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72B1 -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72B1
KR970003572B1 KR1019950008542A KR19950008542A KR970003572B1 KR 970003572 B1 KR970003572 B1 KR 970003572B1 KR 1019950008542 A KR1019950008542 A KR 1019950008542A KR 19950008542 A KR19950008542 A KR 19950008542A KR 970003572 B1 KR970003572 B1 KR 97000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mop
gear
main bod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728A (ko
Inventor
김남선
Original Assignee
김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선 filed Critical 김남선
Priority to KR101995000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72B1/ko
Priority to PCT/KR1995/000040 priority patent/WO1995028869A1/en
Priority to AU22683/95A priority patent/AU2268395A/en
Publication of KR95002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27Filtering or separating contaminants or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다른 청소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청소기의 흡진장치 구동용 기어의 연결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 청소기의 구동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구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청소기의 일예의 분사장치의 요부사시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 청소기의 분사장치의 또다른 예들의 요부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 청소기의 카운터 장치의 요부사시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12도의 카운터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걸레 및 걸레감기 스풀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전방 스풀의 일단을 분해한 사시도,
제17도는 후방스풀 및 걸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18도는 전후방 스풀 및 걸레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2 : 손잡이
3 : 세액저장통4 : 밀판
5,5' : 전방 스풀6,6',6″ : 후방 스풀
7 : 구동장치8 : 분사장치
9 : 카운터장치10,10',10″ : 걸레
11 : 돌출결합부12,12' : 전후방덮개
13 : 결합요구13' : 돌기
14 : 제1스풀장착부15 : 제2스풀장착부
16 : 지지부16a : 지지축
21 : 직선 또는 곡선연결구22 : 스위치조작부
31 : 결합요홈33 : 호스
35 : 세액공급부36 : 유량조절밸브
41 : 침상돌기42 : 결합홈
51,61,606 : 보스52 : 장공
53 : 결합돌기62 : 벨크로
71 : 제1스풀축72 : 제2스풀축
73 : 복귀스프링74,75 : 계합돌기
74a : 핀74b : 스토퍼
76 : 호형장공77 : 핀
78,79 : 클릭78a : 클릭핸들
81,181,281,381 : 펌프81a : 연결관
81b : 베벨기어82 : 조작편
82a : 단자83 : 구동베벨기어
84 : 클러치기구84a : 베벨기어
85 : 분사관로85a : 주관로
85b : 제1분사관로86 : 절환밸브
86a : 핸들91 : 원심클러치
91a : 호형날개91b : 스프링
92a :외측돌기92b : 내측돌기
92 : 전동링93 : 핀
95 : 지지대98 : 리미트스위치
99 : 회전수표시부181a : 피스톤로드
281a : 벨로우즈381a : 단자
A : 집진관B : 배기관
C : 흡입구D : 흡입헤드부
E : 흡진장치F : 팬
G1,G2: 제1,2종동기어G3: 구동기어
G4,G5,G6: 제1,2,3전동기어G6' : 제3전동기어축
I : 손잡이고리J : 먼지걸름망
K : 배기구L : 보조바퀴
L1 : 크랭크링크M : 메인구동모터
M' : 흡진장치구동모터M″: 팬모터
N : 톱날N1-N3: 노즐
O : 고무패킹P : 선회판
P3: 축핀Q,Q1,Q2: 핀
R : 단속봉R1,R2: 레칫휠
S : 고무판막S4,S5: 제1,2전동기어축
601 : 본체602 : 개폐구
603 : 뚜껑604 : 관통구
605 : 권취축606 : 보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걸레 청소기에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절첩할 수 있게 흡진장치를 장착하여 진공청소를 한 후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있게 한 진공청소기겸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는 진공청소기 하부에 패드형 걸레를 부착하거나 진공청소기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의 외주면에 걸레를 감아 진공청소기에 의해서는 흡진하여 청소한 다음 청소기를 전후이동시켜 걸레를 이용하여 물걸레질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진공청소기의 흡기구가 하부에 위치한 물걸레보다 상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구석진 부위를 청소하고져 할 때는 물걸레보다 진공청소기의 흡기구가 먼저 벽에 닿기 때문에 진공청소기에 의한 흡진 후 물걸레로 청소할 때에는 구석진 부위에는 물걸레가 닿지 않아 물걸레 청소는 할수가 없었으며, 둘째 청소기의 사용시마다 걸레에 세척액을 적셔 사용해야만 했기 때문에, 걸레가 장착된 청소기 전체를 세액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레를 세액으로 습윤시키거나, 걸레만을 분리하여 습윤시킨 후 그 습윤된 걸레를 다시 걸레 청소기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 대단히 불편하였고, 셋째, 걸레의 총면적이 크지 않아 