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620Y1 -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620Y1
KR970004620Y1 KR2019940026599U KR19940026599U KR970004620Y1 KR 970004620 Y1 KR970004620 Y1 KR 970004620Y1 KR 2019940026599 U KR2019940026599 U KR 2019940026599U KR 19940026599 U KR19940026599 U KR 19940026599U KR 970004620 Y1 KR970004620 Y1 KR 97000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ushroom
tree
mushroom tre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988U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2019940026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620Y1/ko
Publication of KR960012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2Racks;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버섯나무의 현수상태를 보인 일부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후크볼트와 버섯나무의 체결구조를 보인 확대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한 버섯나무의 결속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4 도는 종래 방법에 의한 버섯나무의 현가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20 : 이송레일
30 : 이송롤러 40 : 걸이봉
41 : 걸이부 42 : 나사부
50 : 후크볼트 51 : 걸고리
52 : 나사부 60 : 고정부재
W : 버섯나무
본 고안은 버섯 종균이 접종된 원목 즉, 버섯나무(木骨 木)를 수직방향으로 달어 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버섯나무를 좁은 공간내에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현수된 버섯나무의 뒤집기와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버섯나무의 집약관리 및 침수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산간등의 노지에서 버섯나무를 관리함에 있어서는, 종균이 접종된 버섯나무 하나 하나를인력으로 이동시켜 가눕히기나 눕히기 또는 세우기등의 공정을 실시하게 되고, 또한 버섯나무의 침수를 위하여 침수조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이를 경운기나 차량등과 같은 운반수단에 일일이 옮겨 실은 다음 침수조로 운반하게 되며, 침수가 완료되면 이를 다시 운반수단에 옮겨 싣고 본래의 세우기장소로 이동시켜야만 하므로, 이와 같은 재래의 버섯나무 관리방법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번거롭고 힘든 세우기 및 이동작업이 수반되는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나무(w)의 중간 상측부(상단으로부터 약 1/3 - 1/4되는 지점)에 그 버섯나무(w)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w1)을 뚫고, 각 버섯나무(w)의 관통공(w1)을 통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봉(1)을 차례로 통과시켜 수개의버섯나무(w)를 철봉(1)에 꿴 다음, 그 철봉(1)의 양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lm 정도)에 평행하게 설치된 수평 지지대(2)(2)의 상측에 걸쳐 둠으로써, 다수의 버섯나무(w)를 집약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한 수평 지지대(2)(2) 하부의 바닥면에는 레일(3)(3)을 설치하여, 버섯나무의 침수시에는 상기 레일(3)(3)을 따라 이동하는 별도의 궤도차량을 이용하여 버섯나무(w)들이 현수된 6-7열의 철봉(1)을 지지대(2)(2)로 부터 들어 올린 다음, 이를 침수조까지 운반하는 버섯나무의 이동방법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각 버섯나무(w)의 중간 상측부에 철봉(1)이 관통되는 직경2.5cm정도의 비교적 큰 관통공(w1)을 뚫어야만 하므로, 이와 같은 버섯나무(w)의 천공작업에는 많은 인력과시간이 소요필 뿐만 아니라, 그 천공작업으로 인하여 천공부 주변의 수피가 벗겨지게 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w1)과 박피부를 통하여 잡균이 만연됨으로써, 버섯의 성장을 저해하고 버섯나무(w)의 사용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철봉(1)에 꿰어진 버섯나무(w)들은 그 간격을 일일이 맞추어 각 버섯나무(w)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특히 철봉(1)에 지지된 각 버섯나무(w)들의 상하위치가 상시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현수되는 것이므로, 각 버섯나무(w)내에 함유된 수분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버섯나무(w)의 상측부분은 쉽게 건조되는 반면, 그 하측부로 갈수록 과습해 짐으로써, 버섯나무(w)의 상측부에서는 버섯(m)의 발생 및 성장률이 극히 불량하게 되는 등 버섯나무(w)의 전체에 결쳐 버섯(m)의 균일한 발생을기대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버섯의 수확량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버섯나무(w)를 침수조로 운반할 경우에도 반드시 상기 레일 (3)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작된 특수차량을 이용하여야 만 하는 불편이 있으며, 버섯나무(w)에 발생된 버섯(m)을 수확함에 있어서도 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철봉(1)과 이들 각 철봉(1)에 걸린 각 버섯나무(w)들 사이의 협소한 공간부를 통하여 버섯(m)을 채취하게 되므로, 최소한 2인이상의 인력으로 철봉을 들어 옮겨 가면서 버섯을 채취하여야 만 하는등, 그 채취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 및 문제점들을 갗지 않는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균이 접종된 버섯나무를 용이하게 현수하여 좁은 면적내에서 다량의 버섯나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약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종래와 같은 관통공의 천공에 의한 버섯나무의 피해 및 그에 따른 사용수명의 단축 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현수되는 버섯나무의 뒤집기를 가능하게 하여, 버섯나무 상측부가 쉽게 견조됨을 방지하고 버섯나무 전체에 결쳐 균등한 수분함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버섯의 수확량을 월등히 높일 수있는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버섯나무의 침수 및 버셧의 채취를 위한 운반 및 취급관리가 용이한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걸고리가 구비된 후크불트를 버섯볼트를 버섯나무의 양단부 중신부에 나사결합식 체결방법으로 각각 고정하고, 그 버섯나무의 양단에 설치되는 각 걸고리를 걸이봉에 형성된 걸이부에 선택적으로 현가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현수되는 버섯나무의 상하위치를 임의로 변동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각 걸이봉의 양단부에 구비된 이송롤러가 지면으로 부터 소정높이에 설치된 지지대겸 이송레일을 따라 지지 및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버섯나무 현가 및 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버섯나무의 현수상태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볼트와 버섯나무 상하단의 체결구조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버섯나무 현가 및 이동장치는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수직 받침대 (10)(10)의 상부에 걸쳐상호 평행하게 배채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대 겸 이송레일(20)(20)과, 이들 이송레일(20)(20)에 의해 지지 안내되는 한쌍의 이송롤러(30)(30)를 다수의 걸이부(41)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봉상체의 양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이송레일(20)(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걸이봉(40)과, 몸체의 일측에 상기 걸이봉(40)의 각걸이부(41)에 걸릴 수 있는 걸고리(51)를 가지며 그 걸고리(51)의 기부가 버섯나무(w)의 양단부에 나사결합식으로 체결 고정되는 후크볼트(50) 및, 상기 다수 걸이봉(40)의 양단부가 각각 등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여 버섯나무(w)의 침수를 위한 이동시 다수열의 걸이봉(40)들을 일체로 지지고정할 수 있게 되는 좌우 한쌍의 고정부재(60)(6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레일(20)은 버섯나무(w)의 현수장소로부터 침수조까지 설치되어 상기 각 걸이봉(40)을 지지 및 안내하는 지지대 겸 안내레일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레일(20)에 얹혀 지지되는 각 걸이봉(4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봉형 몸체의 양단부를 제외한 내측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U"자형으로 만곡하여 그 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이송롤러(30)(30)의사이에 상기 후크볼트(50)의 걸고리(51)가 걸릴수 있는 수개의 걸이부(41)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된 걸이봉(40)의 양단부에는 너트(43)가 체결되는 나사부(42)(4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그 각 나사부(42)가 상기 양측 고정부재(60)(60)에 형성된 각 고정공(61)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43)를 체결함으로써 다수열의 걸이봉(40)들을 병렬로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버섯나무(w)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후크볼트(50)는 상기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고리(51)의 기부에 버섯나무(w)에 끼워 박히는 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어, 각 후크볼트(50)를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각 버섯나무(w)의 양단 중심부에 상기 후크볼트(50)의 나사부(52)가 가지는 외경의 길이 보다 약간 작은 직경(약 1cm정도)과 깊이(약 4cm정도)를 갖는 고정공(w-1)을 각각 뚫은 다음, 이들 고정공(w-1)에 후크볼트(50)의 