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052Y1 -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052Y1
KR970006052Y1 KR2019940007329U KR19940007329U KR970006052Y1 KR 970006052 Y1 KR970006052 Y1 KR 970006052Y1 KR 2019940007329 U KR2019940007329 U KR 2019940007329U KR 19940007329 U KR19940007329 U KR 19940007329U KR 970006052 Y1 KR970006052 Y1 KR 970006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port
lan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167U (ko
Inventor
오영국
재 철 남궁
김명규
허연봉
이완주
김영삼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임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임성호 filed Critical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7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052Y1/ko
Publication of KR950031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설치한 톨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CPU보드 블록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PIO보드의 블록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메인 플로우차트
제6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에서 차량 속도에 의한 자동 편자 조정 과정의 플로우차트
제7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장치에서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감지기2 : 제1루프
3 : 제2루프4 : 높이 감지기
5 : 투광식 표시판6 : 차선 제어기
7 : CPU보드8,10 : SIO 포트
9 : CRT11 : 주 프린터
12 : 모뎀 포트13 : 영상 처리기
14 : 카메라15 : 조명등
16 : 자동 개폐 차단회로17 : PIO보드
18 : 사무실 경보부19 : 차선 경보부
20 : 축 하중 검출기21 : 프리앰프
22 : A/D변환기23 : 전원부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고와 중량-축 하중-을 자동 검출하여 과적 여부를 판정해 주는 고정식 차량 축중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는 적재고를 감지하는 적재고 감지기와, 차량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기와, 감지된 적재고나 중량을 이용해서 과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회로와, 상기 판정 결과를 표시해주는 표시회로를 구성 요소로하고 있으나, 종래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차축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실측된 차량으로 차량의 축을 축중 검출기 위에 올려놓고 무게 조정을 한 후에, 속도에 따른 편차 조정을 하며, 이때 0-20Km/h 구간을 수동으로 측정하여 실무자가 하드웨어적으로 속도에 따른 축 중량 감지 오차를 설정해 주어야 되는 어려움이 있고, 보수 유지 및 편차 조정을 위한 시간에 장시간을 요하게 되어 비능률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진입된 차량이 적재 높이 초과나 적재 중량 초과의 제한 차량인 경우 고발용 프린터를 이용해서 제한 데이타를 인쇄하며, 단속 근거로 활용하고, 제한 차량일 경우 제한 차량 번호 및 차량 전면을 일일이 인력을 동원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후 이 사진을 첨부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과중하고, 불편할뿐만 아니라, 우천시나 기상 환경이 악화된 날씨의 경우에는 근무 환경이 더욱 저하되어 업무 처리에 애로가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적재고 감지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차선 부근의 부스(BOOTH) 근무자만이 제한 차량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 통제실과 부스 사이의 통신 선로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총괄적인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차선 제어를 위한 차선 제어기의 경우 종래에는 차선의 모든 신호 감지 출력선을 일일이 주 통제실의 주제어가의 직력 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하기 때문에 케이블 소요량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는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로서, 실측된 차량의 축중량을 입력 속도 0-20Km/h 구간에서 임의로 운행하여 각 속도별 중량의 편차값을 보정하여 입력하게 하여 축중량 감지의 편차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영이 간편하고 축중량 감지 오차를 5%이내로 최소화하는 한편, 편차 조정에 걸리는 시간을 기존 2시간에서 1시간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진입된 차량이 제한 차량으로 판정되면 차량 전면부를 자동 촬영하고, 촬여한 사진에 제한 데이타를 함께 프린트하여 제한 차량 단속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력으로 인한 운영상의 난점을 해소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선 제어기에서 처리된 적재고 높이 초과차량을 주제어기로 보내서 부스 근무자는 물론 사무실 주 제어기 시스템에 제한 차량을 표시해 줄 수 있게 하고, CRT단말 장치와 주 프린터에 제한 데이타를 기록하여 명확한 단속 근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선의 모든 감지 신호 출력을 주 제어기에 통신 선로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타 전달에러를 줄이고, 차선 제어기와 주 제어기 사이의 케이블 절감을 기 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그에 따른 차량 축 중량 감지 및 표시, 제반 정보의 처리 동작과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제1도에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톨게이트에 시설한 경우 각 구성 요소의 설치 위치 관계와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 감지를 위채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제1루프(LOOP)(2)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루프(2)와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서 제2루프(3)가 위치하며, 제1루프 및 제2루프 사이에는 축중량을 감지하는 축하중 검출기(WEIGHT SENSOR)(20)가 위치하게 된다.
