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61Y1 -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61Y1
KR970006261Y1 KR92020746U KR920020746U KR970006261Y1 KR 970006261 Y1 KR970006261 Y1 KR 970006261Y1 KR 92020746 U KR92020746 U KR 92020746U KR 920020746 U KR920020746 U KR 920020746U KR 970006261 Y1 KR970006261 Y1 KR 970006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guide shaft
lens
screw
cam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745U (ko
Inventor
김선덕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20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261Y1/ko
Publication of KR940010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제1도는 리어 포커스 구동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렌즈 이송장치 고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렌즈 이송장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이송장치2 : 4군 렌즈
3 : 스텝핑모터4 : 스크류
5 : 베어링6 : 가이드축
7 : 이동체8 : 너트
9 ,9' : 가이드축부10,10' : 가이드축공
본 고안은 캠코더(Camcorder)의 포커싱(Focusing)을 담당하는 렌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를 이송시키는 너트와 상기 너트가 나선운동에 의해 이송되도록 스텝핑모터와 연결되는 이송스크류의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의 이송동작을 정밀하게 하고 아울러 4군렌즈의 초점이 정확히 맞춰질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캠코더 초점방식은 경박단소화에 유리한 리어 포커스(rear forcus)방식이 주류를 이루고있는데, 이 리어포커스 방식의 기본고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군과 3군이 고정되어 있고 2군과 4군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3군 앞에 있는 스톱퍼는 밝기를 조절해주는 아이리스(iris)이다.
여기서 4군은 포커싱을 담당하며 스텝핑 모터의 이송스크류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너트가 직선운동하고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4군렌즈가 전,후이송하여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전의 1군렌즈 이동방식에 비하여 4군렌즈 이동으로 포커싱하는 경우에는 4군렌즈의 크기가 1군렌즈의 크기보다 작게 되므로 중량이 적어져 이송력이 작게된다.
따라서 모터의 용량이 작아지므로 전체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렌즈이송장치(1)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4군렌즈(2)를 움직이는 스텝핑모터(3)의 이송스크류(4)가 베어링(5)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의 유동없이 고정되어있고 그 상부에는 가이드축(6)이 설치되어 이송스크류(4)와 맞물려지면서 이동체(7)와 연결되는 너트(8)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체(7)에는 4군렌즈(2)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렌즈이송장치(1)는 스텝핑모터(3)의 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류(4)가 회전하여 이와 맞물려 있는 너트(8)가 직선 병진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으로 너트(8)와 연결되는 이동체(7)가 이송되면서 4군렌즈(2)가 함께 이동하여 렌즈의 초점을 맞출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렌즈이송방식은 이송스크류(4)의 회전운동을 너트(8)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실제적인 제작상의 오차로 인하여 이송스크류(4)와 너트(8)의 나사산과 골사이에 미세한 유동틈새가 발생하게되며 이 틈새는 약 30~50㎛로서 너트(8)의 이동을 정밀하게 이루지 못하게하고 가이드축(6)을 타고 이동하는 너트(8)가 제2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게 되어 너트(8)와 가이드축(6)사이에 약 5㎛정도의 틈새로 주어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에 의해 너트(8)와 이동체(7)에 연결되어 이송하는 렌즈(2)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수 없는 문제점과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 및 기능저하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렌즈와 연결되는 이동체가 고정된 너트가 가이드축을 타고 이동하지 않고 너트 양측의 가이드축공과 이송스크류의 양측 가이드축이 서로 맞물려 질수 있게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축공이 가이드축을 타고 이동하도록 너트의 이송을 정밀하게 함으로써 렌즈의 초점이 정확히 맞춰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와 같이 4군렌즈(2)를 움직이는 스텝핑모터(3)와 연결되는 이송스크류(4)의 양측단에 가이드축부(9)(9')를 