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796B1 -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 Google Patents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796B1
KR970005796B1 KR1019930022482A KR930022482A KR970005796B1 KR 970005796 B1 KR970005796 B1 KR 970005796B1 KR 1019930022482 A KR1019930022482 A KR 1019930022482A KR 930022482 A KR930022482 A KR 930022482A KR 970005796 B1 KR970005796 B1 KR 97000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incinerator
incineration
wast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908A (ko
Inventor
유인선
주식회사세도교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도교역
유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도교역, 유인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도교역
Priority to KR101993002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796B1/ko
Priority to JP6264243A priority patent/JPH07180820A/ja
Priority to DE4438421A priority patent/DE4438421C2/de
Priority to US08/329,971 priority patent/US5562053A/en
Publication of KR95001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80Shred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3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in separat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20Rotary drum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20Rotary drum furnace
    • F23G2203/206Rotary drum furnace with charging ports in the side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20Rotary drum furnace
    • F23G2203/208Rotary drum furnace with interior agit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 F23G2205/121Screw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201Waste pyrolysis, gasification or cracking by indirect heat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외형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도에 따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제2도의 I-I선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도의 Ⅱ-Ⅱ선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부(Head部) 2 : 고정구
3,4 : 내외통(內外筒) 5 : 소각로
6 : 받침대 7,7´,7˝ : 가이드레임(Guide Rail)
8,8´,8˝ : 받침로울러 9,9´ : 링기어(Ring gear)
8a : 내부 11 : 호퍼(Hopper)
12 : 버킷(Bucket) 13 : 나선스크루(螺線Screw)
14 : 배출공 14´ : 재부입구
14˝ : 힌지(Hinge) 15,15´ : 지지핀
16,16´ : 연소판 17 : 연돌
17´ : 미연소관 18,18´ : 돌조
19 : 주입구 20 : 이송스크루
21 : 토출공(吐出孔 ) 21´ : 토출편(吐出片)
22 : 격벽(隔璧 ) 22´ : 요구
M,M´,M˝ : 모우터 B,B´ : 버어너(Burner)
본 발명은 공해(公害)의 주원인이 되는 각종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을 소각처리하는 소각장치(燒却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부(Head部)를 갖는 고정구에 내경을 달리하는 내통(內筒)과 외통(外筒)을 결합하여 각각의 모우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가면서 산업폐기물을 입자상(粒子狀)의 분말(粉末)상태로 분쇄소각(粉碎燒却)시켜 주는 터널식 소각장치(Tunnel식 燒却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많은 종류의 폐기물 소각장치가 출현한 바 있고 또 그중에는 소각작용과 공해방지에 월등한 효과를 발휘(發揮)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들이 이를 필요로 하는 각종 산업시설(産業施設)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각장치들을 가동(稼動)시켜 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따랐다.