조금만 걸레질을 하여도 걸레가 더럽혀져 깨끗하게 걸레질을 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더럽혀진 걸레를 빈번하게 세탁해야 함으로 사용상 대단히 불편하였으며, 넷째, 물걸레의 습윤상태를 조절하기가 어려워서 물걸레 청소 후에는 바닥에 습기가 많이 잔류하여 다시 마른 걸레질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로 승강시킬 수 있는 흡진장치를 물걸레 장치에 병설함으로서, 상기 흡진장치에 의해 먼저 방안의 먼지나 오물을 흡착한 다음 물걸레에 의해 방안 구석구석까지 청소를 하되, 습윤된 부직포 등으로 된 일회용 카트리지 걸레로 걸레질을 하거나 건조한 두루마리 친걸레나 종이걸레를 습윤시켜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걸레질하고, 걸레가 오염되면 카트리지에 내장된 물걸레를 교체하고 두루마리 천 걸레는 세탁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걸레를 빈번하게 세탁하거나 착탈 및 습윤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배기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통하여 물걸레 청소 후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 청소기 손잡이(2), 세액저장통(3) 및 흡진장치(E)로 구성되며, 상기 흡진장치(E)는 청소기 본체(1)상에 장착되며, 흡진장치 구동모터(M')에 의해 수평 또는 절첩되는 흡입헤드부(D) 및 상기 흡입헤드부(D)와 핀(Q)으로 연결된 집진관(A)과 상기 집진관(A) 하부에 팬모터(M″)가 달린 배기팬(F)를 경계로 핀(Q2)에 의하여 상기 집진관(A)과 연결된 배기관(B)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헤드부(D)의 일측은 흡입구(C)가 형성되고 타측은 핀(Q)에 의해 집진관(A)과 연결되며, 흡입헤드부(D) 저면에는 크랭크링크(L1)의 상단이 핀(Q1)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크(L1)의 하단에는 기어(G)가 형성되어 상기 흡진장치 구동모터(M')의 기어(G')와 결합되어 모터(M')에 의한 상기 치합된 기어(G)(G')의 좌우회전으로 크랭크링크(L1)가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흡진장치(E)가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흡입헤드부(D)와 집진관(A)의 연결부위가 핀(Q)을 축으로하여 수평 또는 절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집진관(A) 내에는 손잡이 고리(I)가 달린 먼지 걸름망(J)이 삽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B) 하단부는 선4단에 패킹링(O)가 밀착되어 후방스풀장착부 덮개(12)와 일체로 연결되는 배기구(K)의 상단과 밀폐되게 내삽되고 상기 흡입헤드부(D)와 집진관(A)과의 연결부 내부에 먼지 역류방지용 고무판막(S)이 통상의 구조로 내장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는 제1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체(1) 상면에서 그 높이 및 경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직선형이나 곡선형 연결구(21)로 이루어지며 손잡이(2) 상부에는 물걸레(10)(10')(10″) 이동용 메인구동모터(M)와 흡진장치 구동모터(M') 및 팬모터(M″)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부(22)가 위치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부 아래에는 디지탈 형식의 걸레 회전수 표시부(99)가 위치되고 상기 걸레 회전수 표시부의 아래에는 세액 저장통(3) 저면의 돌출 결합부(11)를 결합할 결합 요홈(31)이 형성되어 세액 저장통(3)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세액 저장통(3) 상부에는 세액을 공급할 공급부(35)가 형성되고 저장통(3) 하부에는 호스(33)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33)의 타단이 본체(1) 측면에 돌출된 분사장치(8)의 연결관(81a)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호스(33) 측면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는 전후측면에 돌기(13')가 돌출된 결합요구(13)가 외부 저면에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력 재질로 되고 저면에는 상호 방향이 다른 침상 돌기(41)가 횡방향으로 다수열 돌설되어 있으면서 그 전후단에는 상기 결합요구(13)의 돌기(13')에 대응되는 결합홈(42)이 형성된 밀판(4)이 상기 결합요구(13)의 일측부에서 밀어 넣어져서 결합 해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체 측면 중앙에는 보조바퀴(L)가 부착되고, 본체(1)의 전후방에는 제7도에서 참조되는 바와같이 걸레권취용 전방스풀(5)(5') 및 걸레 해권 및 되감기용 후방스풀(6,6',6″)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제1,2스풀장착부(14)(15)가 설치되고 그 상부는 전후방덮개(12)(12')가 착탈가능하게 덮히고, 상기 전방덮개(12)의 하부에는 걸레 절단용 톱날(N)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참조되는 바와같이 상기 전후측 스풀(5)(6)의 각 일단은 장착부(14)(15)의 각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2스풀축(71),(72)에 착탈가능하게 축착되고 전후측 스풀(5)(6)의 각 타단은 장착부(14)(15)의 각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구(16)의 지지축(16a)에 지지구(16)의(제7도 참조) 삽탈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유설되어, 각 스풀 축(71)(72)의 회동에 따라 전후측 스풀이 회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 내부의 일측에는 걸레 이송용 구동장치(7)가 설치되고,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7)는 제1스풀축(71)에 축착되는 제1종동기어(G1)와 제2스풀축(72)에 축착되는 제2종동기어(G2)와의 