나사부(52)를 돌려 끼움으로서 그 나사부(52)를 버섯나무(w)의 각 단부 중심에 긴밀히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같은 고정공(w-1)의 천공 및 후크볼트(50)의 고정작업시에는 버섯나무(w)의 수피가 벗겨지는 등의 손상요인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다숭열의 걸이봉(40)들이 지지 고정되는 양 고정부재(60)(60)에는 상기 걸이봉(40)들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환상 연걸고리(62)가 평판상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M은 버섯나무(w)에서 발행된 버섯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사용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종균이 접종된 버섯나무(w)를 현수시에는 상기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의 상부에 걸쳐 다수개의 걸이봉(40)을 병렬로 배치하고, 후크볼트(50)가 양단에 설치된 버섯나무(w)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그 일단의 후크볼트(50)에 구비된 걸고리(51)를 상기 각 걸이봉(40)의 걸이부(41)에 차례로 걸어놓아 버섯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각 걸이봉(40)의 양단을 상기의 고정부재(60)에 고정하지 않고 각 걸이봉(60)이 이송레일(20)을 따라 임위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 걸이봉(4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제한된 현수 공간내에서 이루어지는 버섯나무(w)의 집약적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향할 수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버섯나무(w)의 현수상태에서 버섯나무(w)에 버섯(M)이 발생되어 이를 수확할 경우에는, 수확하고자 하는 걸이봉(40)의 전후 양측에 인접배채된 걸이봉(40)(40)을 각기 외측으로 밀어 그 각 걸이봉(40)의 이송롤러(30)가 이송레일(20)(20)을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버섯의 채취에 충분한 공간부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각 버섯나무(wr)에 발생된 버섯(M)을 보다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현수된 버섯나무(w)의 내부에 함유된 수분의 분포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각 버섯나무(w)를 뒤집어 세우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이봉(40)의 걸이부(41)에 걸린 일측 후크볼트(50)의 걸고리(51)를 벗겨 낸 후, 그 버섯나무(w)를 뒤집어 반대측 후크볼트(50)의 걸고리(51)를 상기 걸이부(41)에 걸어둠으로써 버섯나무(w)의 형수위치롤 손쉽게 바꿀수 있게 되므로, 각 버섯나무(w)에 함유된 수분의 분포를 상시 균등하게 유지시키으로써 버섯나무(w)의 전체에 걸쳐 버섯의 고른 발생 및 성장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버섯나무에서 생산되는 버섯의 수확량을 월등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현수되는 버섯나무(w)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이를 침수조로 운반할 경우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이봉(40)의 양단부를 상기 고정부재(60)(60)의 고정공(61)에 각각 관통시키고, 그 각 나사부(42)에 너트(43)를 체결하여 6-7열의 걸이봉(40)을 한조의 결속조립체로 구성한 다음, 이와 같이 결속된 걸이봉(40)들을 지지대겸 이송레일(20)을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다량의 버섯나무(w)를 침수조까지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이송시에는 상기 결속조립체를 인력으로 밀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60)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62)를 로우프(R)등으로 연결하여 인력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양의 버섯나무를 일시에 이송시키고 할 경우에는 여러조의 걸이봉 결속조립체를 상호 연결하고 이들을 일반차량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견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균이 접종된 버섯나무를 집약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현수하는 버섯나무의 현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수직 받침대의 상부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대겸 이송레일을 고정 설치하고, 이들 이송레일에 의해 지지 안내되는 한쌍의 이송롤러 및 다수의걸이부가 구비된 걸이봉을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버섯나무의 양단 중심부에 나사결합식으로 각기 체결 고정된 후크볼트의 걸고리를 상기 걸이봉의 걸이부에 선택적으로 걸 수 있게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현수되는 버섯나무의 상하위치를 임의로 변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종균이 접종된 버섯나무를 간편하게 현수하여 좁은 면적내에서 관리하는 다량의 