즉 운전경비(運轉經費)는 물론 점화장비(鮎化裝備)나 집진시설(集塵施設)과 같은 부대설비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체에서는 상기와 같은 어려움 때문에 부대시설의 설치를 기피하거나 또 설치는 되어 있더라고 실제로는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가 감독관청의 감시(監視)가 유할 때만 잠시 가동시켜 주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부대시설을 겸하는 소각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면적을 방대히 하는 부지확조(敷地確保)의 어려움과 또 서로 연계(連繫)되는 관련기관의 복잡성으로 인해 운전중 고장이 빈번하고 더욱이 상기의 장치에 의해 소각되어진 소각물량도 많아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인력이나 장비를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내통과 외통사이로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내통의 외주벽부와 외통의 내부벽부에 나선상으로 돌설될 다수개의 돌조에 의해 분쇄되도록 돌조와 돌조의 나선방향을 서로 달리 구성하여 이들이 엇갈려지는 상태로 맞물려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이때 내외통과 사이에서 내통으로부터 버어너의 연소열에 의해 분쇄폐가물이 건조될때 발생하는 미연소가스를 재연소시켜 주므로 미연소가스로 인한 공해 방지와 연료의 소모를 줄이고자 하는데 주목적이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건조된 폐기물이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돌조에 의해 점차 후부로 밀리면서 내통의 주입구를 통해 그 내부로 주입된 후 이의 내주벽부로 구성한 이송스크루(Screw)와 그 중앙에 지그재그로 장착된 연소관을 통하는 버어너의 연소열과 상기의 버어너와 같이 헤드부에 장착된 버어너의 연소작용에 의해 건조상태의 분쇄폐기물을 내통의 선단으로 교반이송시켜주면서 소각되게 하는데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통의 선단을 향해 이송된 상기의 소각폐기물이 이의 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토출편을 갖고 천공된 토출공과 일치하는 고정구의 배출공을 통하여 이화 연접된 곳에 마련한 재투입구로 투입시켜 소각되도록 저면을 버킷(Bucket)으로 구성시킨 상기의 배출공과 재투입구 사이에 나선스크루(螺線Screw)를 감속 모우터로 장착 구동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소각장치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목적을 순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모우터와 체인으로 각각 연동시켜 내통과 외통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고 배출공과 재투입구 사이에 장착된 나선스크루를 감속모우터로 구동되게 하면서 폐기물을 호퍼로 투입분쇄시켜 주고 이때 발생하는 미연소가스는 재연소작용으로 완전히 연소되게 하여 공해의 방지는 물론 연료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높힘과 동시에 재차 이루워지는 소각작용으로 폐기물의 소각량의 최소화 하므로써 산업폐기물에 대한 처리를 간편히 실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헤드부(1)를 갖는 고정구(2)에 내경을 달리하는 내외통(3)(4)을 결합구성하여 보인 소각로(5)의 전체 사시도로서 상기 고정구(2)의 하부는 받침대(6)로 받쳐지고 내외통(3)(4)은 그 주연에 환설(還說)된 가이드레일(Guide Rail)(7)(7´)(7˝)에 의해 받침로울러(8)(8´)(8˝)상에 수평으로 재치(載置)된다.
그리고 내외통(3)(4)의 후부와 중간의 링기어(9)(9´)는 모우터(M)(M´)와 각각 체인(10)(10´)으로 연동되어 있어서 내외통(3)(4)이 모우터(M)(M')의 구동에 의해 고정구(2)에서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호퍼(11)로 투입되는 폐기물(A)을 분쇄시켜주는 것이다.
상기의 호퍼(11)는 고정구(2)의 측부로 설치되고 이와 대칭을 이루는 맞은편 하방에 버킷(Bucket)(12)을 갖고 감속모우터(M˝)로 구동되어지는 나선스크루(13)가 배출공(14)과 연접하는 재투입구(14´)와 사이에 양지지편(15)(15´)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킷(12)의 일부는 힌지(14˝)에 의해 배출공(14)의 아래로 개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제3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버어너(B)(B´)는 헤드부(1)에 상하횡방향으로 관착된 연소관(16)(16´)의 일단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버어너(B)(B´)와 사이로 노출되는 연소관(16)의 타단은 연돌(17)로 구성하는 한편 이에 미연소관(17´)을 상기의 연소관(16)과 고정구(2)의 상부호 연설하여 이후에 설명될 분쇄작업시 내외통(3)(4)과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연소가스를 