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83B1 -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83B1
KR970006783B1 KR1019920006989A KR920006989A KR970006783B1 KR 970006783 B1 KR970006783 B1 KR 970006783B1 KR 1019920006989 A KR1019920006989 A KR 1019920006989A KR 920006989 A KR920006989 A KR 920006989A KR 970006783 B1 KR970006783 B1 KR 97000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ontrol device
receiv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83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제1도는 종래의 TRS 단말기의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TRS 단말기의 동작 설명용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TRS 단말기의 블록도.
제4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TRS 단말기의 동작 설명용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의 가입자단말장치에서 중계장치를 경유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 가입자 단말장치를 호출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무선통화로 자동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에서의 MOBILE 간의 DSIPATCH CALL 시도시 피호출가입자 단말장치가 통화중일때 운용자가 재호출 시도를 위한 조작을 수동으로 하지 않아도 자동 재호출하여 호출시도자에게 피호출가입자장치의 운용 상태 및 중계무선회선의 채널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주파수공용통신 가입자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의 가입자단말장치(TRS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서 TRS 단말기는 송수신용안테나(1), 튜플렉서(2), 수신기(3), 주파수공용기(4), 송신기(5), 저주파증폭기(6), 스켈치비교기(7), 수신데이타처리장치(8), PTT(Push-to Talk)스위치(9), 스피커(10), 외부기억장치(11), 제어장치(12), 톤발생기(13), 키보드(DTMF)(14), LCD표시기(15),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 음성처리장치(17), 그리고 마이크(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RS 단말기에서, 송수신용안테나(1)는 고주파로 변조된 신호를 공간으로 고이득으로 발사하게 하거나 변조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손실을 적게하여 받아 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필요하고, 튜플렉서(2)는 안테나를 송수신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수신기(3)는 고주파 신호로부터 TRS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데이타신호원을 얻기위한 주파수처리를 해주며, 송신기(5)는 제어장치(12)에서 생성한 송출데이타나 음성신호를 공간으로 제어에 의해 변화 발진될 수 있는 주파수합성장치(4)가 있다.
저주파증폭기(6)는 수신기(3)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로 변화해준 신호를 증폭하여 이 저주파신호를 스피커(10)가 가청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스켈치비교기(7)는 수신기(3)의 수신신호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PTT(Push-to-talk) 스위치(9)는 통화호출을 시도하거나 응답할 때 사용된다.
외부기억장치(11)는 제어장치(12)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톤발생기(DTMF Tone Generator)(13)는 전화통신신청시 교환기와의 Signalling용으로 필요하다. 키보드(Key board)는 전화사용시 다이얼링에 필요하다.
LCD표시기는 이 장치의 동작상태를 알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는 송신시 송출하는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음성처리장치(17)는 음성신호를 변조시키거나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로 필요 신호를 만들어 보내거나 톤발생기에서 생성되는 TONE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도 하나 제어장치(12)의 제어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마이크(18)는 송화할 때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도는 이러한 종래의 TRS 단말기의 송신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시도시 TRS 단말기에 대한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TRS 단말기의 전원을 켠 상태(단계 100)에서 PTT(Push-to-talk)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단계 101), TRS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시키고 (단계 102),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외부기억장치(11)에서 이 단말기의 HOME 중계기번호를 읽어 주파수합성장치(4)를 이용하여 이 중계기가 사용하고 있는 송신주파수로 변경시킨다(단계 103).
그리고 HOME 채널로부터 데이타 메세지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TRS 단말기의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N 시킨후(단계 104), 수신되는 데이타 메세지정보를 수신데이타처리장치(8)에서 디코딩한(105)후, 외부기억장치(11)에 기억 시킨다(단계 106).
그 다음 제어장치(12)는 PTT를 누르기 이전에 선택한 CALL ID가 제어장치(12)의 내부에 재장되어 있는 기억장치의 송신억제 ID CODE인지를 확인한다(단계 107).
현재 선택되어 있는 CALL ID가 송신이 불가할 경우 BEEP TONE을 울린후(단계 108), 단계 104로 가서 수신동작을 계속한다.
