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26Y1 -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26Y1
KR200165026Y1 KR2019940016136U KR19940016136U KR200165026Y1 KR 200165026 Y1 KR200165026 Y1 KR 200165026Y1 KR 2019940016136 U KR2019940016136 U KR 2019940016136U KR 19940016136 U KR19940016136 U KR 19940016136U KR 200165026 Y1 KR200165026 Y1 KR 200165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hinge
cover
flo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354U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40016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26Y1/ko
Publication of KR960003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 중앙 양측에 플립플롭홈이 있으며 양 플립플롭홈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일정각도에서만 왕복회전 가능케하는 덮개 결착용 힌지봉과, 힌지봉 상부의 본체에 관통된 인서트공과 인서트공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립플롭홈에 탄발푸시되는 푸시봉을 가지는 누름수단으로 이루어진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이며, 힌지봉을 덮개에 공차없이 끼우므로 덮개의 작동이 정밀해지고 누름수단으로 개폐시 눌러주므로 열림닫힘상태를 부드럽게 세팅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힌지수단 결합 단계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3 : 힌지공
5 : 덮개 5-1 : 힌지돌기
31 : 힌지봉 31-1 : 플립플롭홈
31-2 : 돌기 31-3 : 헤드
31-4 : 고정핀 31-5 : 돌기안내반홈
31-6 : 만곡면 40 : 누름수단
41 : 인서트공 41-1 : 너트부
42 : 푸시봉 43 : 인서트
44 : 서포트 45 : 스프링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덮개를 열거나 닫은 상태에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플립플롭 힌지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제1도와 같이 도시할 수 있는 바, 무선전화기의 커버 플립플롭장치에서, 무선전화기 하우징(1) 전면하부 양측에 힌지홈(1-1)이 형성되고, 힌지홈(1-1)에서 덮개(5)의 힌지돌기(5-1)가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덮개(5)가 다이얼부를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힌지수단은 힌지공(1-3)에 끼움고정되도록 브래킷공(2-1)을 가진 v형 힌지브래킷(2)과, 힌지브래킷(2)에 헤드(3-1)가 걸리며 힌지봉(3-2)이 브래킷공(2-1) 및 힌지공(1-3)을 통해 노출되어 힌지돌기(5-1)에 결합되는 힌지체(3)와, 힌지체(3)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힌지스프링(4)으로 이루어 진다.
이는 힌지체(3)의 힌지봉(3-2)이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결합되어 있다가 덮개(5)를 열면 일정각도로 열리게 된다.
이경우 힌지수단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제2도와 같이 하우징(1)의 힌지공(1-3)에 힌지브래킷(2)(제2도에는 도시를 생략함)을 일치시키고 이어 힌지체(3)의 힌지봉(3-2)을 끼우고(A), 힌지스프링(4)을 끼움고정시켜(B∼D), 힌지체(3)가 좌우이동하면서 힌지 기능을 수행토록 조립된다.
이때 열려져 있을때에서는 힌지체(3)의 헤드(3-1)의 테이퍼면(3-3)이 힌지브래킷(20)의 양면과 당접하여 열려진 각도(보통 135℃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충격에 의해 그 이상으로 열리거나 닫힐경우에는 테이퍼면(3-3)이 힌지브래킷(2)의 양면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헤드(3-1) 주연이 힌지브래킷(2) 내면을 따라 회전한다.
그러다가 닫히는 순간에는 상호 반대편 테이퍼면(3-3)과 힌지브래킷(2)의 양면이 결합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우징(1)과 덮개(5)가 힌지작용하여 개폐되는 구조는 힌지체(3)를 이루는 힌지봉(3-2)과 헤드(3-1)가 일체로 되어 힌지돌기(5-1) 및 하우징(1)의 힌지공(1-3)을 좌우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힌지돌기(5-1) 및 하우징(1)의 힌지봉(3-2)의 좌우이동용 여유 공차가 있어야 하며, 이는 실제로 약 3∼5° 정도는 저절로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덮개(5)가 쉽게 분리되며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덮개에 일체로 끼움공정되는 힌지봉에 플립플롭홈을 형성하고, 힌지봉은 누름수단에 의해 개폐상태를 유지토록하는 힌지방식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외주 중앙 양측에 플립플롭홈이 있으며 양 플립플립홈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일정각도에서만 왕복회전 가능케하는 덮개 결착용 힌지봉과, 힌지봉 상부의 본체에 관통된 인서트공과 인서트공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립플롭홈에 탄발푸시되는 푸시봉을 가지는 누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에 힌지수단을 이용하여 덮개(5)가 개폐되는 무선전화기 덮개 플립플롭 장치에서, 외주중앙 양측에 플립플롭홈(31-1)이 있으며 양 플립플롭홈(31-1) 반대편 외주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기(31-2)가 돌출되어 일정각도만 왕복회전 가능케하는 덮개 결착용 힌지봉(31)과 한지봉(31) 상부의 본체이 관통된 인서트공(41)과, 인서트공(4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립플롭홈(31-1)에 탄발 푸시되는 푸시봉(42)을 가지는 누름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봉(31)은 내측에 인지공(1-3)에 끼움 고점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31-3)가 있고, 외측에는 덮개(5)의 인지돌기(5-1)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핀(3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공(1-3)은 상기 돌기(31-2)의 왕복회전 각도를 제공하는 돌기안내반홈(31-5)을 가짐이 요구된다.
상기 누름수단(40)은 힌지공(1-3)이 있는 하우징(1)에 덧살을 붙여 힌지공(1-3)과 관통되며 너트부(41-1)가 있는 인서트공(41)을 이루는 인트(43)와, 상기 인서트(41)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는 푸시봉(42)과, 상기 푸시봉(42)을 고정시키며 인서트공(41)의 너트부(41-1)와 결합되는 스포트(44)와, 상기 스포트(44)와 푸시봉(42) 시이에서 푸시봉(42)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플롭홈(31-1)의 이웃하는 쪽 모서리는 만곡면(31-6)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분해시킨 부품을 조립하는 바, 힌지봉(31)을 힌지공(1-3)에 끼우고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고정편(31-4)을 끼움고정시킨다. 이어 인서트(43)의 인서트공(41)에 푸시봉(42)와, 스프링(45) 및 스포트(44)를 차례로 끼우고 스포트(44)와 너트부(41-1)를 나사결합시킨다. 이때의 단면구조는 제4도와 같은 상태로 되며, 푸시봉(42)이 힌지봉(31)의 플립플롭롭(31-1)에 탄발 안착되어 덮개가(5)가 닫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덮개(5)를 열면 만곡면(31-6)을 따라 푸시봉(42)이 쉽게 상승하므로 열릴때에는 큰힘이 들지않고 부드럽게 열수 있다. 이렇게 덮개(5)를 열어 완전열림상태(하우징 기준으로 135°로 열린상태)가 되면(즉, 제4도에서 덮개(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반대편 플립플롭홈(31-1)에 푸시봉(42)이 안착되면) 덮개(5)는 점선상태로 되어 열림이 멈추게 된다.
물론 본고안에서는 힌지봉(31)에 돌기(31-2)를 형성하고 힌지공(1-3)에도 돌기안내반홈(31-5)을 형성하였기에 135°이상의 둔각 상태로는 열리지 않게된다.
결국 본고안은 힌지봉(31)이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공차없이 끼움고정되고, 덮개(5)를 따라 함께 힌지공(1-3) 내에서 회전하며, 이때 힌지봉(31)의 플립플롭홈(31-1)에 누름수단(40)의 푸시봉(42)이 눌러 열림, 닫임상태를 세팅할 수 있어 개폐작동이 정밀하고 부드럽게 수행가능케 된다. 아울러 조립역시 단순히 힌지봉(31)을 끼우고 누름수단을 끼우면되므로 초보자라도 쉽게 조립가능하여 원가절감에 기여한다.

