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848A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848A
KR20070019848A KR1020050073796A KR20050073796A KR20070019848A KR 20070019848 A KR20070019848 A KR 20070019848A KR 1020050073796 A KR1020050073796 A KR 1020050073796A KR 20050073796 A KR20050073796 A KR 20050073796A KR 20070019848 A KR20070019848 A KR 2007001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ousing
guide shaft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훈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848A/ko
Publication of KR2007001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단말기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그 내부에 점성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핑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하우징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댐핑 수단을 사용하여 그 회동 속도를 완화시킴으로써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단말기의 개폐동작에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단말기, 힌지, 회전, 댐핑, 디스크, 점성물질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댐핑 수단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힌지 장치 102 : 힌지 샤프트
103 : 힌지 캠 139 : 탄성수단
104 : 댐퍼 하우징 105 : 디스크 부재
107 : 가이드 축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게임 폰, 카메라 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초기에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게임, 음악, 동영상 파일 등의 전송, 온라인 게임,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더불어, 이동통신 서비스의 콘텐츠 분야의 확대는 단말기의 기능과 디자인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일반적인 피사체 촬영 뿐만 아니라 향후 화상통화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 시장에 가장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단말기로서 폴더형 단말기가 있다. 일반적인 폴더형 단말기는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성이다. 이러한 힌지 장치는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국내 등록특허 제296,038호(2001년 5월 7일; 미국 등록특허 제6,292,980호, 2001년 9월 25일)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힌지 장치는 탄성수단과 한 쌍의 힌지 캠 수단을 이용하여 직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장치들은 탄성수단과 힌지 캠 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탄성수단의 탄성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플립 커버 또는 폴더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말기의 개방 또는 폐쇄 완료 시점에서 충격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단말기의 외관,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내부 회로 장치 등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 커버 또는 폴더의 회동 속도를 완화시켜 개폐 동작 시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을 회 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단말기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그 내부에 점성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핑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회동 속도를 완화시켜 개폐 동작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댐핑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 장치(100)는 탄성수단(139), 힌지 캠(103), 힌지 샤프트(102)를 순차적으로 힌지 하우징(101)에 수용하면서, 상기 댐핑 수단(140)이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일단에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101)은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일단이 개방단으로, 타단은 일부 개방단으로 구성된 수용공간(111)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 하우징(101)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고정된 채로 수용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몸체(123)와 상기 몸체(123)의 일단에 형성된 산형부(12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23)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홀(125)과, 상기 힌지축(A)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27)은 상기 결합홀(125)을 경유하여 상기 몸체의 양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상기 산형부(121)가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몸체(123)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 중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된다.
결국, 상기 힌지 하우징(101)이 단말기의 한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102)가 단말기의 다른 하우징에 고정된 채로 그의 일부분이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핑 수단(140)은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결합되면서, 상기 힌지 샤프트(102)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대한 힌지 샤프트(102)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하우징(101)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힌지 장치의 모듈화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힌지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하우징과는 별도로 제작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댐핑 수단(140)은 댐퍼 하우징(104) 내에 설치된 디스크 부재(105)과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에 충진되는 그리이스(grease)와 같은 점성물질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107)을 통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축(107)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의 일단이 상기 댐핑 수단(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결합홀(125)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축(107)의 타단에는 핀 홀(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홀(171)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관통홀(127)과 정렬된다. 상기 가이드 축(107)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축(107)의 핀 홀(171)이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관통홀(127)과 정렬되면,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외주면으로부터 고정핀(173)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축(107)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댐퍼 하우징(104)은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형상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갖는 실린더 형태이며, 그 내부는 상기 디스크 부재(105) 설치 및 점성물질 충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댕퍼 하우징(104)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107)이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제품에 따라 상기 가이드 축 (107)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하우징(104)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축(107)의 외주면에는 오-링(O-ring)(141)이 결합된다. 상기 오-링(141)은 상기 댐퍼 하우징(104)의 내벽에 밀착되어 점성물질이 상기 댐퍼 하우징(104)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댕핑 수단(140)의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댐퍼 하우징(104)의 타단은 개방단으로 구성되며, 조립이 완료된 후 개방단에 캡(106)이 장착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104)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디스크 부재(105)는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성 디스크들(151)과, 상기 고정성 디스크(151)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에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성 디스크(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의 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성 디스크(151)들과 함께 상기 힌지축(A) 상에 번갈아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성 디스크(151)들이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들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들은 상기 가이드 축(107)의 일단부 외주면 상에 고정된다. 결국,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는 상기 가이드 축(107)을 통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 샤프트(102)가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는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 점성물질의 마찰력만으로도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상기 고정성 디스크(151)와 회전성 디스크(153)를 추 가 설치함으로써 상기 점성물질에 의한 마찰력을 더 증가시켜 댐핑 효과를 더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성 디스크(151)와 회전성 디스크(153)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점성물질에 의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점성물질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힌지 하우징(101)에 대한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회전 속도가 완화된다.