사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역 회전하는 메인구동모터(M)에 축착되는 구동기어(G3) 및 제1,2,3 전동기어(G4)(G5)(G6)가 차례로 상호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2전동기어(G5)의 역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시 상기 제3전동기어(G6)와 제2종동기어(G2)와의 치합을 단속시키기 위한 단속봉(R)이 전후이동 가능하게 본체(1)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속봉(R)의 선단에 본체(1)에 일단이 고정된 복귀스프링(73)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단속봉(R)의 일측 및 제2전동기어(G5)의 축(G5)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호계합되는 계합돌기(74)(75)가 돌설되며, 상기 제3전동기어(G6)의 축(G6')에는 선회판(P)이 축설되고, 그것의 일단은 축핀(P3)에 의해 본체(1)에 지지되고 타단에는 호형장공(76)이 천공되어 있어서 상기 장공(76)을 통하여 단속봉(R)의 일측에 돌설된 핀(77)이 선회하면서 상기 선회판(P)이 상기 축핀(P3)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며, 또한 제1,2종동기어(G1)(G2)에는 이와 일체로 각각 제1,2래칫휠(R1,R2)이 형성되고 본체(1)에는 제1래칫휠(R1)과 치합되어 상기 기어(G1)의 역회전(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클릭(78)이, 단속봉(R)의 후단에는 제2레칫휠(R2)과 치합되어 기어(G2)의 역회전(반시계방향)을 제한하는 클릭(79)이 각각 설치된다. 부호 P1,P2는 각각 단속봉(R)을 지지하면서 그 전후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부(22)의 구동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메인구동모터(M)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G3)가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어(G1)(G4)(G5)(G6)가 차례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2전동기어(G5)의 회전에 따라 계합돌기(75)가 회전되어 이와 계합된 계합돌기(74)가 제6도에서와 같이 후측으로 밀리므로 단속봉(R)이 후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핀(77)에 의하여 단속봉(R)과 연결된 선회판(P)이 하향선회하여 기어(G6)(G2) 상호간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단속봉(R)의 후단에 설치된 클릭(79)과 제2래칫휠(R2)과의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제2종동기어(G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후측 스풀(6)(6')(6″)로부터 전방 스풀(5)로 걸레가 이송되게 된다. 이때 단속봉(R)은 최대로 후진한 다음 복귀 스프링(73)에 의하여 전방으로 복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선회판(P)도 상향선회하여 복귀되면서 모터(M)의 구동이 일시 정지된다. 즉, 제5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정이 1-3회 반복됨으로써 걸레가 이송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타이머나 솔레노이드 등을 설치하여 걸레를 밀판(4)의 전후 길이만큼 이송하도록 모터(M)의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레를 역방향으로 이송할 경우, 즉 후측스풀(6)(6')(6″)에 걸레를 되감기 할 경우에는 클릭(78)의 핸들(78a)(제1,2,3도 및 7도 참조)을 손으로 선회시켜 상기 클릭(78)과 래칫휠(R1)과의 치합을 해제시킨 후 스위치조작부(22)의 역구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기어들(G1-G6)이 모두 치합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동하므로 걸레를 후측 스풀에 되감을 수 있다. 이때, 제5도에서는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속봉(R)의 계합돌기(74)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핀(74a)에 미도시된 비틀림스프링을 개재시켜 계합돌기(74)의 일단이 스토퍼(74b)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상기 계합돌기(74)가 전방으로 선회하면서 후방으로는 선회할 수 없게 하여 제2전동기어(G5)의 정회동(시계방향 회동)이 제한받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는 분사 장치(8)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장치(8)는 제7도 및 제8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분사장치(8)는 상부에 베벨기어(81b)가 축착된 로터리 펌프(81)와, 상기 구동장치(7)내의 단속봉(R)의 하방에 돌설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다라 전후이동하는 조작편(82)과, 제1전동기어(G4)의 축(S4)이 연장된 축선단에서 상기 로터리펌프(81)의 베벨기어(81b)와 근접하여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는 구동베벨기어(83)와, 상기 조작편(82)의 전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하면서 일측면은 상기 구동베벨기어(83)에, 하부는 로터리 펌프(81)의 베벨기어(81b)에 동시에 치합·해제되면서 기어 클러치 기구(84)와 연결 작동되는 조작편(82) 선단의 베벨기어(84a)와, 상기 펌프(81)의 토출방향쪽에 일단이 연결되어 펌프(81)로부터 토출되는 세액을 구동장치(7)의 하부나 전방 또는 측부로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연결된 분사관로(85) 및 상기 분사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분사관로(85)의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절환밸브(86)로 구성된다.
