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499Y1 -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 Google Patents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499Y1
KR970005499Y1 KR2019940032900U KR19940032900U KR970005499Y1 KR 970005499 Y1 KR970005499 Y1 KR 970005499Y1 KR 2019940032900 U KR2019940032900 U KR 2019940032900U KR 19940032900 U KR19940032900 U KR 19940032900U KR 970005499 Y1 KR970005499 Y1 KR 970005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bathroom
cover
side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008U (ko
Inventor
김두성
Original Assignee
범한공업 주식회사
김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한공업 주식회사, 김두성 filed Critical 범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2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499Y1/ko
Publication of KR960020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고정구의 경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1사용상태도
제6도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2사용상태도
제7도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3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 본체12 : 돌출벽부
14 : 제1구멍16 : 제2구멍
18 : 가이드 레일20 : 걸림턱
22 : 커버24 : 후크부
26 : 보울트 구멍28 : 옷걸이
30 : 휴지걸이32 : 뚜껑
34 : 비누지지대36 : 컵지지대
본 고안은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욕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설비들을 벽에 고정시키게 되는 고정구의 외간을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욕실출입자들에게 쾌적한 감각을 제공하게 되는 욕실용 설비 결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는 휴지나 옷이나 비누 또는 양치용 컵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체와 커버를 구비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있어서는, 본체가 욕실의 벽에 고정되고 난 후에 다시 커버가 나사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커버의 교환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고정구의 외관이 단조롭게 되고 욕실 사용자에게 지루하고 무딘 감각을 제공할 수 밖에 없게 되며 고정구의 수선 또는 교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버가 본체로부터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됨으로써, 커버의 형상 및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미려한 외관과 쾌적한 감각을 제공하게 되고 고정구의 수선또는교체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의해 달성되고 ; 상기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는 바닥벽에 보울트 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개 이상의 돌출벽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본체 및 상기 고정구 본체의 돌출벽부들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을 덮게 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 상기 고정구 본체의 하나의 측벽부분에 욕실용 설비를 결착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 돌출벽부들의 내면에는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후크부가 형성되며, 본체에는 상기 후크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욕실용 설비를 결착시키기 위한 구멍이 상기 하나의 측벽부분을 제외한 다른 측벽에도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고정구 본체를 욕실벽에 보울트에 의해 고정시키고 나서 커버를 고정구 본체를 향하여 밀어넣으면 커버에 형성되는 후크부가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므로, 요구도에 따라 커버를 교환시킴으로써 고정구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미려한 외관과 쾌적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고정구의 수선 또는 교체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제2도에는 제1도의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제3도에는 제2도의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10)및 커버(22)를 구비한다. 본체(10)의 바닥벽 부분에는 보울트 구멍(26)이 형성되고(제3도 참조), 본체(10)의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측벽부분에는 두개의 측벽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돌출벽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울트 구멍(26)을 관통하여 보울트(도시안됨)이 통과됨으로써, 고정구 본체(10)은 욕실벽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돌출벽부(12)가 형성되게 되는, 일측벽 부분에는 욕실용 설비를 결착시키기 위한 두개의 제1구멍(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구멍(14)에 욕실용 설비의 로드부분이 압입끼워맞춤되게 됨으로써 욕실용 설비는 고정구 본체(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돌출벽부(12)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8)이 형성되고, 돌출벽부(12)가 형성되지 않는 고정구 본체(10)의 내면에는 상하방에 걸림턱(20)이 각각 형성된다. 