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102Y1 - 주방용개량남비 - Google Patents

주방용개량남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102Y1
KR970007102Y1 KR2019930026393U KR930026393U KR970007102Y1 KR 970007102 Y1 KR970007102 Y1 KR 970007102Y1 KR 2019930026393 U KR2019930026393 U KR 2019930026393U KR 930026393 U KR930026393 U KR 930026393U KR 970007102 Y1 KR970007102 Y1 KR 970007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ylinder
handles
f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567U (ko
Inventor
김복만
Original Assignee
김복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만 filed Critical 김복만
Priority to KR2019930026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102Y1/ko
Publication of KR950016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방용 개량 냄비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바닥면 단면도
(가)는 브레이징 용접 전의 단면도
(나)는 브레이징 용접 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체2 : 바닥면
3,3a : 손잡이4 : 알루미늄피복층
5 : 스테인레스피복층
본 고안은 주로 주방용 조리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냄비 통체와 바닥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이의 양측에 손잡이를 대각선상으로 착설하여 외관미의 향상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냄비의 열효율성과 눌음방지효과 등을 매우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개량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내입하여 조리하기 위한 용도로서 각종 솥이나 손잡이가 착설된 냄비 등이 사용되었는 바, 이러한 냄비류는 통체가 원형으로 성형되고 양측 손잡이가 일직선상에 착설된 것으로서, 이는 통체가 주로 정원 형상에 의존하여 물품의 외관미가 단조로웠으며, 바닥면 또한 가스렌지 등의 열원 형태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스렌지의 열원이 바닥면 전체에 곧바로 직열되어 이 전도열에 의한 바닥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게 되어 세척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리된 음식물이 내입된 가열 냄비를 그대로 식탁 등에 올려 놓을 시에는 식탁이나 상주위로 많은 사람들이 사전에 둘러 않은 경우 뜨거운 냄비를 올려 놓기가 용이치 않아 팔을 틀거나 몸을 기울인 자세로 옮기게 되어 불편함은 물론, 부주의로 인하여 뜨거운 음식물이 쏟기는 경우가 빈발하여 화상을 입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충분히 대응하고, 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50523호의 구성에 부합시켜 보다 효율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스테인레스제로 이루어진 냄비 통체를 타원상으로 성형하여 이의 양측 대각선상에 손잡이를 착설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안전성을 높임과 아울러 가스렌지의 열원이 바닥면 가운데에서 가장자리로 골고루 전열되게 하여 눌음방지효과를 크게 배가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통체(1)의 바닥면(2) 하측에 알루미늄 피복층(4)을 브레이징 용접하고, 이의 하부에 다시 스테인레스 피복층(5)을 브레이징 용접하여서 된 공지의 냄비(A)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과 통체(1)를 타원상으로 형성하고, 양측 손잡이(3,3a)를 대각선상으로 착설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6은 통체의 상주연부에 일치하도록 한 뚜껑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통체(1)의 내부에 음식물을 내입하여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3중구조(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50523호에 의한 공지의 것이므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를 갖는 캡술형 바닥면(2)이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제3도와 같이 종래의 원형 바닥면에 비해 바닥면(2)이 보다 넓게 확장되어 가스레인지의 열원으로부터 전도열이 바닥면(2)에 집중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측방의 확장된 면적에 보다 넓게 서서히 전열되어 바닥면(2)의 눌음방지 효과를 아주 양호하게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식탁이나 상위에 음식물이 내입된 상태의 가열 냄비(A)를 그대로 올려 놓을 시에는 양측 손잡이(3a,3b)가 통체(1)에 대각선상으로 착설되어 손으로 이 양측 손잡이(3a,3b)를 쥐고 식탁이나 상위에 놀려 놓게 되면 냄비(A) 전체의 무게 중심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이 냄비(A)와 팔의 각도가 경사지게 되어 식탁이나 상 주위의 사람들에게 장애없이 안전하게 가열된 냄비(A)를 옮겨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형의 냄비가 갖는 시각적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타원상의 대각선상에 손잡이(3a,3b)를 고정시켜 줌으로서 무게중심에는 아무런 영향없이 시각적 언벨런스효과를 갖게 되어 외관미가 한층 뛰어나게 되고 사용상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가 있어 취급의 편리성과 용이성도 동시에 확보되는 것이다.
특히 냄비(A)의 손잡이 부착위치가 타원형 통체(1)의 내경이 넓은 쪽(A-A)보다는 약간 편심된 45°정도의 위치로 어긋나게 부착되어 있어 냄비 제품의 포장박스 규격을 비교적 작게 형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생선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조리물을 조리할 시에는 냄비(A) 통체(1)의 내부가 타원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물을 굽히거나 절단하지 않고 원상태로 길게 놓아서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조리음식을 먹을 시 자연미를 갖게 할 수 있어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냄비(A)에 있어서, 3중 구조를 갖는 캠술형 바닥면(2)을 타원으로 형성하고, 이와 동일한 형태의 통체(1) 외측에는 대각선상을 손잡이(3a,3b)를 착설함으로서 3중 바닥면(2)의 눌름 방지효과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으며, 사용상의 제반 이점 제공과 함께 시각적 언벨런스 효과를 유도하여 냄비의 레이아웃을 참신하게 창출함으로서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통체(1)의 바닥면(2) 하측에 알루미늄 피복층(4)과 스테인레스 피복층(5)을 이중으로 브레이징 용접하여서 된 공지의 냄비(A)에 있어서,
    상기 통체(1) 바닥면(2)과 통체(1)를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통체(1)의 좌우로 통상의 손잡이(3a,3b)를 타원의 장축에서 일정 각도 편심되게 부착하여서 된 주방용 개량냄비.
KR2019930026393U 1993-12-02 1993-12-02 주방용개량남비 KR970007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93U KR970007102Y1 (ko) 1993-12-02 1993-12-02 주방용개량남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393U KR970007102Y1 (ko) 1993-12-02 1993-12-02 주방용개량남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567U KR950016567U (ko) 1995-07-20
KR970007102Y1 true KR970007102Y1 (ko) 1997-07-16

Family

ID=1936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393U KR970007102Y1 (ko) 1993-12-02 1993-12-02 주방용개량남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1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567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02Y1 (ko) 주방용개량남비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JPS5920810Y2 (ja)
KR200159166Y1 (ko) 불판 겸용 냄비
KR0123775Y1 (ko) 프라이팬을 겸한 주방용 조리냄비
CN215077456U (zh) 一种新型瓦焖罐装置
JP3053669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JPS6327631Y2 (ko)
KR850002576Y1 (ko) 이중솥
KR870002592Y1 (ko) 받침대겸용 탕기류 뚜껑
KR200238997Y1 (ko) 다용도 손잡이를 구비한 냄비
KR200191196Y1 (ko) 탈부착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JPS61141609U (ko)
TW396026B (en) Fast heat-conductive stewing/warm keeping pot
KR200199907Y1 (ko) 남비손잡이구조
JPH041852Y2 (ko)
JPH01138318U (ko)
JPH0333311Y2 (ko)
JPS583367Y2 (ja) 調理器具
JPH0317729U (ko)
JPH02112220U (ko)
JPH1189727A (ja) 鍋釜用落し蓋
CN107625460A (zh) 一种便捷式漏勺
KR20110005488U (ko) 프라이팬 외주덮개
JPS6120158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