스크류(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이송스크류(4)에 결합되고 이동체(7)와 4군렌즈(2)가 연결설치되는 너트(8)의 양측에는 상기 이송스크류(4)의 양측 가이드축부(9)(9')의 직경보다 크게 가이드축공(10)(10')을 형성하여 가이드축부(9)(9')와 가이드축공(10)(10')이 너트(8)의 이동시 상호 슬라이딩 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부(9)(9')와 가이드축공(10)(10')은 직경오차가 5㎛이하가 되도록 하고 표면조도는 0.8㎛이하가 되도록 하여 너트(8)가 정밀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텝핑모터(3)가 동작하여 이송스크류(4)가 회전동작하면 이에 체결된 너트(8)가 나선동작에 의해 좌,우로 병진이동하게 되고 이때 너트(8)의 좌측이동으로 너트(8)의 좌측 가이드축공(10)이 이송스크류(4)의 좌측 가이드축부(9)와 맞물려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너트(8)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너트(8)의 우측 가이드축공(10')이 이송스크류(4)의 우측가이드축부(9)와 맞물려 슬라이딩 동작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너트(8)가 이송스크류(4)를 타고 좌,우 이동할 때 가이드축공(10)(10')과 가이드축부(9)(9')가 상호 맞물려 동작함으로써 너트(4)의 이송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이와 연결되는 이동체(7)와 4군렌즈(2)의 이송이 정밀하게 되어 렌즈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가이드축을 제거함으로써 부품 절감으로 제품의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었고 너트와 스크류의 이송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이송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텝핑모터의 부하를 줄여 모터의 용량을 감소시킬수 있게 되었고 가이드축 제거에 따른 경박단소화에 기여할 수 있게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스텝핑모터(3)와 연결되는 이송스크류(4)의 양측에 형성한 가이드축부(9)(9')와 이동체와 4군렌즈가 연결되어 이송스크류(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너트(8)의 양측단에 형성한 가이드축공(10)(10')으로 하여 상기 스텝핑모터(3)의 동작시 이송스크류(4)의 가이드축부(9)(9')에 너트(8)의 가이드축공(10)(10')이 선택적으로 맞물려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KR92020746U 1992-10-27 1992-10-27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KR97000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746U KR970006261Y1 (ko) 1992-10-27 1992-10-27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746U KR970006261Y1 (ko) 1992-10-27 1992-10-27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745U KR940010745U (ko) 1994-05-27
KR970006261Y1 true KR970006261Y1 (ko) 1997-06-24

Family

ID=1934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746U KR970006261Y1 (ko) 1992-10-27 1992-10-27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2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745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98455A (ja) アクチュエータ
KR850005305A (ko) 공작기계용 이송구동 장치
JP2781178B2 (ja) 駆動機構及びマニピュレータ
KR970006261Y1 (ko)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US4580172A (en) Optical scanner for automatic document handler
JPH0132654B2 (ko)
KR880000541B1 (ko) 공업용 로보트
GB2116331A (en) Variable magnification photocopying
JP2533063B2 (ja) 枚葉紙排紙装置のグリッパ系のグリッパフィンガの開放時点を制御する装置
US4825714A (en) Pivotal micromotion device
JP3514245B2 (ja) ズームレンズ鏡胴
US20020084573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01193410A (ja) 搬送装置
US6483082B1 (en) Heater lift lead screw for vertical furnaces
US4838171A (en) Frictionally driven roller type transfer apparatus
KR970002889Y1 (ko) 캠코더의 렌즈 이송장치
JPS58187642A (ja) 自動調芯機構付ねじ送り装置
JPS6018654A (ja) 送り装置
JPH11168853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0115925Y1 (ko) 캠코더의 줌밍 시스템
KR970002346Y1 (ko) 캠코더의 줌렌즈 이송장치
CN113695758A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自动激光切割装置
JP2006125574A (ja) 送り装置、および回転軸の製造方法
KR940006362Y1 (ko) 납 이송장치
KR200149679Y1 (ko) Nc 선반용 소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