밸브(44)의 솔레노이드(44a)가 전원(6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밸브(44)가 제5도관(42)과 각 부도관(42a,42b) 사이의 연통을 개방하여 적절한 시럽패키지(S1,S2,S3)에 CO2의 공급을 재개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기술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관점내에서 여러가지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제1억세스 패널 및 이에 이어진 제2억세스 패널을 갖는 캐비넷 하우징, 상기 캐비넷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포타블 워터를 저장하기위한 포타블 탱크 수단, 상기 포타블 탱크 수단으로부터의 냉각수를 CO2와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기위한 카아보네이터 수단, 상기 포타블 탱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에 공급되는 포타블 워터를 냉각하기위한 냉각수 저장기 수단,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에 CO2를 공급하기 위한 CO2탱크수단, 선택된 시럽을 분배하기위한 시럽 패키지수단,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을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과 연결시키기위해 상기 냉각수 저장기 수단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파이프수단, 상기 CO2탱크수단을 상기 카아보네이터와 연결시키기위한 제2파이프 수단,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으로부터의 탄산수의 유량을 제어하기위한 밸브수단,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을 상기 밸브수단에 연결시키기위한 제3파이프 수단, 및 상기 시럽 패키지수단으로부터 상기 밸브수단에 시럽을 공급하도록 상기 CO2탱크수단으로부터 상기 시럽 패키지 수단에 CO2를 공급하기위해 상기 시럽 패키지 수단에 상기 제2파이프 수단을 연결하는 제4파이프 수단을 포함하는 포스트 믹스형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억세스패널 사이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CO2탱크수단과 상기 시럽패키지 수단 사이의 연통릉 개폐하도록 상기 제4파이프 수단에 배치된 제어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수단이 전자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제1억세스 패널에 부착된 영구자석수단과 상기 제2억세스 패널에 부착된 리이드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이 상기 냉각수 저장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이 물의 누출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과 상기 카아보네이터수단 사이에 배치된 밀봉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그의 일단이 3방향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제1파이프 수단에 연결되고 그의 타단이 상기 밸브수단에 연결된 제5파이프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파이프 수단은 상기 포타블 탱크로부터 상기 밸브수단에 냉각된 포타블 위터를 공급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탄산수와 상기 시럽 및 상기 냉각된 포타블 워터를 혼합 및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그의 일단이 3방향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제1파이프 수단에 연결되고, 그이 타단이 상기 밸브수단에 연결된 제4파이프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파이프 수단은 상기 포타블 탱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밸브수단에 냉각된 포타블 워터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수단은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으로부터의 포타블 워터를 신속히 냉각시키기위해 상기 냉각수 저장기 수단에 배치된 나선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은 그 안에서 제조되는 탄산수를 저장하고, 상기 장치는 카아보네이터 수단에 저장된 탄산수의 레벨을 감지하기위해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에 배치된 감지수단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으로부터 상기 카아보네이터 수단에 포타블 워터를 펌핑하기위해 상기 포타블 탱크수단과 상기 카아보네이터수단 사이에 상기 제1파이프 수단에 배치된 펌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억세스 패널 및 제2억세스 패널은 각각 프론트 패널 및 톱 패널이며, 상기 캐비넷 하우징은 배면, 측면 및 하면 패널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믹스형 음료분배장치.
KR1019890014557A 1988-10-11 1989-10-11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KR970007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31731U JPH0252800U (ko) 1988-10-11 1988-10-11
JPU131,731/63 1988-10-11
JP63-131731 1988-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25A KR900006225A (ko) 1990-05-07
KR970007236B1 true KR970007236B1 (ko) 1997-05-07

Family

ID=1506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557A KR970007236B1 (ko) 1988-10-11 1989-10-11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6951A (ko)
EP (1) EP0364206B1 (ko)
JP (1) JPH0252800U (ko)
KR (1) KR970007236B1 (ko)
DE (1) DE689057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710A (en) * 1992-07-02 1993-10-05 Imi Cornelius Inc. Beverage dispenser having cold plate with evaporative cooling
DE4228775A1 (de) * 1992-08-28 1994-03-03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Bereiten und Ausgeben von Erfrischungsgetränken
US5341957A (en) * 1993-01-08 1994-08-30 Sizemore Sean S Cup-typ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US5651482A (en) * 1993-01-08 1997-07-29 Sizemore; Sean S. Syrup delivery kit for vending system
US5333759A (en) * 1993-01-14 1994-08-02 Lancer Corporation Modular dispensing tower
US5531254A (en) * 1994-02-22 1996-07-02 Rosenbach; Arnie Portable hand activated carbonator
BR7400414U (pt) * 1994-03-04 1994-07-26 Spal Ind Brasileira De Bebidas Máquina dispensadora de refrigerantes
US5556006A (en) * 1994-04-05 1996-09-17 Fuji Electric Co., Ltd. Drink supply apparatus
DE19526215A1 (de) * 1994-08-22 1996-02-29 Unifontes Ag Gerät zur Erzeugung und Abgabe verschiedener Post-Mix-Getränk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Gerätes
US5765726A (en) * 1995-09-27 1998-06-16 Imi Wilshire Inc. Combined carbonated and non-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AU7032801A (en) * 2000-10-09 2002-04-1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Ice cream vending machine
EP1764148A1 (de) * 2005-09-14 2007-03-21 Jäger, Urs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Mischgetränken und Druckbehälter dafür