재연소시켜 줄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2도는 소각로(5)의 내부구성을 보인 전체 단면도로서 내통(3)의 내주벽부(3´)와 외통(4)의 내주벽부(4´)에 서로 엇갈려 회동하는 다수개의 돌조(18)(18´)가 돌설 방향을 달리하여 나선상으로 배설되고 또 내통(3)의 후부 주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뚫린 주입구(19)을 통해 주입되는 분쇄폐기물(A)을 내통(3)의 내부(3a) 선단(1´)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이송스크루(20)가 이의 내주벽부(2´)로 구성한 격벽(隔璧)(22)에 의해 이루워진 요구(22)로 안내되어지고 이들은 고정구(2)의 배출공(14)과 서로 통하는 상태로 뚫려져서 외통(4)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내통(3)의 이송스크루(20)에 의해 선단(1´)으로 밀리는 소각폐기물(A´)이 내통(3)의 내부(3a)중앙에 지그재그로 관착시켜 구성한 버어너(B)의 연소관(16)으로부터 연소되어지는 고온의 간접적인 연소열과 또 다른 버어너(B´)의 직접적인 연소열에 의해 토출공(21)에서 토출편(21´)에 의해 배출공(14)으로 소각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내외통(3)(4)과 사이에서 폐기물(A)을 분쇄할 때 주입구(19)를 통하는 버어너(B´)의 직접열로 인해 발생하는 미연소가스는 다시 고정구(2)의 상부로 연설한 미연소관(17´)을 통해 연소관(16)에서 재연소시켜 무해무취한 연소가스만이 연돌(17)로 배출되게 하고 또 배출공(14)으로 배출되는 소각폐기물(A´)은 이와 연접한 위치에 구성된 재투입구(14´)를 통해 내통(3)으로 재투입시켜 소각물(A˝)로 처리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소각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우터(M)(M´)(M˝)와 버어너(B)(B´)를 가동점화시켜 소각로(5)를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여준 후 호퍼(11)로 폐기물(A)을 투입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폐기물(A)은 그 형태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호퍼(11)를 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무난하다.
그러나 소각로(5)의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덩어리가 비교적 큰 폐기물(A)은 여러 조각으로 세절하여 투입시켜 주는 것이 소각로(5)의 안전운전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즉, 상기의 호퍼(11)를 통한 폐기물(A)은 구동모우터(M)(M´)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내외통(3)(4)과 사이에서 이의 외주벽부(3´)와 내주벽부(4´)에 서로 엇갈려 히동하는 나선방향을 달리한 돌조(18)(18´)에 의해 분쇄됨과 동시에 점차 후부로 밀리면서 내통(3)의 후부주입구(19)를 통해 분쇄폐기물(A)은 내통(3)의 내부(3a)로 주입된다.
이렇게 내통(3)의 내부(3a)로 주입되는 분쇄폐기물(A)은 내통(3)의 내주벽부(3˝)로 형성한 이송스크루(20)에 의해 점차 선단(1´)으로 교반이송되면서 지그재그로 헤드부(1)에 장착된 버어너(B)의 연소관(16)을 통하는 간접연소열과 또 다른 연소관(16´)을 통하는 버어너(B´)의 직접 연소열에 의해 소각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주입구(19)을 통해 나오는 상기의 연소열에 의해 내외통(3)(4)과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연소가스는 상기의 연소관(16)과 연결되는 고정구(2)의 미연소관(17´)을 통하여 연소관(16)에서 재혼합연소되기 때문에 연돌(17)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는 유해 성분이 없는 무해무취한 상태의 연소가스만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소관(16)(16´)의 연소열에 의해 내통(3)의 내부(3a)에서 선단(1´)으로 이송되면서 소각되어지는 폐기물(A´)은 선단(1´)의 외주연으로 뚫려진 토출공(21)을 통해 토출편(21´)상에 얹혀져서 고정구(2)의 배출공(14)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은 내통(3)의 내부(3a)와 격벽(22)으로 막아주고 있는 고정구(2)내의 요구(22´)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공(14)으로 배출되어 지는 소각폐기물(A´)은 이와 연접하고 있는 재투입구(14´)의 하방으로 취부된 버킷(12)상에 양지지편(15)(15´)과 사이의 나선스크루(13)가 감속모우터(M˝)의 감속구동에 의해 버킷(12)상의 소각폐기물(A´)을 재투입구(14´)로 다시 투입시켜서 내통(3)의 내부(3a)에서 소각작업을 재차 실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각폐기물(A´)을 재소각시켜 주므로서 소각처리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의 소각물(A˝)로 제공되게 