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36Y1 -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36Y1
KR970005936Y1 KR2019930030992U KR930030992U KR970005936Y1 KR 970005936 Y1 KR970005936 Y1 KR 970005936Y1 KR 2019930030992 U KR2019930030992 U KR 2019930030992U KR 930030992 U KR930030992 U KR 930030992U KR 970005936 Y1 KR970005936 Y1 KR 970005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cold air
cold
refrigerato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215U (ko
Inventor
김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936Y1/ko
Priority to EP94402522A priority patent/EP0655594B1/en
Priority to US08/335,920 priority patent/US5568730A/en
Priority to DE69416264T priority patent/DE69416264T2/de
Priority to JP06281722A priority patent/JP3045371B2/ja
Priority to CN94119817A priority patent/CN1086466C/zh
Publication of KR950020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에 탈취제가 장착된 상태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실2 : 냉기유로
3 : 상부단열재4 : 중앙단열재
5 : 냉기귀환통로6 : 탈취안내부내
7 : 지지보스8,8a : 체결부재
9 : 고정판10 : 고정돌기
11 : 지지홈12 : 냉기그릴
13 : 냉기통공14 : 탈취제
15 : 탈취제지지박스16 : 고정후크
17 : 지지리브18 : 체결공
19 : 인너케이스
본 고안은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장착되어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탈취제를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1)천정부에 중앙단열재(4a) 및 상부단열재(3a)의 사이에 형성된 냉기유로(2)에 탈취제(14)가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에서 순환되는 냉기가 냉기유로(2)를 통과하는 동안 탈취제(14)가 냄새를 흡착하므로써 고내의 탈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 장착되는 탈취제(14)는 냉장실(1)천정부의 중앙 및 상부단열재(4a)(3a)사이의 냉기유로(2)중앙에 놓여 있으므로 인해 유로저항이 심하게 발생되어 원활한 냉기의 유동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특히 장착된 탈취제(14)의 사용수명이 다한 경우에 분해되어 탈취제(14)를 교환할 수가 없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냉장고에 장착되어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탈취제를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실의 천정부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냉장실의 냉기유로에 설치되어 냉기귀환통로가 형성되는 탈취안내부재와, 상기 탈취안내부재에 결합되며 냉장실의 냉기가 통과되는 냉기통공 및 탈취제가 안착되는 탈취제지지박스가 형성되는 냉기그릴로 구성된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을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A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냉장고에 냉장실(1)천정부의 냉기유로(2)가 형성되는 상부단열재(3)와 중앙단열재(4)의 전방에 내부에 냉기귀환통로(5)가 형성되는 탈취안내부재(6)가 설치되고, 탈취안내부재(6)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보스(7)가 형성되어 체결부재(8)가 고정판(9)과 중앙단열재(4)를 관통하여 지지보스(7)에 고정되며, 탈취안내부재(6)의 전후방에는 각각 고정돌기(10) 및 지지홈(11)이 형성된다.
또한 탈취안내부재(6)에 결합되는 냉기그릴(12)의 전면둘레면에는 냉장실(1)의 냉기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냉기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그릴(12)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탈취제(14)가 안착되는 탈취제지지박스(15)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그릴(12)의 전후방에는 각각 고정돌기(10)에 고정되는 고정후크(16) 및 지지홈(11)에 삽입되는 지지리브(17)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그릴(12)의 양단부에는 체결공(18)이 형성되어 체결부재(8a)가 체결공(18)을 거쳐 인너케이스(19)를 통해 탈취안내부재(6)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냉장고에 냉장실(1) 천정부의 냉기유로(2)가 형성되는 상부단열재(3)와 중앙단열재(4)의 전방에 내부에 냉기귀환통로(5)가 형성되는 탈취안내부재(6)를 안착시킨 후, 탈취안내부재(6)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리브(17)와 고정판(9)을 일치시켜 체결부재(8)가 고정판(9)과 중앙단열재(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보스(7)에 고정시킴에 따라 탈취안내부재(6)를 1차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후, 탈취안내부재(6)에 결합되는 냉기그릴(12) 상부 양측의 탈취제지지박스(15)에 탈취제(14)를 안착시킨 다음, 상기 냉기그릴(12)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리브(17)를 상기 탈취안내부재(6) 전방의 