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477B1 -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477B1
KR970003477B1 KR1019930028097A KR930028097A KR970003477B1 KR 970003477 B1 KR970003477 B1 KR 970003477B1 KR 1019930028097 A KR1019930028097 A KR 1019930028097A KR 930028097 A KR930028097 A KR 930028097A KR 970003477 B1 KR970003477 B1 KR 97000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memory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060A (ko
Inventor
원용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477B1/ko
Publication of KR95002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77B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 팩스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신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동작에 따른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통신 동작시 송수신이 발생한 경우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독취부 12A, 12B : 이미지 메모리
13 : 기록부 16A, 16B, 21 : 압축 메모리
17 : 압축부 18 : 복원부
20 : 화상 제어부 22 : 통신 제어부
24A, 24B : 모뎀 제어부 25A, 25B : 모뎀
26A, 26B : 망 접속부 27 : 망 접속 제어부
28 : 스위칭부 29 : 스피커
100 : 화상 처리부 200 : 통신 처리부
300 : 인터페이스부 400 : 공유 메모리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복수 전화망 접속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전화망을 접속하여 송수신 수행시 복수의 상대 기기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팩스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를 화소 단위로 읽어 들이는 독취부(8)와, 복사 및 수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9)와,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화소 정보를 변복조하고 전송수순에 따른 정보를 상대 기기와 교환하는 모뎀(6)을 제어하는 모뎀 제어부(5)와 상기 모뎀(6)과 공중통신망의 접속을 제어하는 망 접속부(7)와, 송신시 상기 독취부(8)로 읽어 들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메모리(4)와, 독취 데이터의 압축및 수신 데이터의 신장 복원을 수행하는 압축/복원부(3)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와, 이 프로그램 메모리(2)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1)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제어부(1)가 프로그램 메모리(2)에 저장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키 입력에 의해 송신 모드가 설정되면 독취부(8)에서 송신 원고를 읽어 들여 이미지 메모리(4)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상대기기의 출력 장치의 해상도 및 크기에 맞도록 변환을 수행한 후 상기 이미지 메모리(4)에 저장하면 압축/복원부(3)가 상기 이미지 메모리(4)의 저장 데이터를 상대 기기의 압축 능력(MH, MR, MMR)에 맞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모뎀 제어부(5)에 의해 모뎀(6)에서 상기 압축/복원부(3)의 압축 데이터를 변조된 망 접속부(7)를 통해 상대 기기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망 접속부(7)에 링 신호가 입력될 때 주 제어부(1)에서 링 신호의 입력을 인지하여 모뎀 제어부(5)를 제어함으로써 회선을 연결하면 망 접속부(7) 및 모뎀(6)을 통하여 상대측의 압축 데이터가 수신되고 이 수신된 압축 데이터는 압축/복원부(3)에서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되어 이미지 메모리(4)에 저장된 후 기록부(9)에 전송되어 용지에 인쇄되어진다.
또한, 키 입력 또는 송수신에 따른 동작은 주 제어부(1)에 의해 표시부(10)에 표시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치는 상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또 다른 기기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송수신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복수의 팩스에서 송신 요구가 있을 때 우선 순서에 따라 송수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대기 시간이 무한정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 또는 수신모드가 설정됨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있을 때 수신 또는 송신 모드가 발생하면 수신 또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저장한 후 수신 또는 송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전화망을 접속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을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신 또는 복사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읽어 압축하고 복사 또는 수신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여 기록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이 화상 처리 수단의 압축 데이터를 상대 기기에 전송하고 상대측의 착신 호출 신호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대측 압축 데이터를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전송하는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 수단과 통신 처리 수단간 접속을 인터페이싱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 수단과 통신 처리 수단간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유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송신 모드에서 독취한 원고 데이터를 압축하여 송신함과 아울러 다른 상대측에 의한 호출 신호에 의해 수신 모드가 발생하였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모드 발생에 의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여 용지에 기록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제어부(20)가 제어하는 화상 처리부(100)와, 통신 제어부(22)가 제어하는 통신 처리부(200)와, 상기 화상 처리부(100)와 통신 처리부(200)간 접속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300)와, 상기 화상 제어부(100)와 통신 처리부(200)간 전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유 메모리(400)으로 구성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100)는 화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화상 제어부(20)와, 이 독취부(11)에서 읽어들인 원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메모리(12A)와, 이 이미지 메모리(12A)에 저장된 원형의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부(17)와, 이 압축부(17)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데이터 메모리(16A)와, 복사 또는 수신에 따른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메모리(16B)와, 이 압축 메모리(16B)의 저장 데이터를 신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하는 복원부(18)와, 이 복원부(18)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메모리(12B)와, 이 이미지 메모리(12B)의 저장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기록부(13)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독취부(11) 및 