함과 아울러 배출공(14´)이 위치한 버킷(12)의 일부를 힌지(14˝)로 구성하여 소각물(A˝)의 소각량이 내통(3)으로부터 넘칠때는 괘정구(12´)를 해정하여 소각물(A˝)의 처리작업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물(A)의 소각작업을 단일 소각로(5)에 의해 분쇄소각처리할때 발생하는 미연소가스의 완전 연소로 인한 공해방지와 폐기물(A)의 소각작업이 재차 이루워지게 하므로서 소각물(A˝)의 처리와 소각작업을 신속히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각종의 산업폐기물(A)을 소각처리하기 위한 소각로(5)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부(1)를 갖는 고정구(2)를 받침대(6)상에 지지하고 상기의 고정구(2)에 내외통(3)(4)를 결합구성하여 그 외주연의 가이드레일(7)(7´)(7˝)을 받침로울러(8)(8´)(8˝) 안내시켜 재치하고 이에 링기어(9)(9´)를 모우터(M)(M')와 체인(10)(10´)으로 연동시켜 내외통(3)(4)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한편 내통(3)의 외주벽(3´)과 외통(4)의 내주벽(4´)으로 나선방향으로 달리하는 다수개의 돌조(18)(18´)가 서로 엇갈려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돌설되고 또 내통(3)의 후부와 내주벽부(3˝)에는 주입구(19)와 이송스크루(20)를 갖고 그 선단(1´)은 상기 고정구(2)의 내주벽부(2´)로 격설한 격벽(22)에 의해 이루워진 요구(22´)를 따라 안내되어지는 토출공(21)의 토출편(21´)이 고정구(2)의 측부로 뚫린 배출공(14)과 상통되며 또한 상기의 배출공(14)은 그 옆으로 뚫린 배투입구(14´)와 같이 하부로 형성된 버킷(12)의 일부를 힌지(14˝)로 괘지시켜 하부로 개방되게 한 버킷(12)상의 양지지편(15)(15´)에 의해 구성된 나선스크루(13)를 감속모우터(M˝)로 구성시킴과 동시에 상기의 헤드부(1)로 관착되는 버어너(B)(B')의 연소관(16)(16´)중 연소관(16)은 내통(3)의 내부(3a)를 향해 지그재그로 장설하되 그 일단을 연돌(17)로 이어지게 하며 또 고정구(2)의 미연소관(17')은 상기의 연소관(16)과 연결시켜서 호퍼(11)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A)을 단일 소각로(5)에 의해 연속적으로 소각처리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식(Tunnel式 ) 소각장치.
KR1019930022482A 1993-10-27 1993-10-27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KR97000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482A KR970005796B1 (ko) 1993-10-27 1993-10-27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JP6264243A JPH07180820A (ja) 1993-10-27 1994-10-27 トンネル式焼却装置
DE4438421A DE4438421C2 (de) 1993-10-27 1994-10-27 Tunnel-Verbrennungsvorrichtung
US08/329,971 US5562053A (en) 1993-10-27 1994-10-27 Tunnel inci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482A KR970005796B1 (ko) 1993-10-27 1993-10-27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908A KR950011908A (ko) 1995-05-16
KR970005796B1 true KR970005796B1 (ko) 1997-04-21

Family

ID=1936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482A KR970005796B1 (ko) 1993-10-27 1993-10-27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62053A (ko)
JP (1) JPH07180820A (ko)
KR (1) KR970005796B1 (ko)
DE (1) DE443842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72631A1 (en) * 1996-09-07 1998-03-12 Equa Co. Ltd. Incinerator
US5924861A (en) * 1997-08-28 1999-07-20 Maumee Research & Engineering, Incorporated Furnace discharge assembly
US6325967B1 (en) 1998-03-27 2001-12-04 Material Resource Recovery Srbp Inc. Incineration process
JP3565058B2 (ja) * 1998-11-12 2004-09-15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廃棄物供給装置
US6425685B1 (en) * 2000-07-19 2002-07-30 Chen Po Chuan Process for reclaiming salvaged asphalt
CN102155741B (zh) * 2011-05-05 2012-08-15 李献本 无二噁英排放的垃圾焚烧炉
AT511780B1 (de) * 2011-08-05 2013-11-15 Andritz Ag Maschf Rohrreaktor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biomasse