또, 상기 분사관로(85)는 펌프(81)와 절환밸브(86)를 연결하는 주관로(85a), 상기 절환밸브(86)와 제2스풀장착부(15)의 하부에 설치된 노즐(N1)(제5도 참조)을 연결하는 제1분사관로(85b), 상기 밸브(86)와 제1스풀장착부(14)의 전방 양단에 설치된 노즐(N2)을 연결하는 제2분사관로(85c), 그리고 상기 밸브(86)와 본체(1)의 양측부에 설치된 노즐(N3)(제7도 참조)을 연결하는 제3분사관로(85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환밸브(86)는 본체(1) 외부 측면으로 일부가 노출된 절환용 핸들(86a)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핸들(86a)의 회동에 따라 분사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음으로써 걸레를 습윤상태로 만들어지거나 바닦을 습윤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9도는 분사장치(8)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사장치(8)는 피스톤 펌프(181)가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어 이것과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펌프(181)의 토출방향쪽에 상기 제1예에서와 같이 절환밸브(86)와 연결되는 분사관로(85)가 연결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편(8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펌프(181)의 피스톤 로드(181a)를 왕복시킴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0도는 분사장치(8)의 또다른 예로서, 이 분사장치(8)는 벨로우즈 펌프(281)가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어 이것과 연결된(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펌프(281)의 토출 방향쪽에 절환밸브(86)와 연결된 분사관로(85)가 연결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편(8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펌프(281)의 벨로우즈(281a)를 팽창·축소시킴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1도는 본사장치(8)의 또다른 예로서, 이 분사장치(8)는 모터펌프(381)가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되어 이것과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펌프(381)의 토출방향쪽에 절환밸브(86)가 연결된 분사관로(85)가 연결되고, 또한 조작편(82)의 선단에 접속단자(82a)가 설치되어 이 접속단자(82a)가 조작편(82)의 전후이동시 모터펌프(81)의 단자(381a)가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2도에서는 걸레의 이송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 장치(9)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카운터 장치(9)는 제7도와 제13, 14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2전동기어(G5)의 축(S5)의 연장부 외주면에 고정된 이방향 원심클러치(91)와, 상기 일방향 원심클러치(91)의 양단에 핀(93)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스프링(91b)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탄지되는 한쌍의 호형 날개(91a)와, 상기 호형 날개(91a)의 양단에 대응되게 걸려 호형날개(91a)와 반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내주면의 대칭되는 두개의 내측돌기(92b)를 가지면서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 외측 돌기(92a)를 가지는 전동링(9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링(92)은 일측 지지대(95)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전동링(92)의 외측돌기(92a)는 본체(1) 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전동링(92)의 역회동(반시계방향)에 따라 돌기(92a)와의 접촉 회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98)와 당접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98)는 그것의 감지 회수를 나타내는 손잡이(2)상의 회전수표시부(99)(제1,2도 참조)와 연결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수표시부(99)에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을 초기화하기 위한 리셋트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일방향 원심클러치(91)가 상기 축(S5)에 의해 역방향(반시계 방향)회동시, 제13도에서와 같이, 스프링(91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지된 호형날개(91a)의 양단이 전동링(92)의 내측돌기(92b)를 밀면서 함께 회동되어 전동링(92)이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전동링(92)의 외측돌기(92a)가 그것에 당접된 리미트스위치(98)를 누르게 되므로 이 신호가 회전수 표시부(99)에 전송되어 회전수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제14도에서와 같이, 축(S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호형날개(91a)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국 그것의 등이 내측돌기(92b)에 걸리면서 일방향 원심클러치(91)의 양단에 연결된 핀(93)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접히면서 상기 전동링(92)의 내측돌기(92b)에서 해지되어 공회전을 하게 됨으로 리미트 스위치(8)는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수 표시부(99)를 초기화 할 경우에는 미도시된 리셋트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즉 회전수 표시부(99)를 보면서 걸레(10,10',10″)를 이송함으로써 걸레의 이송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제15도에서는 상기한 전후방 스풀 및 걸레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 스풀(5)은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단에 제1스풀축(71)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에 삽입시키기 위한 보스(51)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 본체 주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 일측 중앙에는 자석으로된 결합돌기(53)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스풀(5) 전체는 제16도에서와 같이 일단을 억지 끼움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분리할 수 있는 2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스풀(5)에 권치된 더렵혀진 걸레(10)를 세착하기 위하여 빼낼 때 스풀(5)의 억지끼움된 일단을 분리하여 상기 걸레(10)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후방 스풀(6)은 양단에 제2스풀출(72)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을 삽입하기 위한 보스(61)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 본체 주면에는 벨크로(velcro)(6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걸레(10)는 직물등의 천으로 이루어져 있고 걸레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방 스풀(5)의 자석으로 된 결합돌기(53)에 자력으로 강하게 걸리도록 자석고리로 된 구멍(101)이 천공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상기 스풀(6)의 벨크로(62)에 부착되는 벨크로(102)가 부착되어 있다.