송신가능한 CALL ID이 경우 수신기(3)를 OFF(단계 109)한 후, 단계 105의 디코더시 HOME채널에서 보낸 공채널(IDLE 중계기)정보로 수신채널을 변경한다(단계 110).
수신채널을 변경한 후 제어장치(12)는 통화호출을 위한 데이타 메세지를 조합하여(단계 111), 송신기(5)를 ON(단계 112)한 상태에서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한다(단계 113).
호출요구를 위한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한(단계 113)후 송신기(5)를 OFF한 후 수신기(3)를 ON(단계 115)시킨후, 중계기로 부터의 응답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116).
중계기로부터 응답 MESSAGE가 있으면 제어장치(12)는 수신된 DATA MESSAGE가 송신한 데이타 메세지와 같은지 확인한다(단계 117).
수신데이타가 송신데이타와 다르면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 시킨후(단계 122), 그 단말기의 주파수합성장치(4)를 변경하여 그 단말기의 HOME 채널주파수로 변경시킨(단계 123) 다음, PTT 스위치를 무력(DISAGBLE)화 시킨다(단계 124).
한편, 수신데이타가 송신데이타와 같을 경우, TRS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시키고(단계 118), 통화채널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TONE을 울린다(단계 119).
그리고 송신기(5)를 ON 시킨다(단계 120). 이러한 상태에서 TRS 단말기는 마이크(18)를 이용하여 송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단계 121).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신방법에는 통화호출시도시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잠시후 재시도를 수동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편하고, 중계기가 모두 사용중(BUSY)일때 통화호출을 시도하면 PTT 스위치가 DIABLE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재호출시도 역시 수동으로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부재중의 착신호출에 대해 사용자가 통신을 시도 하고자 할때 통화호출 시도시의 조작순서(PROCEDURE)와 동일한 조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착신전화에 대해 전화통화시도 할때 키패드 수작업이 또한 번거로우며, 중계기 이용상태, 피호출가입자에 대한 운용상태 및 호출처리상태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TRS 시스템을 이용한 DISPATCH CALL 시도시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ALL BUSY 상태 이건간에 한번 호출시도로 자동접속되게 하며, TRS 시스템을 이용한 INTERCONNECT CALL(일반전화망가입자와의 통화) 시도시, 피호출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모두 사용중일때도 단한번의 호출시 도로 자동접속되게 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LCD 표시판을 사용하여 중계기의 사용상태, 피호출가입자에 대한 운용상태 및 호출처리상태등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게하려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 부분인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의 TRS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TRS 단말기는 기능에 따라 크게 19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송수신용안테나(1)와 듀플렉서(2), 수신기(3), 주파수공용기(4), 송신기(5), 저주파증폭기(6), 스켈치비교기(7), 수신데이타처리장치(8), PTT(Push-to-Talk)스위치(9), 스피커(10), 외부기억장치(11), 제어장치(12), 톤발생기(13), 키보드(DTMF)(14), LCD표시기(15),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 음성처리장치(17), 마이크(18), 그리고 자동/수동전환스위치(1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RS 단말기에서 송수신용안테나(1)는 고주파로 변조된 신호를 공간으로 고이득으로 발생하게 하거나 변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손실을 적게하여 받아 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필요하고, 듀플렉서(2)는 안테나를 송수신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수신기(3)는 고주파 신호로부터 TRS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데이타 신호원을 얻기 위한 주파수처리를 해주며, 송신기(5)는 제어장치(12)에서 생성한 송출데이타나 음성신호를 공간으로 송출하기 위한 변조처리를 하고, 이들 송신기(5) 및 수신기(3)가 필요로 하는 발진주파수를 제어장치(12)의 제어에 의해 변화 발진될 수 있는 주파수합성장치(4)가 있다.
저주파증폭기(6)는 수신기(3)에서 BASEBAND로 변환해준 신호를 증폭하여 이 저주파신호를 스피커(10)가 가청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스켈치비교기(7)는 수신기(3)의 수신신호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PTT(Push-to-Talk)스위치(9)는 통화호출을 시도하거나 응답할 때 사용된다.