고정돌기(10)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기그릴(12)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후크(16)를 탈취안내부재(6) 전방의 고정돌기(10)에 고정시키므로 이때 작업자가 손을놓아도 탈취안내부재(6)에서 냉기그릴(12)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냉기그릴(12)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8)을 관통하여 인너케이스(19)를 통해 체결부재(8a)가 탈취안내부재(6)에 고정되므로써 냉기그릴(12)에 탈취안내부재(6)를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결합 및 분해시킬수 있게 되어 탈취제(14)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재(8a)로서 냉기그릴(12)을 체결시 인너케이스(19)를 끌어올릴수 있으므로 인해 냉장실(1)의 천정부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기그릴(12)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탈취제(14)가 안착되는 탈취제지지박스(15)가 형성되므로 탈취제(14)를 용이하게 취출할수 있고, 상기 냉기그릴(12)의 전둘레면에는 냉장실(1)의 냉기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너트(13)이 형성되므로 유로 저항을 최대한 감소시켜 원활한 상태로 냉기를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냉장실(1) 천정부의 냉기유로(2)가 형성되는 상부단열재(3)와 중앙단열재(4)의 전방에 내부에 냉기귀환통로(5)가 형성되는 탈취안내부재(6)가 설치되고, 탈취안내부재(6)에는 탈취제(14)가 안착되는 냉기그릴(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써, 탈취제(14)를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고, 조립성이 양호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으며, 냉장실(1)의 천정부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냉장고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냉장실(1)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단열벽의 냉기 입구부에 냉장실로부터 귀환되는 공기를 증발기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냉기귀환통로(5)가 형성된 탈취안내부재(6)를 장착하여 스크류로 상부단열재(3)에 고정하고 상기 탈취안내부재(6)는 중앙부 냉기통공(13)과 양측 탈취제(14)수납용 탈취제지지박스(15)가 일체로 형성된 냉기그릴(12)을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KR2019930030992U 1993-11-26 1993-12-30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KR970005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92U KR970005936Y1 (ko) 1993-12-30 1993-12-30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EP94402522A EP0655594B1 (en) 1993-11-26 1994-11-08 Refrigerator with a deodorizing device
US08/335,920 US5568730A (en) 1993-11-26 1994-11-08 Deodorizing device for refrigerator
DE69416264T DE69416264T2 (de) 1993-11-26 1994-11-08 Kühlschrank mit Desodorisierungsvorrichtung
JP06281722A JP3045371B2 (ja) 1993-11-26 1994-11-16 冷蔵庫の汚気奪取装置
CN94119817A CN1086466C (zh) 1993-11-26 1994-11-25 电冰箱的除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92U KR970005936Y1 (ko) 1993-12-30 1993-12-30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215U KR950020215U (ko) 1995-07-26
KR970005936Y1 true KR970005936Y1 (ko) 1997-06-16

Family

ID=1937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992U KR970005936Y1 (ko) 1993-11-26 1993-12-30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9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215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936A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O2011158489A1 (ja) 冷蔵庫
US6478445B1 (en) Ligh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KR970005936Y1 (ko) 냉장고의 탈취제 장착구조
JP2002130933A (ja) 冷蔵庫
KR200290174Y1 (ko) 냉장고의 증발기 커버 고정 구조
JP3616368B2 (ja) 冷蔵庫
KR102500290B1 (ko) 냉장고
US3834779A (en) Refrigerator cabinet
KR100300123B1 (ko) 냉장고
KR100608942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200348440Y1 (ko) 냉장고의 선반
KR200308187Y1 (ko) 냉장고
KR200228652Y1 (ko) 냉장고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100307350B1 (ko) 냉장고의탈취제장착구조
KR19990019488U (ko) 냉장고용 가드부재
KR940008182Y1 (ko) 쇼케이스의 증발기 커버부재
JP2632050B2 (ja) 冷蔵庫
JP2022137790A (ja) 冷蔵庫
JP2738736B2 (ja) 冷蔵庫
KR20220024312A (ko) 냉장고
KR20220115175A (ko) 냉장고
KR20200090352A (ko) 냉장고
KR200151189Y1 (ko) 냉장고 록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