US20110182652A1 (en) * 2010-01-22 2011-07-28 Hannah Chung Wearable Sanitizing Gel Dispenser, Kit,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181417A1 (en) * 2010-01-25 2011-07-28 Lancer Partnershi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dispensing
US20140263406A1 (en) * 2013-03-14 2014-09-18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with Integrated Carbonator and a Potable Water/Ice Slurry Refrigeration System
EP3030514B1 (en) * 2013-03-15 2021-08-11 The Coca-Cola Company Efficiently and easily opening and closing a canister valve
US9518691B2 (en) 2013-03-15 2016-12-13 The Coca-Cola Company Efficiently and easily opening and closing a canister valve
EP3049363B1 (en) * 2013-09-24 2017-10-25 Nestec S.A. Solenoid valve for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EP3000780A1 (en) * 2014-09-26 2016-03-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comprising an ingedient container receiving means and a gas pressure regulator
EP3000779A1 (en) * 2014-09-26 2016-03-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pod or capsule receiving means
EP3209952B1 (en) * 2014-10-20 2019-12-11 Bedford Systems LLC Beverage machine with thermoelectric cooler, heat pipe and heat sink arrangement
US10743563B2 (en) * 2015-10-02 2020-08-18 The Vollrath Company, L.L.C. Frozen beverage dispenser
US10053350B2 (en) * 2016-06-07 2018-08-21 Cleland Sales Corporation Post-mixing carbonation of beverages
JP7407363B2 (ja) * 2019-11-01 2024-01-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注出ヘッドおよび飲料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4377A (en) * 1956-12-03 1959-07-14 Jr Horace E Shiklers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3240395A (en) * 1963-01-22 1966-03-15 Fred M Carver Self-contained portable dispensing system
US3638392A (en) * 1970-02-20 1972-02-01 Harry Logue Welker Jr Automatics slush dispensing machine
GB1414982A (en) * 1972-01-25 1975-11-26 Granley Products London Ltd Device responsive to the opening of a door
US4148334A (en) * 1975-09-05 1979-04-10 Fluid Device Corporation Liquid level control sytem
US4304736A (en) * 1980-01-29 1981-12-08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tilizing propellant carbon dioxide gas for carbonating
US4440318A (en) * 1980-03-11 1984-04-03 Irving Berger Beverage dispenser
US4688701A (en) * 1981-06-26 1987-08-25 The Coca-Cola Company Self-contained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apparatus having access for manually loading syrup CO2 and water
US4493441A (en) * 1981-11-12 1985-01-15 The Coca-Cola Company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unit
JPS5927389A (ja) * 1982-08-02 1984-02-13 ザ・コカ−コ−ラ・カンパニ− ポスト・ミツクス飲料分配装置
IE55764B1 (en) * 1983-11-16 1991-01-02 Coca Cola Co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4674656A (en) * 1984-10-22 1987-06-23 The Coca-Cola Company Agitator assembly for the refrigeration system of a beverage dispenser
JPS6146686U (ja) * 1984-08-31 1986-03-28 サンデン株式会社 飲料販売機
US4911331A (en) * 1984-11-16 1990-03-27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quality security apparatus for post-mix beverage dispenser
JPH01153492A (ja) * 1987-12-08 1989-06-15 Sanden Corp 可変式後混合炭酸飲料分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25A (ko) 1990-05-07
EP0364206A1 (en) 1990-04-18
US5086951A (en) 1992-02-11
DE68905746T2 (de) 1993-09-30
JPH0252800U (ko) 1990-04-16
DE68905746D1 (de) 1993-05-06
EP0364206B1 (en) 199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236B1 (ko) 포타블 포스트믹스형 음료분배장치
US4960228A (en)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unit
CA1145303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EP0299767B1 (en) Premix dispensing system
US5280711A (en) Low cost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0124511B1 (ko) 혼합후 쥬스 분배 장치
US5312017A (en)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for beverage dispenser
US4493441A (en)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unit
US5492250A (en) Beverage dispenser with electronics protection shield
EP0517856B1 (en) Multiple fluid space dispenser and monitor
US5725125A (en) Method of and means for providing multiple flavored beverages from a dispensing valve from a beverage dispensing unit
US556673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 reader for size indica on a serving container
US2894377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4376496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EP0176259A1 (en) Post mix fruit juice dispenser
KR20000076106A (ko) 혼합 음료 디스펜서
US5556006A (en) Drink supply apparatus
EP0080253B1 (en) Post-mix beverage dispenser
JP2936107B2 (ja) 箱収納高粘度飲料バッグ用ポストミックス飲料ディスペンサー装置
US20060169720A1 (en) Chilled liquid dispensers
JP3732997B2 (ja) 飲料供給装置
GB2160503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ice dispensing
RU2069316C1 (ru) Дозатор для условий микрогравитации в космиче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CA1145305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JP3291956B2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