외부기억장치(11)는 제어장치(12)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톤 발생기(DTMF Tone Generator)(13)는 전화통신신청시 교환기와의 Signalling용으로 필요하다.
키보드(Key board)(14)는 전화사용시 다이얼링에 필요하다. LCD표시기(15)는 이 장치의 동작상태를 알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송신데이타처리장치(17)는 송신기 송출하는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음성처리장치(17)는 음성신호를 변조시키거나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로 필요 신호를 만들어 보내거나 톤발생기에서 생성되는 TONE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도 하나 제어장치(12)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마이크(18)는 송화할때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며, 마지막으로 통화접속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자동/수동 전환스위치(19)가 있다.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다른 기능요소들과 협력하여 필요한 기능을 직접 수행하거나, 다른 기능요소가 필요한 기능을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 제8도, 제9도는 TRS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통화호출을 위한 송신시도시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통화호출을 하기 위해 TRS 단말기의 전원스위치를 켜게 되면(단계 200),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외부기억장치(11)로부터 송신금지 ID CODE, 수신우선성 ID CODE 및 HOME 중계기 채널을 기억한 후(단계 201), 주파수합성장치(4)를 제어하여 수신주파수를 이 단말기의 HOME 중계기에서 발사하는 송신주파수로 변경한다(단계 202).
그리고는 수신기(3)를 ON하여 수신되는 주파수를 수신데이타처리장치(8)에서 디코드(DECODE)(단계 204)하고, 디코딩하여 얻은 수신데이타를 디코더 버퍼 기억장치에 저장시켜 둔다(단계 205).
부재시 호출신호가 있을 때 제어장치(12)는 호출단말기의 ID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단계 261).
부재중 호출이 있는가는 확인(단계 206)한 제어장치(12)는 부재중 호출이 있는 경우 LCD 표시기에 부재중 호출이란 표시를 한다(단계 207).
부재중 호출이 없을 경우 제어장치(12)는 DISPATCH CALL을 사용자가 원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221), 원한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CALL ID를 기억시킨(단계 222)후 단계 213의 PTT 누름단계로 간다.
만일 DISPATCH CALL을 원하지 않을 경우 전화통화(INTERCONNECT CALL)를 원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223).
전화통화를 원할 경우 단계 245로 가서 동작하고, 전화통화도 원치 않을 경우 단계 201 상태로 되돌아 간다.
사용자가 부재중의 착신호출에 대한 정보(호출자의 ID 번호)를 알고자 할때(단계 208) 확인버튼을 누르면(단계 209) LCD 표시기에는 호출자의 ID CODE가 표시된다(단계 210).
부재중착신호출이 여러번 되어 다음 호출자의 정보를 알고 싶으면 확인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된다(단계 210).
LCD상에 표시되어 있는 부재중 착신호출자와 통신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LCD에 상대방의 ID CODE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PTT(Push-to-Talk) 스위치를 누른다(단계 213).
그러면 제어장치(12)는 LCD에 표시된 ID CODE를 호출 ID CODE로 기억한다(단계 214).
그리고 제어장치(12)는 디코더 버퍼 기억장치의 수신 ID 내용을 확인하여 호출선택한 ID CODE가 송신 가능한지를 파악한다(단계 215).
현재 선택한 호출 ID가 송신 가능하다고 판단되면(단계 216), 제어장치(12)는 TRS 단말기의 수신기(3)를 OFF한 후(단계 217), HOME 중계기가 지정해 준 공채널을 수신채널주파수를 바꾼다(단계 218).
그리고 통화호출용 데이타 메세지를 조합(단계 219)한 후, 단말기의 송신기(5)를 ON시키고(단계 220),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단계 224)한 후, 송신기(5)를 OFF시킨다(단계 225).
제어장치(12)는 PTT스위치기능을 무력화 시키고(단계 238), 수신기(3)를 ON(단계 226)하여 수신신호를 디코딩더한다(단계 227).
중계기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가(단계 228), 수신메세지가 있으면 이 데이타메시지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메시지내용과 동일한지를 확인한다(단계 229).