상기 힌지 장치(100)는 상기 힌지 캠(103)과 탄성수단(139)에 의해 단말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139)으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수단(139)이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 캠(103)을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캠(103)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산형부(121)와 맞물리는 골형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형부(133) 사이에 또 다른 산형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캠(103)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가 싱기 힌지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 캠(103)이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직선운동 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외주면 일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캠(103)의 단면 형상은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139)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그의 산형부(121)가 상기 힌지 캠(103)의 골형부(13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산형부(121)가 상기 힌지 캠(103)의 골형부(133)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되면, 상기 힌지 캠(103)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39)이 제공하는 탄성력은 상기 힌지 캠(103)을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힌지 캠(103)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그의 산형부(121)가 상기 힌지 캠(103)의 골형부(13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해야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축(107)은 상기 댐핑 수단(140)에 연결된 채로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상기 탄성수단(139), 힌지 캠(10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축(107)의 외경은 상기 힌지 캠(103)에 형성되는 홀의 내경에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힌지 하우징(101), 힌지 캠(103)에 대한 힌지 샤프트(102)의 회전을 안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힌지 하우징(101), 힌지 캠(103), 힌지 샤프트(102) 모두 상기 힌지축(A) 상에 정렬된 상태이며, 상기 힌지 샤프트(102)가 상기 힌지 하우징(101)과 힌지 캠(103)에 대하여 회전하는 때 그 회전축이 상기 힌지축(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상기 가이드 축(107)이 제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 장치(100)가 본체와 폴더로 구성된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그 동작을 살펴 보기로 한다.
폴더가 본체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하면,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산형부 (121)는 상기 힌지 캠(103)의 골형부(133)와 산형부(131) 사이의 경사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캠(103)은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회전력은 폴더를 다시 본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폴더를 더 개방시켜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산형부(121)가 상기 힌지 캠(103)의 산형부(131)를 지나 다음 골형부(131)로 이어지는 경사면에 위치되면, 상기 힌지 장치(100)의 회전력은 폴더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 이상 폴더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힌지 장치(100)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폴더가 개방된다. 즉, 상기 힌지 장치(100)는 일부 구간에서 폴더를 본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 구간에서 폴더를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폴더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작용하는 때, 종래의 힌지 장치들은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폴더의 회동 속도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폴더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개방되는 시점에서 충격이 발생하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되는 동작에서도 이와 동일한 형태의 충격이 발생되었다.
반면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개방시키기 위해 폴더를 회동시키고, 상기 힌지 장치(100)의 구동력이 폴더를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때,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상기 댐핑 수단(140)의 작용에 의해 폴더의 회동 속도가 완화된다. 따라서, 종래의 힌지 장치를 구비한 단 말기와 비교할 때, 상기 힌지 장치(100)를 구비한 단말기는 완전히 개방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 완화 효과는 상기 힌지 장치(100)를 구비한 단말기의 폴더가 회동하여 본체에 밀착되는 시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 힌지 캠(103)에 대한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회전이 상기 가이드 축(107)을 통해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에 전달되고, 상기 댐퍼 하우징(104) 내에서 점성물질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성 디스크(153)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장치(1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폴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의 단말기들, 즉, 플립형, 플립-업 형 단말기들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플립 커버 또는 폴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점성물질과 디스크 부재를 사용하여 폴더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킴으로써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댐핑 수단을 통해 회전 속도가 완화되므로, 단말기 의 개폐동작이 종래의 힌지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에 비해 완만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단말기의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축; 및
    상기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부를 수용하고, 그 내부에 점성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가이드 축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는 댐핑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수단은,
    점성물질이 충진된 댐퍼 하우징;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 고정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성 디스크들과, 상기 고정성 디스크들과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댐퍼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성 디스크로 구성된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성 디스크는 상기 가이드 축의 일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수단은 상기 가이드 축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댐퍼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되는 오-링(O-ring)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힌지 캠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힌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 캠과 대면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 캠이 상기 힌지 샤프트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수단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댐핑 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탄성수단, 힌지 캠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샤프트에 제공된 산형부; 및
    상기 힌지 캠에 제공되어 상기 산형부와 맞물리는 골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산형부가 골형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의 타단부가 상기 힌지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축을 관통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축을 상기 힌지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20050073796A 2005-08-11 2005-08-1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70019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96A KR20070019848A (ko) 2005-08-11 2005-08-1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96A KR20070019848A (ko) 2005-08-11 2005-08-1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48A true KR20070019848A (ko) 2007-02-15

Family

ID=4365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796A KR20070019848A (ko) 2005-08-11 2005-08-1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84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26B1 (ko) * 2007-05-1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929556B1 (ko) * 2008-05-13 2009-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7230B1 (ko) * 2008-08-25 2010-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용 댐퍼
KR100976115B1 (ko) * 2008-01-16 2010-08-16 (주)엘티엠에이피 댐핑 폴더 힌지모듈
WO2010093082A1 (ko) * 2009-02-10 2010-08-19 케이.에이.이(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조립체
KR101028390B1 (ko) * 2008-03-05 2011-04-13 세원정밀주식회사 휴대폰 부품 힌지장치
KR101042916B1 (ko) * 2009-01-21 2011-06-20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26B1 (ko) * 2007-05-1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976115B1 (ko) * 2008-01-16 2010-08-16 (주)엘티엠에이피 댐핑 폴더 힌지모듈
KR101028390B1 (ko) * 2008-03-05 2011-04-13 세원정밀주식회사 휴대폰 부품 힌지장치
KR100929556B1 (ko) * 2008-05-13 2009-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67230B1 (ko) * 2008-08-25 2010-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힌지용 댐퍼
KR101042916B1 (ko) * 2009-01-21 2011-06-20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WO2010093082A1 (ko) * 2009-02-10 2010-08-19 케이.에이.이(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463777B1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034755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700198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KR2002005699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US8082632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b-housing stopper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US8588858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ual hinge axes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60079303A1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US899607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ple-hinges
EP152875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306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회전 힌지 모듈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8425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101173013B1 (ko) 휴대단말기용 스윙 힌지 모듈
KR100630137B1 (ko)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7486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