축하중 검출기(20)의 라인선상에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기(PHOTO EYE)(1)와, 차량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 감지기(4)가 마주보는 기둥에 시설되고, 진입하는 차량을 향해서 촬영을 행하기 위한 카메라(14)와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등(15)가 각각 시설된다.
그리고, 차량 운전자에게 판정 결과를 제시해 주기 위하여 투광식 표시판(5)이 설치되고, 근무자를 위한 부스(BOOTH)가 시설되어 있다.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는,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1)와, 차량의 속도 감지를 위해 일정한 거리로 배치되는 제1루프(2) 및 제2루프(3)와, 차량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기(4)와,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투광식 표시판(5)과, 상기 차량 감지기(1)와 루프(2)(3) 및 높이 감지기(4), 투광식 표시판(5)과 연결되어 차선 제어를 실행하는 차선 제어기(6)와, 상기 차선 제어기(6)를 포함하여 회로 각부분을 제어하여 중량 및 높이 제한 차량의 판정과 기록, 통신 제어를 실행하는 CPU보드(7)와, 상기 CPU보드(7)와 직력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선로를 구축해주는 SIO포트(8)와, 상기 SIO포트(8)를 통해 제한 차량 판정 정보를 CPU보드(7)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표시해주는 CRT(9)와, 상기 SIO포트(8)를 통해 제한 차량 판정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직렬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SIO포트(10)와, 상기 SIO포트(10)에 연결되어 차량 판정 정보를 프린트하는 주 프린터(11)와, 상기 SIO포트(10)와 연결되어 통신을 실행하는 모뎀코트(12)와, 상기 SIO포트(8)와 연결되어 카메라 영상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영상 처리기(13)와, 상기 영상 처리기 (13)와 연결되며 진입 차량의 번호판을 위시한 전면부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14)와, 상기 카메라(15)의 야간 조명을 담당하는 조명등(15)과, 상기 조명등(15)의 자동 개폐 차단 회로(16)와, 상기 CPU보드(17)에 연결되어 병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선로를 구축해주는 PIO보드(17)와, 상기 PIO보드(17)와 연결되어 사무실내에 제한 차량 표시를 해주는 사무실 경보부(18)와, 상개 PIO(17)와 연결되어 차선 경보를 행하는 차선 경보부(19)와, 상기 진입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축하중검출기(20)와, 상기 축하중 검출기(20)에서 검출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앰프(21)와, 상기 프리앰프(21)에서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CPU보드(7)에 공급하는 A/D변환기(22)와, 회로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23)는 직류 안정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3A)와, 백업 전원을 CPU보드(7)에 공급하는 백업 밧데리(23B)로 구성된다.
도면 제3도에는 상기 CPU보드(7)의 회로구성을 나타내었다.
본 고안에서는 V40-CPU(24)를 사용하였으며, 어드레스/데이타 포트(AD7-AD0), 어드레스포트(A19-A16),(A15-A8), 콘트롤 신호 포트(CONTROL CIGNAL), 직렬 데이타 포트(SERIAL),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인식 포트(DMARK3(2)),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요구 포트(DMARQ3(2)), 인터럽트 포트(INTI-6)를 갖고 있다.
그리고, CMOS STD-V40 BUS와의 데이타 입출력을 위한 데이타 버퍼(25)가 있고, 어드레스 입출력을 위한 어드레스 버퍼(27)(28)(29)가 구비되며, 어드레스 디코드를 위한 디코더로직(30)이 있어서 RAM(31)과 ROM(32)을 적절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RAM(31)은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CPU(24)가 일시적으로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고, ROM(32)에는 CPU(24)가 처리해야할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CPU(24)로부터의 콘트롤 신호를 만들어내기 위한 콘트롤 로직(23)이 있어서, 제어신호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어드레스 래치(26) 및 버퍼(27)(28)(9)나 콘트롤 버퍼(34), 데이타 버퍼(25)를 제어한다.
또한 CPU보드(7)에는 RS232C 드라이버/리시버(35)가 구비되어 커넥터(J1)를 통해 차선제어기(6)로 RS232C통신과 RS422통신을 동시에 연결하여 차량 감지신호 및 과적, 과속, 적재 초과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하였다.