송신한 데이타와 수신한 데이타가 다를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한 후, 단계 213의 PTT를 누르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동일한 경우에 제어장치(12)는 통화채널 접속완료음을 발생시킨다(단계 231), 그리고 LCD 표시기에 통화기능이 표시된다(단계 262).
이 상태에서는 무선통화채널이 확보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PTT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말을 하면 된다.
제어장치(12)는 사용자가 PTT스위치를 누르는지를 확인하고 있다가(단계 232), 스위치를 누르면 수신기(3)를 OFF 시키고 (단계 233), 이때 TRS 단말기는 DISPATCH CALL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단계 234).
제어장치(12)는 사용자가 10초이상을 송신하지 않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있다가(단계 235), 10초 이상을 송신하지 않을 경우 PTT 스위치 기능을 무력화시키고(단계 236), HOME 채널로 주파수를 변경시킨다(단계 237).
단계 232에서 PTT 스위치를 누르지 않을 경우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저주파증폭기(6)을 ON시키고(단계 239) 수신대기상태로 있는다(단계 240).
그리고 10초동안 음성신호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있다가(단계 241), 10초간 수신음성신호가 없으면 수신기(3)를 OFF시키고(단계 242), 저주파증폭기(6)를 OFF시킨 다음 HOME 채널로 수신주파수를 변경한다(단계 244).
단계 223에서 사용자가 전화통하를 원할 경우의 INTERCONNECT CALL에 대한 동작흐름은 다음과 같다.
전화통화를 원하는 사용자가 KEY BOARD에 있는 DTMF KEY를 눌러 피호출전화번호를 입력시키면 제어장치(12)는 이 전화번호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킨다(245).
사용자가 PTT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246), 단말기이 제어장치(12)는 디코더버퍼의 내용을 파악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단계 247), 통화를 원하는 번호가 송신 가능할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한 후 HOME 중계기가 지정한 공(IDLE) 중계기로 수신채널을 변경한다(단계 250).
그리고 제어장치는 전화통화요구를 위한 데이타 메세지를 조합한 다음(단계 251).
송신기(5)를 ON하고 (단계 252), 만들어진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한다(단계 253).
그 다음 송신기(5)를 OFF(단계 254)시켜 PTT 스위치(9)를 무력화 시킨 다음, 수신기(3)를 ON하여(단계 255),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단계 256) 응답 메세지가 있는가를 확인한다(단계 257).
응답신호를 기다리다가 수신하게 되면 응답신호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DATA와 같은가를 확인한다(단계 258).
응답수신된 DATA가 송신한 DATA와 다를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하고(단계 260), 단계 246의 PTT ON 단계로 돌아간다.
수신 DATA가 송신 DATA와 같으면 제어장치(12)는 일반전환가입자와 통화 가능 한지를 확인한다(단계 259).
통화가능할 경우 제어장치(12)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통화가능음을 울린다(단계 290).
그리고 PTT 스위치를 ON하는지를 확인(단계 291)하여, PTT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수신기(3)를 OFF시키고(단계 292), 송신기(5)를 ON하여(단계 293), 단말기로 송화가능한 상태로 만든다(단계 294).
한편 PTT스위치(9)를 누르지 않은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N시키고(단계 295) 저주파증폭기(6)를 ON하여(단계 296) 수신가능상태로 만든다(단계 297).
단계 259에서 호출한 전화번호가 통화중일 경우, 제어장치(12)는 전화번호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놓은 다음(단계 276), 수신기(3)를 OFF시킨후(단계 277), 수신주파수를 HOME 중계기의 송신주파수가 되게 한다(단계 278).
전화통화를 재시도하기 위하여 10초간 기다린 다음(단계 279), 수신기(3)를 ON한 후 (단계 280), 수신신호를 디코더 하여(단계 281), 디코드 된 수신데이타로부터 전화통화를 위한 공채널이 있는가를 확인한다(단계 282).
전화통화를 위한 공채널을 계속 찾다가 공채널을 찾게되면, 제어장치(12)는 단계 250으로 가서 HOME 중계기가 지정한 공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하여 전화통화를 위한 동작을 계속 한다.
