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228Y1 -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228Y1
KR970005228Y1 KR2019940016126U KR19940016126U KR970005228Y1 KR 970005228 Y1 KR970005228 Y1 KR 970005228Y1 KR 2019940016126 U KR2019940016126 U KR 2019940016126U KR 19940016126 U KR19940016126 U KR 19940016126U KR 970005228 Y1 KR970005228 Y1 KR 970005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flip
hea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353U (ko
Inventor
송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6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228Y1/ko
Publication of KR960003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힌지수단 결합 단계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5 : 덮개
5-1 : 힌지돌기 31 : 힌지봉
31-1 : 제1직경부 31-2 : 제2직경부
31-3 : 고정편 32 : 스프링
33 : 힌지헤드 33' : 테이퍼면
34 : 힌지가이드 34-1 : 고정돌기
34-2 : 고정홈 35 : 나사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덮개를 열거나 닫은 상태에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플립플롭 힌지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제1도와 같이 도시할 수 있는 바, 무선전화기의 커버 플립플롭장치에서, 무선전화기 하우징(1) 전면 하부 양측에 힌지홈(1-1)이 형성되고, 힌지홈(1-1)에서 덮개(5)의 힌지돌기(5-1)가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덮개(5)가 다이얼부를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힌지수단은 힌지공(1-3)에 끼움고정되도록 부래킷공(2-1)을 가진 v형 힌지브래킷(2)과, 힌지브래킷(2)에 헤드(3-1)가 걸리며 힌지봉(3-2)이 브래킷공(2-1) 및 힌지공(1-3)을 통해 노출되어 힌지돌기(5-1)에 결합되는 힌지체(3)와, 힌지체(3)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4)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힌지체(3)의 힌지봉(3-2)이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결합되어 있다가 덮개(5)를 열면 일정각도로 열리게 된다.
이 경우 힌지수단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제2도와 같이 하우징(1)의 힌지공(1-3)에 힌지브래킷(2)(제2도에는 도시를 생략함)을 일치시키고 이어 힌지체(3)의 힌지봉(3-2)을 끼우고(A), 힌지스프링(4)을 끼움고정시켜(B∼D), 힌지체(3)가 좌우이동하면서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조립된다.
이때 열려져 있을때에서는 힌지체(3)의 헤드(3-1)의 테이퍼면(3-3)이 힌지브래킷(20)의 양면과 당접하여 열려진 각도(보통 135℃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충격에 의해 그 이상으로 열리거나 닫힐경우에는 테이퍼면(3-3)이 힌지브래킷(2)의 양면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헤드(3-1) 주연이 힌지브래킷(2) 내면을 따라 회전한다.
그러다가 닫히는 순간에는 상호 반대편 테이퍼면(3-3)과 힌지브래킷(2)의 양면이 결합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우징(1)고 덮개(5)가 힌지작용하여 개폐되는 구조는 힌지체(3)를 이루는 힌지봉(3-2)과 헤드(3-1)가 일체로 되어 힌지돌기(5-1) 및 하우징(1)의 힌지공(1-3)을 좌우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힌지돌기(5-1) 및 하우징(1)의 힌지봉(3-2)의 좌우이동을 여유 공차가 있어야하며, 이는 실제로 약 3∼5° 정도는 저절로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덮개(5)가 쉽게 분리되며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힌지체에서 힌지봉과 헤드를 분리시켜 헤드만 힌지봉에서 수평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하여 덮개를 개폐시키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에서, 덮개에 고정되며 2단 직경을 갖는 힌지봉과, 힌지봉에 정위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스프링에 탄발되며 외주양측에 테이퍼면이 분리형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덮개가 힌지 수단에 의해 하우징(1)과 개폐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에서, 덮개(5)에 고정되며 2단 직경을 갖는 힌지봉(31)과, 힌지봉(31)에 정위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스프링(32)에 탄발되며 외주양측에 테이퍼면(33)이 있는 분리형 힌지헤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봉(31)은 일측은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고정되는 고정편(31-3)을 이루고, 다른측은 나사(35)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봉(31)의 제1직경부(31-1)는 힌지헤드(33)가 유착되고, 제1직경부(31-1)보다 작은직경의 제2직경부(31-2)에는 힌지가이드(34)가 유착되고, 힌지헤드(33)와 힌지가이드(34) 사이의 힌지봉(31)에는 힌지헤드(33)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이 지워진다.
