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065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065Y1
KR970005065Y1 KR2019940001848U KR19940001848U KR970005065Y1 KR 970005065 Y1 KR970005065 Y1 KR 970005065Y1 KR 2019940001848 U KR2019940001848 U KR 2019940001848U KR 19940001848 U KR19940001848 U KR 19940001848U KR 970005065 Y1 KR970005065 Y1 KR 970005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ape
housing
tape cassette
video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783U (ko
Inventor
홍순혁
Original Assignee
새한미디어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미디어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새한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1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065Y1/ko
Publication of KR950025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65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리브 구조를 갖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일부를 확대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하프 업의 저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4도의 B-B선을 절개 도시한 하프 업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7 : 라운드 플레이트
20 : 통기구 23, 24 : 리브
25 : 평면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데크에 장착되어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테이프로 인해 발생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통기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리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가정용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이하 비디오 카세트로 약칭함)로서 널리 보급된 VHS방식의 비디오 카세트는 하프 업(Half up)과 하프다운(Half down)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가아드 판넬 등으로 외관이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그 내측에는 한 쌍의 릴에 감겨진 테이프가 수납되어진다.
이러한 비디오 카세트는 그 내부에 수납되는 한 쌍의 릴 즉, 서플라이 릴 및 테이크 업 릴에 감겨진 테이프가 외부의 인위적인 조건이나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가아드 판넬은 비디오 카세트의 전면부 개폐를 제어하여 그 내부의 테이프에 손 등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디오 카세트를 비디오 데크(Deck)에 장착할 경우에, 데크에 설치된 조작 수단에 의해 비디오 카세트에 설치된 록크 해제 버튼이 밀어 넣어짐으로써 가아드 판넬의 개방을 허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데크에 장착될 경우에 가아드 판넬이 개방된 비디오 카세트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크(도시생략)에 설치된 조작수단에 의해 록크 해제 버튼(3)이 늘려지면 가아드 패널(5)이 개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프 업(7)과 하프 다운(9)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1)의 내측에는 서플라이 릴과 테이프 업 릴에 감겨진 비디오 테이프(11)가 수납되어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전면부(도면의 우하측)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하우징(1)의 일측 상부 즉, 서플라이 릴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통기구(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데크에 장착된 비디오 테이프가 공지의 저작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전되면서 발생시키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전술한 비디오 카세트의 통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리브 구조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제1도의 가아드 판넬이 개방된 하우징의 전면부를 일부 절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은 하프 업(7)과 하프 다운(9)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전면부 대략 중간 부위에는 상기 조립에 의해 달성되는 통기구(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통기구(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업(7)에 형성된 대략 'ㄱ'자상의 리브(21)와 하프 다운(9)에 형성된 대략 'ㄴ'자상의 리브(2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의 리브간격 L2는 대략 4mm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도면의 미설명 부호 13은 테이프가이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하우징(1) 내측에 수납된 테이프의 인출시 가이드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5도는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의 하프 업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4도의 B-B선을 분리 도시한 저면도이다.
상기한 하프 업(7)은 데크에 장착시 로딩 테이프 가이드가 들어가는 포켓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한 리브(21)를 포함하여 테이프가 수납되는 내측부와의 경계로 되는 라운드 플레이트(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프 업(또는 하프 다운)은 통상의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서, 사출 성형시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금형의 게이트는 하프 업의 상측 대략 중간부에 위치된다.
반면, 상기한 리브는 하프 업의 최외각부에 형성되어지는 바, 이 때문에 금형의 게이트로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압력 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곧 리브의 성형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리브는 그 선단이 얇게 경사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굴곡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압입 충전에 상당한 기술적인 어려움을 동반하게 되며, 이는 생산 공정시 다수 제품의 성형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상기한 리브구조는 특히 그 선단이 얇게 형성되어지므로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이젝트 공정시 그 선단 조각이 금형내에 박힌채로 이탈되지 않아, 제품 불량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의 순환을 위해 하우징의 상측부에 마련된 통기구를 형성하는 리브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사출 성형시의 압입충전 저하에 따른 미성형과 이젝트 공정시의 성형품의 깨짐을 실질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리브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프 업과 하프 다운의 결합에 의해 달성되는 하우징과, 한 쌍의 릴에 감겨진 채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납되는 비디오 테이프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된 비디오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가아드 판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테이프의 기계적인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과 공기의 순환을 위해 하우징의 상측부에 통기구를 마련하되 상기 통기구를 구성하는 리브의 종단 절곡부를 라운드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리브의 종단 절곡부와 금형의 게이트와의 거리를 축소하기 위해 통기구의 리브간격 L1을 8∼12mm의 범위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구조를 제안한다.