단계 248에서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불가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2)는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금지된 ID CODE인지를 확인한다(단계 270).
송신금지된 번호가 아니면 호출한 상대 ID가 통화중인 상태로 판단하고(단계 274), 제어장치(12)는 BUSY TONE을 5초가 울린(단계 275) 다음, 단계 276으로 가서 재호출시도를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송신금지된 ID CODE 일 경우 제어장치(12)는 5초간 송신금지 TONE을 울리고(단계 271), 단말기의 LCD에 INHIBIT TX문자를 나타낸(단계 272)후, PTT 스위치(9)가 무력상태로 되게 한(단계 273) 다음, 단계 201의 단말기의 초기화상태로 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TRS 시스템을 이용한 DISPATCH CALL 시도시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ALL BUSY 상태 이전간에 한번 호출시도로 자동접속되게 되며, TRS 시스템을 이용한 INTERCONNECT CALL(일반전화망가입자와의 통화) 시도시, 피호출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모두 사용중일때도 단한번의 호출시도 자동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LCD 표시판을 사용하여 중계기의 사용상태, 피호출가입자에 대한 운용상태 및 호출처리상태등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Claims (4)

  1. 송수신용안테나(1), 듀플렉서(2), 수신기(3), 주파수합성장치(4), 송신기(5), 저주파증폭기(6), 스켈치비교기(7), 수신데이타처리장치(8), PTT스위치(9), 스피커(10), 외부기억장치(11), 제어장치(12), 톤발생기(13), 키보드(14), LCD표시기(15), 송신데이타처리장치(16), 음성처리장치(17), 마이크(18), 그리고 자동/수동전환스위치(19) 등으로 구성된 주파수 공용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가입자단말장치(TRS 단말기) 작동방법에 있어서, (A) 통화호출을하기 위해 TRS 단말기의 전원스위치를 켜게 되면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외부기억장치(11)로부터 송신금지 ID CODE, 수신우선성 ID CODE 및 HOME 중계기 채널을 인식한 후, 주파수합성장치(4)를 제어하여 수신주파수를 이 단말기의 HOME 중계기에서 발사하는 송신주파수로 세팅하는 단게, (B) 그후 수신기(3)를 ON하여 수신되는 주파수를 수신데이타처리장치(8)에서 디코딩하고, 디코딩하여 얻은 수신 데이타를 디코더 버퍼 기억장치에 저장시켜, 부재시 호출신호가 있을때 제어장치(12)는 호출단말기의 ID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 (C) 부재중 호출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제어장치(12)는 부재중 호출이 있을 경우 LCD 표시기에 부재중 호출이란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부재중일때 착신되는 호출(CALL)에 대하여 제어장치(12)의 제어기능에 의해 외부기억장치(11)에 호출자에 관한 정보를 보관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구행위에 의하여 단말기의 LCD 표시기에 호출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단말장치의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 (C) 단계후에, (D) 사용자가 부재중의 착신호출에 대한 호출자의 ID번호를 알고자 하여 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LCD 표시기에는 호출자의 ID CODE가 표시되게 하고, 확인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부재중 착신호출을 다음번 호출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LCD상에 표시되어 있는 부재중 착신호출자와 통화하기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E)LCD에 상대방의 ID CODE가 표시되어 상태에서 PTT (Push-to-Talk)스위치가 온되면, 제어장치(12)는 LCD에 표시된 ID CODE를 호출 ID CODE로 기억하고, 제어장치(12)는 디코더 버퍼 기억장치의 수신 ID 내용을 확인하여 호출 선택한 ID CODE가 송신 가능한지를 파악하는 단계, (F) 선택한 호출 ID가 송신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2)는 TRS 단말기의 수신기(3)를 OFF한 후, HOME 중계기가 지정해 준 공채널로 수신채널주파수로 바꾸고, 통화호출용 데이타 메세지를 조합한 후, 단말기의 송신기(5)를 ON시키고,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한 후, 송신기(5)를 OFF시키고, 제어장치(12)는 PTT스위치기능을 무력화 시키고, 수신기(3)를 ON하여 수신신호를 디코더하여 중계기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될때까지 대기하고 있다가, 수신메시지가 있으면 이 데이타메시지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메시지내용과 동일한지를 학인하는 단계, (G) 송신한 데이타와 수신한 데이타가 다를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한 후, 제(E) 단계의 PTT 누름단계로 되돌아가고,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2)는 통화채널 접속완료음을 발생시키고 LCD 표시기에 통화가능 표시를 한후, PTT 스위치의 온 오프를 확인하는 단계, (H) 제어장치(12)는 PTT스위치가 온된 것을 확인하면, 수신기(3)를 OFF시키고, DISPATCH CALL이 가능한 상태로 하여, 