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993A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993A
KR20020056993A KR1020000087220A KR20000087220A KR20020056993A KR 20020056993 A KR20020056993 A KR 20020056993A KR 1020000087220 A KR1020000087220 A KR 1020000087220A KR 20000087220 A KR20000087220 A KR 20000087220A KR 20020056993 A KR20020056993 A KR 2002005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cam
mountain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623B1 (ko
Inventor
정수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8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623B1/ko
Priority to US10/027,022 priority patent/US6963766B2/en
Priority to JP2001398593A priority patent/JP2002276643A/ja
Priority to EP01130992A priority patent/EP1220516A3/en
Priority to CN01138391A priority patent/CN1364019A/zh
Publication of KR2002005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캠과 힌지샤프트가 상호 접촉하여 슬라이딩 작용으로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캠의 산형부를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폴더의 개방동작시 힌지샤프트의 산형부가 힌지캠의 산형부의 급경사부를 타고 넘도록 하여 개방각도를 줄이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하였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를 작은 각도로 손쉽에 개방시킬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화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이에 가장 적합한 단말기로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좀더 소형화됨과 동시에 다기능화된 제품을 생산하는데 경주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는 일정 개폐각도로 개방되도록 힌지암상에 소정의 힌지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힌지모듈은 폴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의 산형부와 접촉회전할때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캠, 상기 힌지캠을 가압하는 스프링이 일정 힌지하우징상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힌지캠은 중앙에 골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산형부가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샤프트의 산형부가 상기 힌지캠의 골형부에서 산형부를 타고 넘으면서 폴더나 플립(플립 타입 단말기의 경우)의 일정 개폐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캠의 산형부는 좌우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개폐각도의 반이 이동거리가 되는데, 이는 플립타입의 경우 사용자의 개폐동작에 문제가 없으나, 폴더타입 단말기의 경우 개방시 손동작이 밖을 향하도록 조작되기 때문에 불편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개방시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시 행정거리를 짧게 하므로써 작은 각도로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모듈로 구성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일측에 산형부를 갖고, 타측에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의 단에 한쌍의 평면과 곡면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폴더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와 마주보게 놓이고, 상기 힌지 샤프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 사이에 골형부를 가지며, 상기 산형부는 좌우 비대칭으로 완만한 경사부와 급경사부를 이루며, 소정의 고정 돌기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힌지 캠;
회전축방향으로 놓이고, 일단이 상기 힌지 캠의 고정돌기에 조립되며, 상기힌지 캠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힌지샤프트의 단이 일부 돌출되며, 힌지캠, 힌지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힌지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온 후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오프 후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의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힌지모듈20: 힌지샤프트
30: 힌지모듈31: 산형부
32: 골형부힌지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 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온 후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오프 후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120) 및 상기 본체(110)상에서 상기 폴더(120)를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모듈(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폴더(120)상의 상기 본체(110)와 접하는 면상에는 이어피스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이어피스부(140)의 하측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인 엘씨디 모듈(LCD Module)(150)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상에는 키패드부(160)와 마이크장치(170)가 차례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상에는 상기 폴더(120)를 본체(110)상에서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버튼(18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의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10)은 힌지 하우징(11)과, 힌지 하우징(11)에 순차적으로 회전축 A1방향으로 힌지 샤프트(20), 힌지 캠(30) 및 힌지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20)나 힌지 캠(30)은 회전축방향으로 조립되기 위하여 원통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힌지 하우징(11)에 수납된 힌지 샤프트(20), 힌지 캠(30) 및 힌지 스프링(40)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힌지 커버(12)가 추가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샤프트(20)의 일측은 회전축방향으로 샤프트(21)이 연장되고,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산형부(22)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1)은 원통형이고, 상기 샤프트(21)의 단부에는 한쌍의 평면(21a)과 한쌍의 곡면(21b)가 각각 마주보게 위치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곡면(21b)이 마주보는 방향과 산형부(22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직각이다.
상기 힌지 샤프트(20)와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힌지캠(30)은 일측으로 산형부(31)와 골형부(3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스프링 고정돌기(34)가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더욱이, 상기 힌지 캠(30)의 하측에는 가이드 돌기(35)(도 5에 도시됨)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5)는 힌지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13)(도 5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회전축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한다. 상기 산형부(31)은 마주보게 한쌍이 형성되는데, 좌우 비대칭으로 완만한 경사부(31a)와 급경사부(31b)를 이룬다.