그리고, DMARQ3(2)신호는 인버터(37)를 통해 제공받게 되며, DMA장치를 사용할때 연결되는 커넥터(38)가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인터럽트(INT1-6)는 인버터(39)를 통해 걸리게 되는데, 이는 커넥터(40)를 이용해서 인터럽트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인터럽트 2번핀(INT2)은 외부 RS232C 보드 인터럽트 핀과 접속되고, 인터럽트 3번핀(INT3)은 타이머 인터럽트 핀과 접속되고, 인터럽트5번핀(INT5)은 CRT(9) 인터럽트핀과 접속된다.
커넥터(41)는 카운터, 타이머에 의한 의한 제어신호가 헤더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 제4도에는 상기 PIO보드(17)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었다. PIO보드(17)는 Z80 PIO(42)(43) 2개를 설치한 32비트 병렬 입출력 보드(PARALLEL I/O BOARD)이다.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버퍼(44)(45)(47),(48)(49)(51)가 설치되어 있고, 버퍼의 입출력 방향은 점퍼(JUMPER)를 이용해서 설정하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6,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디코드(52)와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53)을 내장하여 디바이스의 선택과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받게 하였다.
PIO(42) A포트는 1차선의 인디케이터로서 차량 감지신호, 과적, 과속, 적재 초과신호를 1차선 인디케이터(경보부)로 병렬 출력하여, B포트는 2차선의 인디케이터로서 차량 감지신호, 과적, 과속, 적재 초과신호를 2차선 인디케이터(경보부)로 병렬 출력한다.
PIO(43)의 A포트와 B포트 또한 같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의 동작을 상기 제1도 및 제2도, 그리고 제5도의 메인 플루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면 제1루프(2)위에 차량의 앞바퀴가 지나가게 되어 압력:임피던스 변환소자로 구성되는 제1루프(2)의 임피던스가 변화되고, 이 신호는 차선 제어기(6)를 통해 CPU보드(7)에 제공된다.
따라서, CPU보드(7)에서는 제1루프(2)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정하고 차량의 속도 계산을 시작하는데, 속도의 산출은 진입한 차량에 제2루프(3)를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기 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두 루프(2)(3) 사이의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어(속도=거리/시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차량 감지기(PHOTO EYE)(1)로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CPU보드(7)는 축하중 검출기(20)로부터 프리 앰프(21)를 거처 A/D변환기(22)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 축하중 감지 데이타를 입력받아 축중량 측정을 시작함과 아울러, SIO포트(8)를 통해 영상 처리기(13)를 제어하여 카메라(14)로 차량의 전면부-번호판 포함-를 촬영하도록 한다.
이때 야간의 경우에는 자동 개폐 차단회로(16)를 제어하여 야간 촬영용 조명등(15)을 점등시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해준다.
카메라(14)에서 촬영된 화상 정보는 영상 처리기(13)에서 신호처리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이때 CPU보드(7)는 높이 감지기(4)로부터 적재된 화물의 제한 높이 초과 여부를 감지한 신호를 차선 제어기(6)를 통해 입력 받는다.
여기서, 차선 제어기(6)는 차량 감지기(1)와 루프(2)(3), 높이 감지기(4), 투광식 표시관(5)의 신호들을 총괄하여 주 제어기측의 CPU보드(7)에 전송해 주기 때문에 차선 제어기(6)와 주 제어기 사이의 통신 선로 구축에 편의성을 제공해 주게 된다.
그리고, 적재고 높이를 차량 제어기(6)에서 처리된 데이타 형태-통신데이타-로 CPU보드(7)에서 전달받아 부스 근무자는 물론 주 통제실로도 전송해 줌으로써 총괄적인 제한 차량 감시를 수행할 수 있게한다. 즉 상기한 바와같이 적재고 감지신호의 입력 결과 적재고가 설정된 제한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CPU보드(7)는 PIO보드(17)를 통해 사무실 경보부(18)에 구비된 적재고 초과 벨(BELL)을 올려준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속도를 계산한 결과 통과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도 PIO보드(17)를 통해 사무실 경보부(18)에 구비된 속도 초과 벨(BELL)을 올려준다.