[작용]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는 이물질과 공기의 순환을 위해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통기구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통기구의 길이를 크게 하여 사출 성형시의 금형의 게이트로부터의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도달 거리를 축소함으로써, 상기 용융수지의 압력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효과적인 압입 충전을 달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통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리브구조는 종단 절곡부가 라운드로 형성됨과 아울러, 종래의 얇게 경사 형성된 선단부를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압입 충전에 의한 제품의 성형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리브구조는 종래의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이젝트 공정시 선단이 얇게 형성됨에 따라 선단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 절곡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로 형성함과 아울러 라운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리브구조를 갖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의 설명부호 1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하우징(1)은 하프 업(7)과 하프 다운(9)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바, 그 내측에는 서플라이 릴(6)과 테이프 업 릴(8)에 감겨진 비디오 테이프(11)가 수납되어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전면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1)의 전면부에는 상기 비디오 테이프(11)를 보호하기 위한 가아드 패널(5)이 마련되어지는 바, 이는 카세트 데크에 설치된 조작수단에 의해 록크 해제 버튼(3)을 눌러줌으로써 개방 허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하우징(1)의 일측 상부 즉, 서플라이 링(6)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통기구(2)가 형성되어지는 바, 이는 데크에 장착된 비디오 테이프가 공지의 조작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먼지 혹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통기구를 구비한 하우징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제1도의 가아드 판넬이 개방된 하우징의 전면부를 일부 절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하우징(1)의 전면부에는 하프 업(7)과 하프 다운(9)의 조립에 의해 달성되는 통기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통기구(20)는 종단 절곡부(도면의 좌측)가 대략 반원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프 업(7)에 형성된 라운드상의 리브(23)와 하프 다운(9)에 형성된 라운드상의 리브(24)결합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통기구(20)를 구성하는 평면부(25)와 각각의 리브(23, 24)사이의 간격 L1은 8∼12mm로 형성되어지는 바, 이는 종래의 통기구(2)에 비해 대략 2 내지 3배가 확대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리브구조는 사출 성형시 금형의 게이트로부터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이 간격을 충분히 축소 성형함과 아울러, 종단 절곡부를 라운드로 형성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2도의 A-A선을 분리 도시한 저면도이다.
상기한 하프 업(7)은 데크에 장착시 로딩 테이프 가이드가 들어가는 포켓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한 리 브(23) 및 통기구(20)를 포함하여 테이프가 수납되는 내측부와의 경계로 되는 라운드 플레이트(1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리브(23)간격은 종래와 달리 확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종단 절곡부도 역시 종래의 경사 형성됨과 달리 라운드 플레이트(17)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는 사출 성형시 금형의 게이트로부터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압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와의 거리차를 충분히 축소 형성함과 아울러 종단 절곡부를 라운드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이물질과 공기의 순환을 위해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통기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리브의 성형 불량에 따른 제품 불량과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이젝트시 파손 발생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과 아울러, 제품 불량에 따른 재료 낭비를 억제함으로써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하프 업과 하프 다운의 결합에 의해 달성되는 하우징과, 한 쌍의 릴에 감겨진 채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납되는 비디오 테이프와, 상기 하우징에서 외부로 인출된 비디오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가아드 판넬로 구성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상측부에 통기구(20)를 형성하되, 상기 통기구(20)를 구성하는 리브(23, 24)를 라운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리브(23, 24)와 금형의 게이트와의 거리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리브(23, 24)와 평면부(25)의 간격을 확대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23, 24)와 평면부(25)의 간격은 L=8∼12mm를 만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리브(23, 24)의 선단부 두께는 라운드 플레이트(17)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구조.
KR2019940001848U 1994-02-01 1994-02-0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KR970005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848U KR970005065Y1 (ko) 1994-02-01 1994-02-0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848U KR970005065Y1 (ko) 1994-02-01 1994-02-0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83U KR950025783U (ko) 1995-09-18
KR970005065Y1 true KR970005065Y1 (ko) 1997-05-22

Family

ID=1937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848U KR970005065Y1 (ko) 1994-02-01 1994-02-0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0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83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604A (en) Tape cartridge
KR940000608B1 (ko) 테이프카세트
US4803575A (en) Tape cassettes having bottom grooves for use in tape recorder having bottom projection in cassette holder
GB2040264A (en) Tape reel for video cassette
KR97000506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리브 구조
GB2203984A (en) Injection moulding composite articles
US4382522A (en) Tape cover of magnetic tape casset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ape cover
US6286676B1 (en) Cassette storage casing
EP1108519B1 (en) Molding method of and injection mould for manufacturing a cassette half.
US6266319B1 (en) Disc cartridge integrally formed of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resin, and molding die therefor
EP0323101B1 (en) A tape cassette having a front lid and a back lid
KR900008099B1 (ko) 테이프 릴 제작방법
JPH0538904Y2 (ko)
US4779157A (en) A Shaft having a groove for a video tape cartridge and metallic molds for its preparation
KR100820970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JPH0519895Y2 (ko)
KR95000565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상부케이스
KR900008797Y1 (ko) 절감형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KR20015060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용 릴다운 스플라인 코어
JPH0329173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867333B2 (ja) カセット収納ケース
EP0568063A2 (en) Ribbed molded cassette base
JP2934233B1 (ja) 射出成形金型
KR200148529Y1 (ko) 비디오 테이프 권취용 팬케이크 허브
JPH05286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