제17도에는 상기한 후방스풀(6)을 일회용 물걸레(10')가 내장된 카트리지스풀(6')로 대체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전방스풀(5')의 장공(52)은 폭을 줄여서 일회용 물걸레(10')의 단부(101')가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게 한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 스풀(6')은 스풀 본체(601)의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폐수(602)가 형성되고 그 본체(601)의 양단은 내외면에 턱(607')(607″)이진 돌출부(607)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607)에는 중앙에 관통공(604)이 천설된 뚜껑(603)이 삽탈가능하게 삽착되며, 상기 스풀(6')내에는 양단에 제2스풀축(72)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을 삽입시키기 위한 보스(606)가 형성된 권취축(605)이 내장되어 상기 뚜껑(603)의 중앙 관통공(604)을 거쳐 지지축(16a)이 보스(606)에 끼워져서 회동 가능토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카트리지 스풀(6')을 사용시에는 상기 권취축(605)에 감긴 걸레(10')의 선단의 끝부분을 약간 두껍게 접어 전방스풀(5')의 장공(52') 사이에 끼운 후 전방 스풀(5')을 회동시켜 줌으로써 상기 걸레(10')가 전방스풀(5')에 고정되어 감기게 되고 미사용시에는 사용후 지저분해진 부위를 상기 제1스풀장착부(14)의 덮개(12') 아래에 형성된 톱날(N)로 절단하여 제거하면 된다.
제18도에는 상기한 결합돌기(53)가 형성된 전방스풀(5)과 동일한 스풀 2개를 전후방 스풀(6)(6″)로 하여 사용할 때의 천으로 된 걸레(10″)와 스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걸레(10″)는 전후측 스풀(5)(6″)의 자석으로 된 결합돌기(53)에 걸 수 있는 자석고리로 된 구성(131)이 양단부에 천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진장치(E)는 스위치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해서 집진관(A)과 배기관(B) 연결부위에 위치된 먼지 흡입용 팬모터(M″)를 작동시켜 흡입헤드부(D)의 흡입구(C)를 통해 더러운 먼지나 진애가 흡입되어 집진관(A)에 장착된 먼지걸름망(J)을 거치는 동안 먼지가 여과되게 한 후 깨끗한 공기만을 배기관(B)에 형성된 배기구(K)를 통해 토출되게 하고 먼지가 집진관(A)의 먼지걸름망(J)에 적정치 이상 채워졌을 때에는 먼지걸름망(J)의 고리(I)를 잡아 당겨 집진관(A)에서 이탈시켜 먼지를 털어낸 다음 다시 집진관(A)내에 장착시킨다.
물걸레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한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후방 스풀(6)에 권취된 길이가 긴 걸레를 전방스풀(5)을 작동시켜 그 오염 상태에 따라 전방으로 조금씩 이송시킨 후 손잡이(2)를 잡고 본체(1)를 전후좌우 밀어 걸레질을 하면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와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항상 깨끗한 걸레면으로 바닥을 닦을 수 있고 물걸레 청소 후 습기찬 부위를 배기구(K)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로 건조시키면 마른 걸레질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흡진장치(E)의 흡기구(C)가 물걸레 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먼저 먼지를 흡기구(C)로 빨아 들인 후 물걸레 청소를 하게 됨으로써 청소작업이 한층 더 편리하게 되고 흡진장치(E) 전방의 흡기구(C) 부위기 벽에 닿아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는 공간이 발생시에는 스위치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하여 흡진장치(E)를 본체(1) 상부로 이동시켜 절첩시킴으로써 진공청소를 한 부위에 모두 물걸레 청소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진공청소기가 불필요시에는 물걸레 청소기만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절환밸브(86)의 핸들(86a) 조작에 따라 모터(M) 구동에 의해서 이송되는 걸레와 본체의 전방 또는 본체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세액을 분사할 수 있어서 걸레를 습윤시킴과 동시에 밀판(4)에 의하여 걸레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걸레질을 하여 바닥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길이가 긴 천걸레를 상기와 같이 차레로 습윤시키면서 사용할 수가 있어서 걸레를 빈번하게 세탁 및 교체하거나 습윤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게 된다. 더구나 본체 측면에 부착된 보조바퀴(L)에 의해 흡진장치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청소기의 이동이 용이하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세탁된 걸레(10)(10″) 또는 새로운 걸레(10')를 후방스풀(6)에 손쉽게 권치할 수가 있고 동시에 카운터 장치(9)에 의해서 상기 걸레의 이송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5)

  1. 흡진장치구동모터(M')에 의해 수평, 절첩되는 흡입헤드부(D) 및 상기 흡입헤드부(D)와 핀(Q)으로 연결된 집진관(A)과 상기 집진관(A) 하부에 팬모터(M″)가 장착된 배기팬(F)을 경계로 핀(Q2)에 의해 상기 집진관(4)과 연결된 배기관(B)으로 이루어진 흡진장치(E)와, 상기 흡진장치(E) 저부에 위치하여 탄성재질의 밀판(4)이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방에 각각 전방스풀(5,5') 및 후방스풀(6,6',6″)장착용 제1,2스풀장착부(14)(15)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는 구동장치(7)용 모터(M)가 장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 상면 중앙에서 후측으로 경사지게 돌설되어 그 상부에 스위치 조작부(22)와 회전수 표시부(99)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세액저장통(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2)와, 상기 본체(1)의 중앙부에서, 메인구동모터(M)의 구동에 따라 세액을 전방, 하방, 측방 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내설된 분사장치(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장치(E)의 상기 흡입헤드부(D)는 일측에 흡입구(C)가 형성되고 타측은 