커버(22)는 상기 돌출벽부(12)들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8)상에 안착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고정구 본체(10)의, 돌출벽부(12)가 형성되지 않는, 측벽에 대응되는 커버(22)의 상하방 모서리 부분에는 두개의 후크부(24)가 돌출적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러므로, 커버(22)의 후크부(24)가 고정구 본체(10)의 상기 걸림턱(20)에 체결됨으로써, 커버(22)는 간단하게 고정구 본체(10)에 장착된다. 이와같은 후크부(24)와 걸림턱(20)의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커버(22)가 고정구 본체(10)에 또는 고정구 본체(10)으로부터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레일(18)은 커버(22)를 안내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4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10)의 구조는,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돌출벽부(12)가 형성되게 되는 일측벽 부분에 대향되는 다른 측벽부분에도 두개의 제2구멍(16)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 본체(10)과 커버(22)의 체결구조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두개의 욕실용 설비를 서로 대향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1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제6도에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2사용상태도를 도시하며, 제7도에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의 제3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고정구에는 휴지걸이(30)및 뚜껑(32)가 설치되고, 이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제1구멍(14)및 제2구멍(16)이 각각 하나씩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6도에 있어서, 고정구에는 옷걸이(28)이 각각 양측에 설치되고, 제7도에 있어서, 고정구에는 비누 지지대(34)및 양치용 컵지지대(36)이 서로 대향적으로 설치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는 제1구멍(14)및 제2구멍(16)이 각각 두개씩 형성되지만, 상기 제1구멍(14)및 제2구멍(16)중의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와 같은 고정구의 사용중에 커버를 다양하게 교체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선하고 쾌적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에 따라, 커버를 간단하게 교체시킴으로써 요구도에 따라 고정구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미려한 외관과 쾌적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고정구의 수선 또는 교체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벽에 보울트 구멍(26)이 형성되고 측벽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개 이상의 돌출벽부(12)를 포함하는 고정구 본체(10), 및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돌출벽부(12)들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을 덮게되는 커버(22)를 구비하고 ;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하나의 측벽부분에 욕실용 설비(28,30,32,34,36)을 결착시키기 위한 구멍(14)가 형성되며 ; 돌출벽부(12)들의 내면에는 커버(22)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8)이 형성되고, 커버(22)에는 후크부(24)가 형성되며, 고정구 본체(10)에는 상기 후크부(24)를 체결시키기 위한 걸림턱(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욕실용설비를 결착시키기 위한 구멍(16)이 상기 하나의 측벽부분을 제외한 다른 측벽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KR2019940032900U 1994-12-05 1994-12-05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KR970005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00U KR970005499Y1 (ko) 1994-12-05 1994-12-05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00U KR970005499Y1 (ko) 1994-12-05 1994-12-05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08U KR960020008U (ko) 1996-07-18
KR970005499Y1 true KR970005499Y1 (ko) 1997-06-05

Family

ID=194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900U KR970005499Y1 (ko) 1994-12-05 1994-12-05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43Y1 (ko) * 2012-01-18 2013-04-23 주식회사 바스텍 욕실 걸이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43Y1 (ko) * 2012-01-18 2013-04-23 주식회사 바스텍 욕실 걸이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08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499Y1 (ko) 욕실용 설비결착 고정구
KR940002084Y1 (ko) 욕실용 걸이구
JPH0511785Y2 (ko)
KR200306731Y1 (ko) 욕실용 물품걸이 고정구
JPS6014834Y2 (ja) 掛具
JP2528818Y2 (ja) カウンターの取り付け構造
KR200408121Y1 (ko) 욕실용 악세사리 홀더
JPH0719355Y2 (ja) 浴槽へのエプロン取付構造
JPH0746231Y2 (ja) 浴槽のエプロン取付構造
JPH036692Y2 (ko)
JP2540736Y2 (ja) アクセサリー部材の支持構造
KR200146213Y1 (ko) 욕실용품대 결착구조
JP3468142B2 (ja) ニースペース付収納ユニット
JP2567090Y2 (ja) 洗面化粧台
KR19990007968U (ko) 세면대
KR200263037Y1 (ko) 조립식 고정대
JPH11172937A (ja) 洗面器置き台の取り付け構造
KR200368916Y1 (ko) 세면대
JPH0425030Y2 (ko)
KR200254623Y1 (ko) 비누 걸이구
KR200281477Y1 (ko) 비누걸이
JP2507344Y2 (ja) 把手の構造
JP3870898B2 (ja) 握りバーを備えた浴室
JPH0736555Y2 (ja) 洗面化粧台のタオルバー固定構造
KR920004863Y1 (ko) 수건걸이를 갖는 도어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