그리고 축하중 검출기(20)에서 검출된 축중량을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에 따라 편차 보정하여 과적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과적 차량인 경우 CPU보드(7)는 SIO포트(8)를 통해 과적 데이타와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타를 출력하고, 출력된 데이타는 예를 들면 과적 차량의 전면을 촬영한 영상 정보와, 톨 게이트, 차선, 일시, 축수, 속도, 총 중량, 축중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CRT(9)에 표시되어 근무자에게 제시되는 한편, SIO포트(10)를 통해 주프린터(11)를 이용해서 프린트되어 단속 근거를 확보해 주고, 모뎀 포트(12)를 통해 주 통제실로 제공된다. 이와같이 자동 촬영과 영상 프린트 처리를 행하게 되면, 진입한 차량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차량 촬영을 행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프린트 및 표시 처리해 주기 때문에 별도의 촬영 운용 요원의 배치 필요성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전천후 감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CPU보드(7)에서 과적 차량으로 판정된 경우에도 PIO보드(17)를 통해 사무실 경보부(18)에 구비된 벨(BELL)을 울려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CPU보드(7)에서 중량 판정 결과 제한 중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저 중량의 초과 여부를 판정하여, 최저 중량을 초과하였으면 주 프린터(11)를 이용해서 상기 제반 정보를 프린트하고 리턴하며, 최저 중량도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리턴하여 다음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판정 결과를 차선 제어기(6)를 통해 투광식 표시판(5)에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에게도 '높이 초과', '진입 금지', '중량 초과'등의 정보를 제시해준다. 상기한 바와같이 CPU보드(7)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전원 공급부(23A)에서 직류 안정화 전원을 공급해 주며, 정전된 경우에는 백업 밧데리(23B)에서 백업 전원을 공급해 줌으로써, 기억된 자료의 손실을 방지해 줄 수 있게하였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축중량을 감지함에 있어,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장치는 속도에 따른 축중량 감지-판정의 편차를 도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 조정해 주게 된다. 즉, 편차 조정할 차선이 결정(입력)되면 시험할 차량의 축수를 CPU보드(7)가 입력받게된다.
이어서 각 축의 실제 중량을 입력받게 받고, 시험 차량이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본 고안의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입력 자료의 타당성 여부를 재검증한 후, 정확한 자료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CPU보드(7)는 내부 메모리-백업 밧데리의 백업 전원을 공급받는 RAM)-의 속도별 기준 편차 보정값 테이블에 현재 감지된 속도에 의한 편차 조정값을 대입하여 갱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일정한 속도 구간, 예를 들면 0Km/h 에서 1Km/h 씩 증가시켜 20Km/h의 속도까지 반복하여 속도별 기준 편차 보정값을 갱신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하면 속도에 따른 축중량 감지, 판정의 편차가 자동적으로 보정되므로, 종래의 수동적인 작업에 비하여 보정 작업 시간이 1/2이하로 단축되고, 정확한 데이타에 근거하여 보정하기 때문에 차후에 발생할 시비의 소지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도면 제7도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차선을 판정하는데, 예를 들면 화물차 통행 차선을 2개 차선으로 할당한 경우 상기 차선 제어기(6)로부터 제1차선인가 또는 제2차선인가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해당 차선에 해당되는 카메라(14)를 동작시켜 차량 전면을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영상 처리기(13)에서 처리하여 기억해 둔다. 일단 기억된 영상 처리 정보-화상 정보-는 과적 차량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 필요치 않기 때문에 삭제시키고 리턴하며, 과적 차량인 경우에는 상기한 과적 데이타-단속과 고발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톨 게이트, 차선, 일시, 축수, 속도, 총 중량, 축중량을 포함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한 바와같이 모니터(CRT)(9)상에 이를 표시해 주는 한편, 주 프린터(11)를 이용해서 과적 데이타+영상을 프린트해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측된 차량의 축중량을 입력속도 0-20㎞/h 구간에서 임의로 운행하여 각 속도별 중량의 편차값을 보정하여 입력하게 하여 축중량 감지의 편차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영이 간편하고 축중량 감지 오차를 5%이내로 최소화하는 한편, 편차 조정에 걸리는 시간을 기존 2시간에서 1시간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진입된 차량이 제한 차량으로 판정되면 차량 전면부를 자동 촬영하고, 촬영한 사진에 제한 데이타를 함께 프린터하여 제한 차량 단속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력으로 인한 운영상의 난점을 해소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선 제어기에서 처리된 적재고 높이 초과 차량을 주제어기로 보내서 부스 근무자는 물론 사무실 주 제어기 시스템에 제한 차량을 표시해 줄 수 있게 하고, CRT단말 장치와 주 프린터에 제한 데이타를 기록하여 명확한 단속 근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선의 모든 감지 신호 출력을 주 제어기에 통신 선로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타 전달에러를 줄이고, 차선 제어기와 주 제어기 사이의 케이블 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2)