핀(Q)에 의해 집진관(A)과 연결되며 흡입헤드부(D)의 저면은 크랭크링크(L1)의 상단에 핀(Q1)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크(L1)의 하단에는 기어(G)가 형성되어 상기 흡진장치 구동모터(M')의 기어(G')와 결합되어 모터(M')에 의한 상기 치합된 기어(G)(G')가 좌우회전으로 크랭크링크(L1)가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흡진장치(E)가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흡입헤드부(D)와 집진관(A)의 연결부위가가 핀(Q)을 축으로 하여 수평 또는 절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집진관(A) 내에는 손잡이용 고리(I)가 달린 먼지 걸름망(J)이 삽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B) 단부에는 선단에 패킹링(O)이 밀착되어 후방 스풀 장착부 덮개(12)와 일체로 연결되는 배기구(K)의 상단이 밀페되게 내삽되고 상기 흡입헤드부(D)의 집진관(A)과의 연결 내부에는 먼지 역류방지용 고무판막(S)이 통상의 구조로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7)에는 제1스풀축(71)에 축작되는 제1종동기어(G1)와, 제2스풀축(72)에 축착되는 제2종동기어(G2)와의 사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역 회전하는 메인구동모터(M)에 축착되는 구동기어(G3)및 제1,2,3전동기어(G4)(G5)(G6)가 차례로 상호 치합되고 상기 제2전동기어(G5)의 역회전(반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제2전동기어(G6)와 제2종동기어(G2)와의 치합을 단속시키기 위한 단속봉(R)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본체(1)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속봉(R)의 선단에는 본체(1)에 일단이 고정된 복귀스프링(73)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단소봉(R)의 일측 및 제2전동기어(G5)의 축(S6')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호계합되는 계합돌기(74)(75)가 돌설되며, 상기 제3전동기어(G6)의 축(G6)에는 선회판(P)이 축설되고 그것의 일단은 축핀(P3)에 의해 본체(1)에 지지되고 타단에는 호형 장공(76)이 천공되어 있어서 상기 장공(76)을 통하여 단속봉(R)의 일측에 돌설된 핀(77)이 선회하면서 상기 선회판(P)이 상기 축핀(P3)을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며, 제1,2종동기어(G1)(G2)에는 이와 일체로 각각 제1,2래칫휠(R1,R2)이 형성되고 본체(1)에는 제1래칫휠(R1)과 치합되어 상기 기어(G1)의 역회전(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클릭(78)이, 단속봉(R)의 후단에는 제2레칫휠(R2)과 치합되는 기어(G2)의 역회전(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클릭(79)이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8)는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베벨기어(81b)가 축착된 로터리 펌프(81)와, 상기 구동장치(7)의 단속봉(R)의 하방에 돌설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하는 조작편(82)과, 제1전동기어(G4)의 축(S4)이 연장된 축단에서 상기 로터리 펌프(81)의 베벨기어(81b)와 근접하여 직각방향으로 축착되는 구동베벨기어(83)와, 상기 조작편(82)의 전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하면서 일측면은 상기 구동베벨기어(83)에, 하부는 로터리 펌프(81)의 베벨기어(81b)에 동시에 치합·해제하면서 기어 클러치 기구(84)와 연결 작동되는 조작편(82) 선단의 베벨기어(84a), 상기 펌프(81)의 토출방향쪽에 일단이 연결되어 펌프(81)로 부터 토출되는 세액을 구동장치(7)의 하부나 전방 또는 측부로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관로(85) 및 상기 분사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분사관로(85)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본체(1)의 외부 상단으로 일부가 노출된 절환용 핸들(86)과 연결된 절환밸브(8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및.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8)는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피스톤 펌프(181)를 가지며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펌프(181)의 토출방향쪽에 절환밸브(86)와 연결되는 분사관로(85)가 연결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편(8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펌프(181)의 피스톤 로드(181a)를 왕복시킴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8)는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벨로우즈 펌프(281)와 연결관(81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펌프(281)의 토출 방향쪽에 절환밸브(86)와 연결된 분사관로(85)가 연결되어 단속봉(R)의 전후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조작편(8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펌프(281)의 벨로우즈(281a)를 팽창·축소시킴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 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8)는 본체(1)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모터펌프(381)와 연결관(18a)을 통하여 세액저장통(3)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펌프(381)의 토출방향쪽에 절환밸브(86)와 연결된 분사관로(85)가 연결되며, 조작편(82)의 선단에 접속단자(82a)가 설치되어 이 접속단자(82a)가 조작편(82)의 전후 이동시 모터펌프(381)의 단자(381a)가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세액저장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액이 분사관로(85)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8. 