CN102519047A (zh) * 2011-12-31 2012-06-27 朱海生 低能耗有害废弃物无害化焚烧系统
KR101250434B1 (ko) * 2012-05-23 2013-04-08 장하연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CN102889599B (zh) * 2012-10-24 2014-09-10 潍坊金丝达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湿污泥焚烧炉
CN107625404A (zh) * 2017-08-31 2018-01-26 惠州市四季绿农产品有限公司 一种芽苗菜烹饪装置及其烹饪方法
CN109882859B (zh) * 2019-03-26 2020-09-25 殷林宝 等离子体气化固废处理系统
KR102279792B1 (ko) * 2019-10-14 2021-07-19 전종길 생활쓰레기 고형화 처리장치
CN110594745A (zh) * 2019-10-29 2019-12-20 生态环境部固体废物与化学品管理技术中心 一种畜禽尸体焚烧炉
CN112094034B (zh) 2020-11-17 2021-02-19 湖南仁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污泥高效脱水设备
CN114433599B (zh) * 2022-02-16 2023-07-14 绍兴凤登环保有限公司 一种桶装粘稠危废处理系统的分离匀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898A (en) * 1970-05-28 1972-03-07 Rotodyne Mfg Corp Refuse incinerating apparatus
JPS5221833B2 (ko) * 1973-07-12 1977-06-13
US4175335A (en) * 1977-12-08 1979-11-27 Avril Arthur C Machine for drying granular materials
US4376343A (en) * 1981-07-21 1983-03-15 White Henry J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bagasse
US4434725A (en) * 1982-02-16 1984-03-06 Samuel Foresto Mass burning self-cleaning incinerator
US4430950A (en) * 1982-08-03 1984-02-14 Sam Foresto Incinerator
US5338188A (en) * 1990-03-19 1994-08-16 Cedarapids, Inc. Radiant heat rotary volatilizer
US5361708A (en) * 1993-02-09 1994-11-08 Barnes Alva D Apparatus and method for pasteurizing and drying sludge
US5390630A (en) * 1994-06-09 1995-02-21 Spinheat Ltd. Stationary feed arrangement for use in a rotary fluid bed gas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38421A1 (de) 1995-05-04
KR950011908A (ko) 1995-05-16
DE4438421C2 (de) 1996-10-24
JPH07180820A (ja) 1995-07-18
US5562053A (en) 1996-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796B1 (ko) 터널식 소각장치(Tunnel式 燒却裝置)
US4734166A (en) Furnace for the selective incineration or carbonization of waste materials
US3939783A (en) Furnace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s
KR101658755B1 (ko) 폐기물 연소장치
KR20210078902A (ko) 해양투기폐기물 육상건조장치
US5097773A (en) Multi-sided watercooled rotary combustor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JP2957085B2 (ja) 回転ドラム式焼却装置
JP3395119B2 (ja) 攪拌焼却炉の燃焼空気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20090072887A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200199740Y1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장치
JP3556852B2 (ja) 汚泥混焼装置
JPH05264022A (ja) 回転ドラム式焼却装置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20190098343A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KR100498993B1 (ko) 소각로의 내압과 온도유지를 위한 폐기물의 연속식자동투입장치
KR100234660B1 (ko) 측면 전진식 스토카를 이용한 고체 연소장치
JP2000230709A (ja) 回転式汚泥切出装置を有する汚泥混焼炉
KR200204318Y1 (ko) 건조폐기물 처리용 소각기
KR960007915Y1 (ko) 고속 소각기
KR200241617Y1 (ko) 소각로의 건류가스 발생장치
KR0135471B1 (ko) 연속건류 가스화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