버섯나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하고, 종래와 같은 관통공의 천공으로 인한 버섯나무의 피해 및 그에 따른 사용수명의 단축요인을 배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현수된 버섯나무의 뒤집기가 용이하여 각 버섯나무의 부분적인 건조를 방지하고 버섯나무 전체에 걸쳐 균등한 수분함량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버섯의 수확량을 월등히 증대시킬 수 있으머, 버섯의 채취 및 버섯나무의 침수롤 위한 취급관리 및 운반이 간편 용이함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 받침대(10)(10)의 상부에 걸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 겸 이송레일(20)(20)과, 이들 이송레일(20)(20)에 의해 지지안내되는 한쌍의 이송롤러(30)(30)를 봉상몸체의 양측부에 구비하여상기 이송레일(20)(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봉(40)과, 상기 걸이봉(40)에 현수되는 버섯나무(w)의 상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도록 각 버섯나무(w)의 양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후크볼트(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이봉(40)은 그 양측 이송롤러(30)(30)의 설치부 사이에 상기 버섯나무(w)의양단에 설치된 후크볼트(50)가 선택적으로 걸릴수 있는 수개의 걸이부(4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걸이봉(40)의 양단부에는 다수열의 걸이봉(40)들을 병렬로 고정하는 고정부재(60)(60)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42)(42)를 구비하여서 된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나무(M)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후크볼트(50)(50)는 상기 걸이봉(40)의 각 걸이부(41)에 걸 수 있는 걸고리(51)가 구비되고, 그 각 걸고리(51)의 기 부에 형성된 나사부(52)가 버섯나무(w)의 양단 중심부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KR2019940026599U 1994-10-12 1994-10-12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KR970004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599U KR970004620Y1 (ko) 1994-10-12 1994-10-12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599U KR970004620Y1 (ko) 1994-10-12 1994-10-12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88U KR960012988U (ko) 1996-05-17
KR970004620Y1 true KR970004620Y1 (ko) 1997-05-15

Family

ID=1939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599U KR970004620Y1 (ko) 1994-10-12 1994-10-12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1B1 (ko) * 2011-11-23 2013-10-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올자란 버섯 재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1B1 (ko) * 2011-11-23 2013-10-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올자란 버섯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88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2252A1 (en) Hydroponic device and hydroponic pot thereof
US6374537B1 (en) System for conveying plant trays in a greenhouse
JPH03127919A (ja) トラフ移動型水耕栽培施設
KR970004620Y1 (ko) 버섯나무의 현가 및 이동장치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EP1190620A1 (en) Cultivation system
CN206674666U (zh) 一种苗木种植固定装置
CN211671565U (zh) 一种园林绿化装置
US20230022423A1 (en) Plant processing systems
CN214593250U (zh) 一种黄桃种植用支撑装置
ES2117820T3 (es) Soporte modular para plantas transplantadas.
NZ544293A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EP0184266B1 (en) Device for keeping animals
US20190110446A1 (en) Apiary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154749Y1 (ko) 버섯 재배 장치
JPS6017484B2 (ja) 植物栽培装置
CN114467776B (zh) 一种基于抹黑方式饲养肉兔的养殖舍
KR200212781Y1 (ko) 가지유인용 유인고리
KR102383671B1 (ko) 수직형 스마트팜 다단 자동이송 재배 시스템
SU1114376A1 (ru) Шпалера "Чуваши
CN219660479U (zh) 一种减少虫害的多层种植架
CN211048035U (zh) 一种棚内种植蘑菇用种植架
CN214628454U (zh) 便于拆装的西红柿植株支撑架
JPH0335089Y2 (ko)
CN213695000U (zh) 用于日光温室东西垄向栽培的可调节吊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