제4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로(85)는 상기 펌프(81,181,281,381)와 절환밸브(86)를 연결하는 주관로(85a), 상기 밸브(86)와 제2스풀장착부(15)의 하부에 설치된 노즐(N1)간을 연결하는 제1분사관로(85b), 상기 밸브(86)와 제1스풀장착부(14)의 전방 양단에 설치된 노즐(N2)을 연결하는 제2분사관로(85c) 및 상기 밸브(86)와 본체(1)의 양측부에 설치된 노즐(N3)을 연결하는 제3분사관로(85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는 그 높이 및 경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직선형이나 곡선형 연결구(21)로 이루어지며 손잡이(2) 상부에는 물걸레(10)(10')(10″)이동용 메인구동모터(M)와, 흡진장치 구동모터(M') 및 팬모터(M″)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부(22)가 위치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부 아래에는 본체 내부의 카운터 장치(9)와 연결된 디지탈 형식의 걸레회전수 표시부(99)가 위치되고 상기 걸레회전수 표시부의 아래에는 세액 저장통(3) 저면의 돌출 결합부(11)를 결합할 결합 요홈(31)이 형성되어 세액저장통(3)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세액 저장통(3) 상부에는 세액을 공급할 공급부(35)가 형성되고 저장통(3) 하부에는 호스(33)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33)의 타단이 본체(1) 측면에 돌출된 분사장치(8)의 연결관(81a)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호스(33) 측면에는 유량의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밸브(3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전후측면에 돌기(13')가 돌출된 결합요구(13)가 외부 전면에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력 재질로 되고 저면에는 상호 방향이 다른 침상 돌기(41)가 횡방향으로 다수열 돌설되어 있으면서 그 전후단에는 상기 결합요구(13)의 돌기(13')에 대응되는 결합홈(42)이 형성된 밀판(4)이 상기 결합요구(13)의 일측부를 통하여 삽탈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 측면 중앙에는 보조바퀴(L)가 부착되고, 본체(1)의 전후방에는 걸레권취용 전방스풀(5)(5') 및 걸레해권 및 되감기용 후방스풀(6,6',6″)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제1,2스풀장착부(14)(15)가 설치되고 그 상부는 전후방 덮개(12)(12')가 착탈가능하게 덮혀있으며, 상기 전방 덮개(12)의 하부에는 걸레 절단용 톱날(N)이 형성되고, 상기 스풀 장착부(14)(15)의 하부는 개구된 상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장치(9)는 본체(1)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2전동기어(G5)의 축(S5)의 연장부 외주면에 고정된 일방향 원심클러치(91)와, 상기 일방향 원심클러치(91)의 양단에 핀(93)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스프링(91b)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탄지되는 한쌍의 호형 날개(91a)와, 내주면에는 대칭되는 두개의 내측돌기(92b)를 가지면서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는 외측 돌기(92a)를 가지는 전동링(9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링(92)은 일측 지지대(95)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전동링(92)의 외측돌기(92a)는 본체(1) 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전동링(92)의 역회동에 따라 돌기(92a)와의 접촉 회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98)와 당접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98)는 그것의 감지회수를 나타내는 손잡이(2)상의 회전수표시부(99)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풀(6)은 양단에 제2스풀축(71)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의 삽입시키기 위한 보스(51)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 본체 주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의 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일측 중앙에는 자석으로된 결합돌기(53)가 돌설되고, 상기 스풀(5) 전체는 일단이 억지 끼움한 상태로 사용되다가 분리할 수 있는 2분할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겸용 물걸레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스풀(6)은 양단에 제2스풀축(72)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을 삽입하기 위한 보스(61)가 형성되고 스풀 본체 주면에는 벨크로(velcro)(62)가 부착되며 상기 걸레(101)는 직물 등의 천으로 이루어지고 걸레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방 스풀(5)의 자석으로 된 결합돌기(53)에 자력으로 강하게 걸리도록 자석고리로 된 구멍(10)이 천공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스풀(6)의 벨크로(62)에 부착되는 벨크로(102)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14. 제10항에 있어서, 후방스풀(6)을 일회용 물걸레(10')가 내장된 카트리지 스풀(6')로 대체하여 상기 전방 스풀(5')의 장공(52)은 폭을 줄여서 일회용 물걸레(10')의 단부(101')가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카트리지 스풀(6')은 스풀 본체(601)의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개폐구(602)가 형성되고 그 본체(601)의 양단에는 내외면에 턱(607)(607″)이진 돌출부(607)로 되어 중앙에 관통공(604)이 천설된 뚜껑(603)이 삽착가능하게 삽탈되며, 상기 스풀(6')내에는 양단에 제2스풀축(72) 및 지지구(16)의 지지축(16a)에 삽입시키기 위한 보스(606)가 형성된 권취축(605)이 내장되어 상기 뚜껑(603)의 중앙 관통공(604)을 거쳐 지지축(16a)에 보스(606)가 끼워져서 회동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돌기(53)가 형성된 전방스풀(5)과 동일한 스풀 2개를 전후방 스풀(5)(6″)로 하고 상기 스풀에 사용되는 걸레(10″)는 전후측 스풀(5)(6″)의 자석으로 된 결합돌기(53)에 걸 수 있는 자석고리로 된 구멍(131)이 양단부에 천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KR1019950008542A 1994-04-23 1995-04-12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KR97000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542A KR970003572B1 (ko) 1994-04-23 1995-04-12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PCT/KR1995/000040 WO1995028869A1 (en) 1994-04-23 1995-04-19 Damp floorcloth scrubbing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s a vacuum sweeper