상기 힌지가이드(34)의 저면은 하우징(1)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기(3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스프링(32)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3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5도와 같이 힌지봉(31)의 제1직경부(31-1)에 힌지헤드(33)를 끼우고, 이어 스프링(32)을 끼운다음 힌지가이드(34)를 제2직경부(31-2)에 끼운다. 이때 스프링(32)은 힌지가이드(34)의 고정홈(34-2)에 일단을 고정시킨다. 이어 나사(35)를 힌지봉에 결착시켜 힌지가이드(34)가 나사(35)헤드에 의해 힌지봉(3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는 제4도와 같이 단면상태로 예시할 수 있고, 하우징(1)에 고정돌기(34-1)를 끼우고 고정편(31-3)이 하우징(1)의 힌지공(1-3)을 통해 힌지홈(1-1) 부위에 노출되게한 후 제3도에 보인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결착시키면 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본 고안은 고정편(31-3)이 힌지돌기(5-1)에 단지 끼워져있고, 덮개(5)와 함께 힌지봉(31)이 회전하면 힌지 브래킷(2)의 테이퍼면이 힌지헤드(33)의 테이퍼면(33')과 분리되어 힌지헤드(33)가 하우징(1) 쪽으로 밀리고, 덮개(5)가 열리거나 닫히면 다시 테이퍼면이 당접하여 그 위치에 세팅된다. 따라서 힌지헤드(33)만 좌우이동하여 개폐상태를 유지토록하므로 힌지봉(31)과 힌지돌기(5-1)는 공차없이도 조립사용 가능케되어 정밀한 덮개 작용을 가능케하고, 힌지수단은 제4도와 같이 조립하여 하우징(10)에 끼우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덮개용 힌지수단을 이루는 힌지헤드를 힌지봉과 분리시킨 구조에 의해 덮개와 힌지봉이 공차없이 결착 가능케되므로 덮개의 고정이 정밀해지고, 힌지헤드 탄발용 스프링을 힌지봉에 유착시킨 힌지가이드에 고정시켜 조립하므로 별도로 스프링을 하우징에 안착시킬 필요가 없게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무선전화기의 덮개가 힌지 수단에 의해 하우징(1)과 개폐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에서, 덮개(5)에 고정되며 2단 직경을 갖는 힌지봉(31)과, 힌지봉(31)에 정위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스프링(32)에 탄발되며 외주양측에 테이퍼면(33')이 있는 분리형 힌지헤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힌지헤드만 분리이동하면서 플립플롭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봉(31)의 일측은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고정되는 고정편(31-1)을 이루고, 다른측은 나사(35)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봉(31)의 제1직경부(31-1)는 힌지헤드(33)가 유착되고, 제1직경부(31-1)보다 작은 직경의 제2직경부(31-2)에는 힌지가이드(34)가 유착되고, 힌지헤드(33)와 힌지가이드(34) 사이드의 힌지봉(31)에는 힌지헤드(33)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힌지가이드(34)의 저면은 하우징(1)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기(3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스프링(32)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3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KR2019940016126U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970005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26U KR970005228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26U KR970005228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53U KR960003353U (ko) 1996-01-22
KR970005228Y1 true KR970005228Y1 (ko) 1997-05-27

Family

ID=1938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126U KR970005228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2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1766A1 (fr) * 1995-11-29 1997-05-30 Philips Electronics Nv Poste telephonique comportant un volet rota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53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EP1703705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AU655027B2 (en)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GB2337790A (en) Hinge for a mobile radiotelephone
US20060143864A1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2005699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0337788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US7493674B2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168133B2 (en) Hing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970005228Y1 (ko)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US75802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KR20040104358A (ko) 원활한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200382006Y1 (ko) 슬라이드형 핸드폰 케이스
KR20050089106A (ko) 스프링 댐퍼 장치
KR200165026Y1 (ko)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940025244A (ko) 전화기의 버튼 커버 개폐장치
KR940027373A (ko)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절첩장치
KR1006780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4929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2390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트랙
KR100813635B1 (ko) 슬라이드 장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433143Y1 (ko)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