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83Y1 -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83Y1
KR970006183Y1 KR2019940007481U KR19940007481U KR970006183Y1 KR 970006183 Y1 KR970006183 Y1 KR 970006183Y1 KR 2019940007481 U KR2019940007481 U KR 2019940007481U KR 19940007481 U KR19940007481 U KR 19940007481U KR 970006183 Y1 KR970006183 Y1 KR 970006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ckaging box
opening
closing struct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283U (ko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조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조태준 filed Critical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7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83Y1/ko
Publication of KR950030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3,5 : 걸림 턱
7,9 : 보조 덮개11 : 덮개
11a : 수평부11b : 수직부
13 : 걸림턱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 상자에 화장품 등의 내용물 보관시 덮개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덮개의 확실한 닫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넣어 진열장에 진열,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이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50) 양측면에 걸림 턱(52)(54)이 형성된 보조 덮개(56)(58)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부에는 상기 몸체(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덮개(60)는 후면부로부터 접혀 몸체(50)의 상면을 덮는 수평부(60a)와, 이 수평부(60a)의 선단으로 부터 접혀 몸체(50)의 전면부내측에 삽입되는 수직부 (60b)로 이루어져, 덮개(50)의 닫힘시 몸체(50)의 양측면에 연장된 보조 덮개(56)(58)의 걸림 턱(52)(54)과 몸체(50)의 전면부에 덮개(60)의 수직부(60b)가 밀착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는, 몸체(50)에 내용물을 넣은 다음, 몸체(50)의 양측부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덮개(56)(58)를 내측으로 접어 1차적으로 닫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50)의 후면부에 연장 형성된 덮개(60)의 수평부(60a) 및 수직부(60b) 접은 다음, 상기 수직부(60b)를 몸체(50)의 전면부와 보조 덮개(56)(58)의 걸림 턱(52)(54) 사이로 밀어 넣음으로써, 내용물의 포장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을 넣고, 덮개(60)를 닫아 보관할 수 있지만, 상기 덮개(60)의 닫힘력이 몸체(50)의 전면부와 보조 덮개(56)(58)의 걸림 턱(52)(5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보전되기 때문에 덮개(60)의 확실한 닫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조그만 충격력에 의해 덮개(60)가 쉽게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진열장에 진열, 보관하는 제품의 외관미 및 품질이 저하되고, 운반시 내용물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덮개(60)를 닫은 다음, 별도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덮개(60)와 몸체(50)의 전면부를 2중 접착하거나, 덮개(60)의 수평부(60a)와 수직부(60b)가 접히는 양측을 절단하여 수직부(60b)의 양측이 보조 덮개(56)(58)의 걸림 턱(52)(54)에 계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전자는 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됨과 아울러 작업성이 저하되고, 후자는 덮개(60)의 개방에 따른 절단부분이 찢어지는 현상이 초래되는 제반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용 상자에 화장품 등의 내용물 보관시나 운반시 덮개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덮개의 확실한 닫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열시 제품의 외관미 및 품질 향상을 추구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빠짐 현상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원가절감을 추구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몸체 양측면부에 걸림 턱이 형성된 보조덮개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후면부에는 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몸체의 전면부와 걸림 턱 사이로 삽입되는 수평부 및 수직부를 보유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의 수직부 내측면 양측에 보조 덮개의 걸림 턱에 계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의 측단면도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용 상자의 몸체(1) 양측면부에 걸림 턱(3)(5)이 형성된 보조 덮개(7)(9)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부에는 상기 몸체(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덮개(11)는 후면부로부터 접혀 몸체(1)의 상면을 덮는 수평부(11a)와, 이 수평부(11a)의 선단으로 부터 접혀 몸체(1)의 전면부 내측에 삽입되는 수직부(1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직부(11b)의 내측에는 프레스 가공된 걸림돌기(13)가 양측에 대향 형성되어 덮개(11)의 닫힘시 보조 덮개(7)(9)의 걸림 턱(3)(5)에 계지됨으로써, 충격에 의해 덮개(11)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확실한 닫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돌기(13)는 덮개(11)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는 직육면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형상의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는, 몸체(1)에 내용물을 넣은 다음, 몸체(1)의 양측부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 덮개(7)(9)를 내측으로 접어 1차적으로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의 후면부에 연장 형성된 덮개(11)의 수평부(11a)및 수직부(11b) 접은 다음, 상기 수직부(11b)를 몸체(1)의 전면부와 보조덮개(7)(9)의 걸림 턱(3)(5) 사이로 밀어 넣음으로써, 내용물의 포장이 완료되게 되는 바, 상기 덮개(11)의 수직부 (11b)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3)가 보조 덮개(7)(9)의 걸림 턱(3)(5)에 계지됨에 기인하여 덮개(11)의 확실한 닫힘작동과 충격에 의한 임의의 개방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는, 덮개의 수직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보조 덮개의 걸림 턱에 계지되기 때문에 덮개의 확실한 닫힘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충격력에 의해 덮개가 쉽게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진열대 진열, 보관시 제품의외관미 및 품질이 향상되고, 운반시 덮개가 쉽게 열리지 않아 내용물이 빠질 염려가 없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는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덮개를 절단하지 않음에 따라 원가 절감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덮개 개방에 따른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포장용 상자의 몸체(1) 양측면부에 걸림 턱(3)(5)이 형성된 보조덮개(7)(9)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의 후면부에는 몸체(1)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몸체(1)의 전면부와 걸림턱(3)(5) 사이로 삽입되는 수평부(11a) 및 수직부(11b)를 보유하는 덮개(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11)의 수직부(11b) 내측면 양측에 보조 덮개(7)(9)의 걸림턱(3)(5)에 계지되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13)는 프레스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걸림돌기(13)는 덮개(11)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KR2019940007481U 1994-04-11 1994-04-11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KR970006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81U KR970006183Y1 (ko) 1994-04-11 1994-04-11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81U KR970006183Y1 (ko) 1994-04-11 1994-04-11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83U KR950030283U (ko) 1995-11-20
KR970006183Y1 true KR970006183Y1 (ko) 1997-06-19

Family

ID=1938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481U KR970006183Y1 (ko) 1994-04-11 1994-04-11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83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804A (en) Package, especially soft-cup pack for cigarettes
US4141449A (en) Recloseable pilfer-proof container and blanks
KR100503326B1 (ko) 차량용 와이퍼블레이드 케이스
EP2999637B1 (en) Box having tamper-evident closure
KR20120068262A (ko) 포장박스
US3285496A (en) Polygonal tubular container with reclosable end
US4586605A (en) Cigarette pack
US4895296A (en) Sleeve carton with flaring lips
US20180346234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KR970006183Y1 (ko) 포장용 상자의 덮개 개폐구조
JP4663392B2 (ja) 差込ロック式包装箱
MX2007008536A (es) Paquete de bolsillo de productos de confiteria.
JP6140515B2 (ja) 容器用包装箱
US3866750A (en) Shipping wardrobe
US5381890A (en) Convertible package/shelf organizer
JP2013180822A (ja) 段ボール箱
US4198900A (en) Method of making a recloseable, pilfer-proof container
JP2005298050A (ja) 包装装置
GB2201401A (en) Folding box
JP4220693B2 (ja) 個装箱
US20050006447A1 (en) Reclosable carton
JPH1059356A (ja) 分離可能な開封用切込線を有する包装箱
KR102301197B1 (ko) 포장상자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JP2001180655A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