AU22683/95A AU2268395A (en) 1994-04-23 1995-04-19 Damp floorcloth scrubbing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s a vacuum swee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08648 1994-04-23
KR94-8648 1994-04-23
KR1019950008542A KR970003572B1 (ko) 1994-04-23 1995-04-12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728A KR950028728A (ko) 1995-11-22
KR970003572B1 true KR970003572B1 (ko) 1997-03-20

Family

ID=266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542A KR970003572B1 (ko) 1994-04-23 1995-04-12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70003572B1 (ko)
AU (1) AU2268395A (ko)
WO (1) WO19950288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48A1 (en) * 2017-03-06 2018-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88A (ko) * 1999-05-08 1999-09-06 박중수 침구류카펫트살충살균건조흡입청소기
KR100846900B1 (ko) * 2006-05-17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0846904B1 (ko) * 2006-05-17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0804806B1 (ko) * 2006-03-07 2008-02-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730955B1 (ko) * 2006-04-27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
KR101333008B1 (ko) * 2012-05-22 2013-12-02 김관동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기
CN103316868B (zh) * 2013-05-16 2015-12-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
KR101595727B1 (ko) 2015-06-16 2016-02-19 김종란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CN108272399B (zh) * 2018-01-04 2020-09-08 福州市长乐区佳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用擦地设备
JP2020130642A (ja) * 2019-02-20 2020-08-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自律型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4704B (it) * 1980-01-14 1987-01-21 Novum Novita Elettrodomestica Dispositivo per pulire superfici
DK172087A (da) * 1987-04-03 1988-10-04 Rotowash Scandinavia Apparat til vaadrensning af gulv- eller vaegfl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48A1 (en) * 2017-03-06 2018-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10765288B2 (en) 2017-03-06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28869A1 (en) 1995-11-02
KR950028728A (ko) 1995-11-22
AU2268395A (en) 199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068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two-stage collection
JP4859988B2 (ja) 吸入式ウェット・ジェットモップ
RU2312580C2 (ru) Пылесос с чистящей головкой
JP7058023B2 (ja) 掃除機ブラシヘッド及び吸塵方法
JPH081731Y2 (ja) 濡れ雑巾機能を有する真空掃除機
US10188250B2 (en)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KR970003572B1 (ko)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JP2006516423A (ja) 吸入式ウェット・ジェットモップ
KR20080096191A (ko) 캐니스터/스틱 겸용 진공청소기
KR20014486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EP2166913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motor-driven endless belt
CN211432734U (zh) 表面清洁装置以及表面清洁设备
KR20130094496A (ko) 밀대형 청소기
KR960007470B1 (ko) 수동 물걸레 청소기
JP2010227468A (ja) 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2603215B1 (ko) 롤패드 회전형 무선 물걸레 청소기
KR200276396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EP4324375A1 (en) Ground cleaning apparatus having front dust collection function
US20240148205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of a suction head
WO2023213278A1 (zh) 一种地面清洁装置
CN210612059U (zh) 一种手持式拖地吸尘一体机
KR200318044Y1 (ko) 바닥 청소기
KR940000619Y1 (ko) 걸레기능을 갖는 전기소제기
KR20014486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JPS62170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