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18Y1 -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18Y1
KR970006118Y1 KR2019910025441U KR910025441U KR970006118Y1 KR 970006118 Y1 KR970006118 Y1 KR 970006118Y1 KR 2019910025441 U KR2019910025441 U KR 2019910025441U KR 910025441 U KR910025441 U KR 910025441U KR 970006118 Y1 KR970006118 Y1 KR 970006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electric
wire
machine body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432U (ko
Inventor
양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5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18Y1/ko
Publication of KR930014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전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세탁기본체21 : 전도성와이어
22 : 암커넥터23 : 전장부품
25 : 숫커넥터
본 고안은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본체를 사출성형시 전도성 와이어를 매설함으로써 진동 및 습기에 의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수 있는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세탁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콘트롤부에, 조작버튼 및 회로등이 서로 연결구성되는 전장부품과, 전원코드선의 중간 매개체를 걸쳐 여러가닥으로 도출되는 피복와이어가 상호 접속되어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기내의 세탁조 및 탈수조를 가동시키도록 널리 사용되어 왔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구조로써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탁기본체(1)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사구멍(2)이 형성된 돌설부(3)가 일체로 사출형성되도록 되어있고, 이 돌설부(3)에는 체결나사(6)에 의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고정되도록 양측으로 지지편(4)이 일체로 돌설된 전장부품(5)이 얹혀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장부품(5)의 일측면 상측에는 다수개의 숫단자부(7)가 돌설되어서, 피복와이어(8)의 선단에 접속고정되면서 요홈(9)이 형성된 암단자부(10)와 상호접속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장부품 전선연결구조에 있어서는, 피복와이어(8)가 가느다란 전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에 약하다는 결점이 있어 세탁기의 가동시 진동에 의해 피복와이어(8)가 벗겨지거나, 또는 습기에 의해 누전되는 등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결점이 있었고, 또 여러가닥으로 도출된 피복와이어(8)가 세탁기본체(1)내의 협소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전장부품(5)의 연결구조가 복잡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기 본체를 사출성형할 때 전도성 와이어를 그 속에 매설하도록하여 전장부품과 직접 접속되게 되어 있으므로 진동 및 습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음은 물론 누전될 염려가 없고, 또 와이어가 다른 부품과 접촉될 염려가 없도록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참조부호(20)은 합성수지제로된 사출성형물로 이루어진 세탁기본체로써, 이 세탁기본체(20)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단에 나사구멍(20a)이 형성된 돌설부(20b)가 일체적으로 돌설되도록 되어있고, 그 세탁기본체(20) 내부에는 전도성이 높은 와이어(21)가 사출성형시 매설되도록하여 상기 돌설부(20b)의 사이, 즉 상부면 중앙으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암커넥터(22)와 접속되어서 상기 세탁기본체(20)의 상부면과 고정부착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도면에서(23)은 조작버튼(도시안됨)과 회로등으로 구성된 전장부품으로써, 이 전장부품(23)의 양측 중앙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편(23a)이 일체적으로 돌설되어서 그 끝단에 통과구멍(23b)이 각각 뚫려져 있고, 이 통과구멍(23b)으로는 체결나사(24)가 상부측에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돌설부(20b)와 체결나사식으로 결합고정됨에 따라 상기 전장부품(23)이 세탁기본체(20)에 지지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전장부품(23)의 하부에는 숫커넥터(2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세탁기본체(20)의 암커넥터(22)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세탁기본체(20)의 상부면에 고정부착된 암커넥터(22)를 향해 전장부품(5)의 숫커넥터(25)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전장부품(5)의 양측에 돌설된 지지편(23a)을 세탁기본체(20)의 상부면에 돌설된 돌설부 (20b)에 얹혀지게 하면서 상기 지지편(23a)에 뚫려져 있는 통과구멍(23b)과, 상기 돌설부(20b)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구멍(20a)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나사(24)에 의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전장부품(23)은 세탁기본체(20)에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 구조는, 전도성 와이어가 세탁기본체를 사출형성될 때 동시에 매설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조립에 소요되는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진동 및 습기에 의해 누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와이어가 다른 부품과 접촉될 염려가 없음과 동시에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확보가 필요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 구조에 있어서, 세탁기본체(20)를 사출형성시 전도성 와이어(21)를 매설하면서 그 선단부가 상부면에 고정부착된 암커넥터(22)에 의해 접속되도록 하고, 이 암커넥터(22)에는 전장부품(23)의 저면에 고정부착된 숫커넥터(25)가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세탁기의 전장부품 전선연결 구조.
KR2019910025441U 1991-12-31 1991-12-31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KR970006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441U KR970006118Y1 (ko) 1991-12-31 1991-12-31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441U KR970006118Y1 (ko) 1991-12-31 1991-12-31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432U KR930014432U (ko) 1993-07-27
KR970006118Y1 true KR970006118Y1 (ko) 1997-06-19

Family

ID=1932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441U KR970006118Y1 (ko) 1991-12-31 1991-12-31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432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5383A (ko) 프린트 회로기판을 리본 케이블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전기 콘넥터
KR970006118Y1 (ko) 전기세탁기 전장부품 전선 연결구조
US5002492A (en) Lamp-holder terminal board f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s
KR920000800Y1 (ko) 110, 220v자동 전압 결선 플러그
KR910005789Y1 (ko) Pcb용 콘넥터
KR890007932Y1 (ko) 11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KR950004629B1 (ko) 110/220볼트 겸용 플럭
GB2113481A (en) Electrical terminal provided with a built-in lead fixing element
KR0127880Y1 (ko) 전자렌지용 파워코드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910005788Y1 (ko) 전선 결속용 콘넥터
JPH0334499A (ja) 電気器具
KR970005594Y1 (ko) 어댑터
KR100830817B1 (ko) 전기적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
KR850002428Y1 (ko) 이동식 콘센트
KR850001269Y1 (ko) 플러그
KR950008271Y1 (ko) 정류자형 모터의 브러시 접속장치
KR860001927Y1 (ko) 콘센트 겸용 플럭
KR200229633Y1 (ko)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KR940003298Y1 (ko) 플랫 케이블용 콘넥터
KR920001213Y1 (ko) 콘센트의 이동장치
KR960002139Y1 (ko) 플러그
KR960007308Y1 (ko) Pcb용 터미널블럭
KR840000695Y1 (ko) 전원 조절을 아답터로 할 수 있는 플럭
KR860000950Y1 (ko) 안전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