사용자가 10초이상을 송신하지 않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있다가, 10초 이상을 송신하지 않을 경우 PTT 스위치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HOME 채널로 주파수를 변경시키며, PTT 스위치를 누르지 않을 경우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저주파증폭기(6)을 ON시키고, 수신대기상태로 있다가, 10초간 수신음성신호가 없으면 수신기(3)를 OFF시키고, 저주파증폭기(6)를 OFF시킨 다음 HOME 채널로 수신주파수를 변경시키는 단계, (I) 제 (F)단계에서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불가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2)는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금지된 ID CODE 인지를 확인하고, 송신금지된 번호가 아니면 호출한 상대 ID가 통화중인 상태로 판단하고, 제어장치(12)는 BUSY TONE을 5초간 울린 다음, 제어장치(12)는 전화번호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놓은 다음, 수신기(3)를 OFF시킨 후, 수진주파수를 HOME 중계기의 송신주파수가 되게 하고, 통신을 재시도하기 위하여 10초간 기다린 다음, 수신기(3)를 ON한 후, 수신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드(복호)된 수신데이타로부터 공채널이 있는가를 계속 확인하다가, 공채널을 찾게되면, 제어장치(12)는 제(F)단계에서 HOME 중계기가 지정한 공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으로 돌아가서 재호출시도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만일 송신금지된 ID CODE일 경우 제어장치는 5초간 송신금지 TONE을 울리고, 단말기의 LCD에 INHIBIT TX 문자를 나타낸 후, PTT스위치(9)가 무력상태로 되게 한 다음, 제1단계로 단말기의 초기화상태로 돌아 가게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져서, LCD에 나타난 사용자 부재중의 발신호출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한번의 호출요구 스위치 조작행위에 의하여 부재중 호출한 상대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DIA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단말장치의 작동방법.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C)단계에서 부재중 호출이 없을 경우, (J) 제어장치(12)는 DISPATCH CALL 을 사용자가 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원한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CALL ID를 기억시킨 후, 제 (E)단계의 PTT 누름 단계로 되돌아가서 (E),(F),(G),(H) 및 (I) 단계를 실행하여, TRS 시스템을 이용한 DISPATCH CALL 시도시 단말기의 제어장치(12)의 제어기능에 의해 피호출 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모두 사용중이거나 간에 단말기 사용자가 단 한번의 호출시도로 자동접속되게 하여 피호출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단말장치의 작동방법.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C)단계에서 부재중 호출이 없을 경우, (K) 제어장치(12)는 DISPATCH CALL 을 사용자가 원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일 DISPATCH CALL 을 원하지 않을 경우 전화통화 (INTERCONNECT CALL)를 원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L) 전화통화도 원치 않을 경우 제(A) 단계로 되돌아 가고, 전화통화를 원할 경우에 전화통하를 원하는 사용자가 키보드에 있는 DTMF키를 눌러 피호출전화번호를 입력시키면 제어장치(12)는 이 전화번호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 (M) 사용자가 PTT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단말기의 제어장치(12)는 디코더버퍼의 내용을 파악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를 원하는 번호를 송신 가능할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한 후 HOME 중계기가 지정한 공(IDLE) 중계기로 수신채널을 변경하고, 전화통화요구를 위한 데이타 메세지를 조합한 다음, 송신기(5)를 ON하고, 만들어진 데이타 메세지를 전송하며, 그후 송신기(5)를 OFF시켜 PTT스위치(9)를 무력화시키고, 수신기(3)를 ON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더 하여 응답 메시지가 있는가를 확인하며, 응답신호를 기다리는 단계, (N) 응답신호를 기다리다가 수신하게 되면 응답신호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DATA와 같은가를 확인하고, 응답수신된 DATA가 송신한 DATA와 다를 경우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FF하고 ,제(M)단계로 돌아가고, 수신 DATA가 송신 DATA와 같으면 제어장치(12)는 일반전화가입자와 통화가능한지를 확인하여 통화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통화가능음을 울린후 PTT 스위치를 ON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O) PTT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수신기(3)를 OFF시키고, 송신기(5)를 ON하여, 단말기로 송화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한편 