  1.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1)와, 차량의 속도 감지를 위해 일정한 거리로 배치되는 제1 루프(2) 및 제2 루프(3)와, 차량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기(4)와,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투광식 표시판(5)과, 상기 차량 감지기(1)와 루프(2)(3) 및 높이 감지기(4), 투광식 표시관(5)과 연결되어 차선 제어를 실행하는 차선 제어기(6)와, 상기 차선 제어기(6)를 포함하여 회로 각부분을 제어하여 중량 및 높이 제한 차량의 판정과 기록, 통신 제어를 실행하는 CPU보드(7)와, 상기 CPU보드(7)와 직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선로를 구축해주는 SIO포트(8)와, 상기 SIO포트(8)를 통해 제한 차량 판정 정보를 CPU보드(7)로부터 제공 받아 이를 표시해주는 CRT(9), 상기 SIO포트(8)를 통해 제한 차량 판정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직렬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SIO포트(10)와, 상기 SIO포트(10)에 연결되어 차량 판정 정보를 프린트하는 주 프린터(11)와, 상기 SIO포트(10)와 연결되어 통신을 실행하는 모뎀포트(12)와, 상기 SIO포트(8)와 연결되어 카메라 영상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영상 처리기(13)와, 상기 영상 처리기(13)와 연결되며 진임 차량의 번호판을 위시한 전면부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14)와, 상기 카메라(15)의 야간 조명을 담당하는 조명등(15)과, 상기 조명등(15)의 자동 개폐 차단 회로(16)와, 상기 CPU보드(17)에 연결되어 병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선로를 구축해주는 PIO보드(17)와, 상기 PIO보드(17)와 연결되어 사무실내에 제한 차량 표시를 해주는 사무실 경보부(18)와, 상기 PIO보드(17)와 연결되어 차선 경보를 행하는 차선 경보부(19)와, 상기 진입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축하중 검출기(20)와, 상기 축하중 검출기(20)에서 검출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앰프(21)와, 상기 프리앰프(21)에서 증폭된 감지신호를 다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CPU보드(7)에 공급하는 A/D변환기(22)와, 회로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보드(7)는 실측할 차량의 실중량을 입력하게 되면 실 중량 데이타를 기억하고, 실측되는 시험 차량의 축중량을 속도별로 측정하여 상기 기억된 실중량값과 비교, 실중량과 실측된 중량의 차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편차 보정값을 조정하여 갱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KR2019940007329U 1994-04-08 1994-04-08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KR970006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329U KR970006052Y1 (ko) 1994-04-08 1994-04-08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329U KR970006052Y1 (ko) 1994-04-08 1994-04-08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167U KR950031167U (ko) 1995-11-22
KR970006052Y1 true KR970006052Y1 (ko) 1997-06-19

Family

ID=1938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329U KR970006052Y1 (ko) 1994-04-08 1994-04-08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0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02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서광 차량하중측정기의 영점보정장치
KR100446822B1 (ko) * 2002-09-24 2004-09-07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축 조작에 의한 차량의 부정진입을 막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
KR100719856B1 (ko) * 2006-02-06 2007-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동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한 매설형 차량검지기의 속도오류를 확인하고 보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167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950A (en) Traffic safety monitoring apparatus
US5432547A (en) Device for monitoring disregard of a traffic signal
US854227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20030071910A1 (en) Amusement ride camera system for shooting pictures
KR101256506B1 (ko)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970006052Y1 (ko) 고정식 차량 축 중량 감지 장치
KR100445312B1 (ko)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3916319B2 (ja) 特殊車両自動計測システム
US4490028A (en) Exposure-control device on an aerial camera
JP2829801B2 (ja) トンネル内車両動態計測装置
JP3019901B2 (ja) 車両諸元自動計測装置
US5884241A (en) Load measur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7502588A (ja) カメラ用露光量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5982988A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photo-printer
KR100348106B1 (ko) 고정식 축중기
KR200222373Y1 (ko) 고정식 축중기
CN205788768U (zh) 一种智能车牌安防识别系统
JP2001103496A (ja) 画像処理装置
AU703121B2 (en) Method for automatic evaluation by means of an opto- electronic device
JPH04182900A (ja) 軸重違反車両検出システム
JP2774392B2 (ja) 列車着雪監視装置
CN216482996U (zh) 基于三维数字化的带有实时预警功能的桥梁安全监测装置
JP3021269B2 (ja) 車両検知装置
JP3268096B2 (ja) 画像式停止車両感知方法
JP2817412B2 (ja) 車両諸元自動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0903

Effective date: 19990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