Claims (5)

  1. 하우징에 힌지수단을 이용하여 덮개(5)가 개폐되는 무선전화기 덮개 플립플롭 장치에서, 외주중앙 양측에 플립플롭홈(31-1)이 있으며 양 플립플롬홈(31-1) 반대편 외주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기(11-2)가 돌출되어 일정각도만 왕복회전 가능케하는 덮개 결착용 힌지봉(31)과, 힌지봉(31) 상부의 본체에 관통된 인서트공(41)과, 인서트공(4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립플롭홈(31-1)에 탄발 푸시되는 푸시봉(42)을 가지는 누름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봉(31)은 내측에 힌지공(1-3)에 끼움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31-3)가 있고, 외측에는 덮개(5)의 힌지돌기(5-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3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공(1-3)은 상기 돌기(31-2)의 왕복회전 각도를 제공하는 돌기안내반홈(31-5)을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림플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40)은 힌지공(1-3)이 있는 하우징(1)에 덧살을 붙여 힌지공(1-3)과 관통되며 너트부(41-1)가 있는 인서트공(41)을 이루는 인서트(43)와, 상기 인서트(41)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지는 푸시봉(42)과, 상기 푸시봉(42)을 고정시키며 인서트공(41)의 너트부(41-1)와 결합되는 스포트(44)와, 상기 스포트(44)와 푸시봉(42) 사이에서 푸시봉(42)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홈(31-1)의 이웃하는 쪽 모서리는 만곡면(31-6)을 이룸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장치.
KR2019940016136U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200165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36U KR200165026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136U KR200165026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54U KR960003354U (ko) 1996-01-22
KR200165026Y1 true KR200165026Y1 (ko) 2000-01-15

Family

ID=1938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136U KR200165026Y1 (ko) 1994-06-30 1994-06-30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354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US4780928A (en) Spring biased hinge for spectacle frames
KR19990088271A (ko) 힌지조립체
KR970031643A (ko) 회전 커버를 구비한 전화기(Telephone set comprising a rotating cover)
KR20070027576A (ko)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KR100991463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US6122801A (en) Hinge mechanism
KR200165026Y1 (ko)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100988605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970005228Y1 (ko)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EP12050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 cover of a mobile phone
KR200374143Y1 (ko) 힌지어셈블리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394685Y1 (ko) 스윙힌지 모듈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46616Y1 (ko) 힌지
KR200165505Y1 (ko) 전화기의 플립 힌지장치
KR200339318Y1 (ko) 힌지조립체
KR20020081664A (ko) 힌지장치
KR200172287Y1 (ko) 휴대용통신단말기의커버장치
KR100496967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KR20050041477A (ko) 힌지조립체
KR100483720B1 (ko) 휴대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