상기 힌지 스프링(40)은 상기 힌지 캠(30)과 힌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 스프링(40)의 일단은 힌지캠과 접촉하고, 타단은 힌지 하우징의 내부면상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스프링(40)의 탄성력은 축방향 A1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스프링(40)은 상기 돌기(3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 모듈(10)은 힌지 하우징(11)상에 힌지 샤프트(20)과, 힌지 캠(30)과, 힌지 스프링(40)이 순차적으로 수납된 후 소정의 커버(12)를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상기 힌지모듈(10)은 상기 폴더(120)의 개방동작시, 상기 힌지샤프트(20)의 산형부(22)가 상기 힌지캠(30)의 산형부(31)의 급경사부(31b)를 타고 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폴더의 개방동작시에는 작은 각도로 손쉽에 개방될 수 있으며, 폐쇄시에는 힌지샤프트(20)의 산형부(22)가 힌지캠(30)의 산형부(31)의 완만한 경사부(31a)를 타고 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행정거리가 길어지고 여유있게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은 폴더의 개방시 짧은 행정 각도로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모듈로 구성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일측에 산형부를 갖고, 타측에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의 단에 한쌍의 평면과 곡면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폴더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와 마주보게 놓이고, 상기 힌지 샤프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 사이에 골형부를 가지며, 상기 산형부는 좌우 비대칭으로 완만한 경사부와 급경사부를 이루며, 소정의 고정 돌기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힌지 캠;
    회전축방향으로 놓이고, 일단이 상기 힌지 캠의 고정돌기에 조립되며, 상기 힌지 캠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힌지샤프트의 단이 일부 돌출되며, 힌지캠, 힌지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힌지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폴더의 개방동작시, 상기 힌지샤프트의 산형부가 상기 힌지캠의 산형부의 급경사부를 타고 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2000-0087220A 2000-12-30 2000-12-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038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20A KR100383623B1 (ko) 2000-12-30 2000-12-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US10/027,022 US6963766B2 (en) 2000-12-30 2001-12-20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1398593A JP2002276643A (ja) 2000-12-30 2001-12-27 ヒンジモジュールを具備する携帯用無線端末機
EP01130992A EP1220516A3 (en) 2000-12-30 2001-12-28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CN01138391A CN1364019A (zh) 2000-12-30 2001-12-30 用于便携式无线电终端的合叶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20A KR100383623B1 (ko) 2000-12-30 2000-12-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93A true KR20020056993A (ko) 2002-07-11
KR100383623B1 KR100383623B1 (ko) 2003-05-14

Family

ID=1970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220A KR100383623B1 (ko) 2000-12-30 2000-12-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3766B2 (ko)
EP (1) EP1220516A3 (ko)
JP (1) JP2002276643A (ko)
KR (1) KR100383623B1 (ko)
CN (1) CN13640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084B1 (ko) * 2005-12-05 2007-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KR100800894B1 (ko) * 2004-03-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3563A1 (de) * 2002-07-02 2004-0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uwon Automatisch klappbares Mobiltelefon
KR100629405B1 (ko) * 2002-10-17 2006-09-29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969747B1 (ko) * 2003-01-06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4211864A (ja) * 2003-01-08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
JP4026506B2 (ja) 2003-02-14 2007-1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AU2003303987A1 (en) * 2003-03-03 2004-09-28 M2Sys Co., Ltd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77298B1 (ko) * 2003-05-12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교체장치
KR100595631B1 (ko) * 2003-12-1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N101126411B (zh) * 2004-02-04 2010-06-02 Phoenixkorea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
KR20050096745A (ko) * 2004-03-31 200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구조
JP4111957B2 (ja) * 2004-04-09 2008-07-02 フェニックス コリア 株式会社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CN100448337C (zh) * 2004-06-17 2008-12-3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
KR100705028B1 (ko) * 2004-12-10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TWI314036B (en) * 2005-07-28 2009-08-21 Sanyo Electric Co Hinge mechanism of foldable machine and fordable machine with the same hinge mechanism
US7930803B2 (en) * 2005-08-02 2011-04-26 Sanyo Electric Co., Ltd. Foldable device
JP4326510B2 (ja) * 2005-08-02 2009-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み機器
US7383618B2 (en) * 2005-11-23 2008-06-10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portable device
KR100849318B1 (ko) * 2006-08-22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912523B2 (en) * 2008-06-18 2011-03-22 Kyocera Corporation Crescent hinge
US9423480B2 (en) 2008-10-27 2016-08-23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5369A (ja) 1994-08-24 1996-03-08 Nifco Inc ヒンジ部材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US5996178A (en) * 1997-10-15 1999-12-07 Motorola, Inc. Hinge suitable for use in a foldable device
GB2333558A (en) 1998-01-26 1999-07-28 Motorola Inc Hing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266516B1 (ko) *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US6115620A (en) 1998-05-20 2000-09-05 Motorola, Inc. Mode-switch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BR9901642A (pt) * 1998-05-26 2000-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nte portát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94B1 (ko) * 2004-03-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8084B1 (ko) * 2005-12-05 2007-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86700A1 (en) 2002-07-04
JP2002276643A (ja) 2002-09-25
EP1220516A3 (en) 2004-01-02
EP1220516A2 (en) 2002-07-03
CN1364019A (zh) 2002-08-14
KR100383623B1 (ko) 2003-05-14
US6963766B2 (en)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62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0463777B1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51471B1 (ko)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60023411A1 (en) Swing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KR2005003705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700198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843714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006977A (ko) 힌지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425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80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054753A (ko)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힌지축이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
KR200319728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100760855B1 (ko) 휴대 단말기용 로터리 힌지부재
KR20033430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50000199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3607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23554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