PTT스위치(9)를 누르지 않은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12)는 수신기(3)를 ON시키고 저주파증폭기(6)를 ON하여 수신가능상태로 만드는 단계, (P) 제 (N)단계에서 호출한 전화번호가 통화중일 경우, 제어장치(12)는 전화번호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놓은 다음, 수신기(3)를 OFF시킨후, 수신 주파수를 HOME 중계기의 송신주파수가 되게 하고, 전화통화를 재시도하기 위하여 10초간 기다린 다음, 수신기(3)를 ON한 후, 수신신호를 디코더 하여, 디코더 된 수신데이타로부터 전화통화를 위한 공채널이 있는가를 계속 확인하다가, 전화통화를 위한 공채널을 계속 찾다가 공채널을 찾게되면, 제어장치(12)는 제(M)단계에서 HOME중계기가 지정한 공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으로 돌아가는 단계, (Q) 제(M)단계에서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불가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2)는 선택한 전화번호가 송신금지된 ID CODE인지를 확인하고, 송신금지된 번호가 아니면 호출한 상대 ID가 통화중인 상태로 판단하고, 제어장치(12)는 BUSY TONE을 5초간 울린 다음, 제(14)단계로 가서 재호출시도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송신금지된 ID CODE일 경우 제어장치는 5초간 송신금지 TONE을 울리고, 단말기의 LCD에 송신불가 표시를 나타낸 후, PTT 스위치(9)가 무력상태로 되게 한 다음, 제(A)단계로 단말기의 초기화상태로 돌아가는 단계 들로 이루어져서, TRS 시스템을 이용한 일반전화망 가입자와의 통화 시도시, TRS 단말기의 제어장치(12)의 제어기능에 의해 피호출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선회선이 모두 사용중일 때에도 자동 RE-DIALING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단 한번의 호출행위로 자동접속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단말장치의 작동방법.
KR1019920006989A 1992-04-24 1992-04-24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KR97000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989A KR970006783B1 (ko) 1992-04-24 1992-04-24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989A KR970006783B1 (ko) 1992-04-24 1992-04-24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783B1 true KR970006783B1 (ko) 1997-04-30

Family

ID=1933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989A KR970006783B1 (ko) 1992-04-24 1992-04-24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31B1 (ko) * 2004-08-1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 실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31B1 (ko) * 2004-08-1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 실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001B2 (ja) セルラ―・コ―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5832386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utomatic sound genera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t is within a service area of a desire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3962553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having a battery saver feature
JP5521004B2 (ja) 無線通信及びセルラー通信の同時通信を行なうセルラー式電話機
JP3222503B2 (ja)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970006783B1 (ko) 가입자 단말장치의 작동방법
US6035204A (en) Method for releasing call in cordless telephone
KR0141578B1 (ko) 가입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JP3326206B2 (ja) 電話装置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3097137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100270697B1 (ko) 무선인터폰 기능이 내장된 휴대장치를 갖는 무선팩시밀리에서 페이저 호출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JP200219076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10076793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거부 방법
JP3648830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留守番電話機能の設定方法
KR100424615B1 (ko) 무선전화기 및 무선전화기를 구비한 복합기기에있어서 휴대장치 통화중 고정장치로의 통화절환 및 통화해제방법
JPH1127380A (ja) 携帯電話機
JPH09247041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H04367129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