이미지 메모리(12A)와 압축부(17)간에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독취 이미지 버스(14)와, 상기 기록부(13) 및 이미지 메모리(12B)와 복원부(18)간에 어드레스, 데이터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록 이미지 버스(15)와, 상기 화상 제어부(20)의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화상 제어 버스(1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00)는 통신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2)와, 수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메모리(21)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공중 통신 라인에 접속된 모뎀 제어부(24A), 팩스 모뎀(25A) 및 망 접속부(26A)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공중 통신 라인에 접속된 모뎀 제어부(24B), 팩스 모뎀(25B) 및 망 접속부(26B)와, 상기 망 접속부(26A), (26B)에 착신된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9)와, 이 스피커(29) 및 상기 망 접속부(26A), (26B)를 스위칭부(28)를 통해 제어하는 망 접속 제어부(27)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통신 제어부(22)의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제어 버스(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화상 처리부(100)는 원고 송신을 위해 독취부(11)가 원고를 화소 단위로 독취하여 이미제 메모리(12A)에 저장하면 압축부(16A)는 상기 이미제 메모리(12A)의 저장 데이터를 상대 기기의 수신 능력에 따른 압축 데이터(MH, MR, MMR)로 변환하여 압축 메모리(16A)에 저장하고 이 압축 메모리(16A)의 저장 데이터를 화상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공유 메모리(40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화상 처리부(100)와 접속된 통신 처리부(200)는 통신 제어부(22)가 망 접속 제어부(27)를 통해 망 접속부(26A), (26B)의 통화중 상태를 점검하여 통화중인지 판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망 접속부(26A)가 통화중이면 통신 제어부(22)는 망 접속부(26B)의 통화 상태를 판별하여 2개의 망 접속부(26A), (26B)가 모두 통화중이면 통화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망 접속부(26A), (26B)중 하나의 라인이라도 통화중이 아니면 그 해당 라인을 선택하여 모뎀(25A), (25B)중 해당 모뎀으로 DTMF인 호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대 기기와 통신을 개설한 후 전송 수순에 따라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모뎀 제어부(24A), (24B)의 제어에 따른 모뎀(25A), (25B)중 해당 모뎀으로 송출되는 호출음은 망 접속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부(28)를 통해 스피커(29)에 출력된다.
또한, 수신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통신 처리부(200)는 통신 제어부(22)가 망 접속부(27)를 통해 라인의 접속 상태를 점검하고 있을 때 망 접속부(26A), (26B)중 하나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모뎀 제어부(24A), (24B)를 통해 해당 라인의 모뎀(25A), (25B)를 동작시킴으로써 해당 회선을 접속하고 상기 모뎀(25A), (25B)중 해당 모뎀을 통해 수신된 압축 데이터를 통신용 압축 메모리(21)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다른 라인이 송신용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판별하여 다른 전화선이 송신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면 공유 메모리(400)가 사용되고 있음으로 통신 제어부(22)는 통신용 압축 메모리(21)에 계속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송신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용 압축 메모리(21)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4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00)에 의해 통신 처리부(200)와 접속된 화상 처리부(100)는 화상 제어부(20)가 공유 메모리(400)의 데이터를 읽어 압축 메모리(16B)에 저장하고 그 압축 메모리(16B)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원부(18)에서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되어 이미지 메모리(12B)에 저장된 후 기록부(13)에 전송되어 용지에 기록하게 된다.
한편, 송신 또는 수신시에 수신 또는 송신이 발생한 경우 원고 세팅되어 송신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 화상 처리부(100)는 독취부(11)가 원고를 화소 단위로 독취하여 이미지 메모리(12A)에 저장하고 압축부(17)에서 상대 기기의 수신 능력에 따른 압축 데이터로 압축하여 압축 메모리(16A)에 저장하면 화상 제어부(20)가 상기 압축 메모리(16A)의 저장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40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통신 처리부(200)는 통신 제어부(22)가 통신이 개설되지 않은 망 접속부(26A), (26B)중 해당 라인으로 상기 공유 메모리(400)의 저장 데이터를 상대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망 접속부(26A), (26B)중 대기 상태의 망 접속부에 다른 상대 기기의 링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때, 링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수신 압축 데이터는 통신용 압축 메모리(21)에 송신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저장되고 송신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압축 메모리(21)의 저장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400)에 전송되어 저장된 후 화상 처리부(100)의 압축 메모리(16B)에 저장되어진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부(100)는 복원부(18)가 압축 메모리(16B)의 데이터를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하여 이미지 메모리(12B)에 저장하고 이 이미지 메모리(12B)의 저장 데이터는 기록부(13)가 읽어 용지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수신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을 때 화상 처리부(100)에 송신 모드가 설정되면 송신 원고를 읽어 그 데이터를 통신 처리부(200)의 통신용 압축 메모리(21)에 수신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저장한 후 송신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복사 기능을 수행할 때 수신 모드인 경우 화상 처리부(100)는 독취부(11)가 원고를 화소 단위로 독취하여 이미지 메모리(12A)에 저장하면 압축부(17)가 압축 데이터(MMR)로 압축하여 압축 메모리(16A)에 저장하고 수신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압축 메모리(16A)에 저장된 데이터를 압축 메모리(16B)에 전송하여 복원부(18)에서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함에 따라 이미지 메모리(12B)에 저장하고 이 이미지 메모리(12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부(13)가 읽어 용지에 기록한다.
본 발명은 통신 라인은 2개만 접속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 개의 라인을 접속한 시스템에 적용하면 한 대의 팩스로 여러 대의 팩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회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실시간에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송신 원고 데이터를 상대 기기의 수신 능력에 맞추어 압축하거나 수신된 압축 데이터를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송신 모드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의 압축 데이터를 복수의 상대 기기에 전송하고 수신 모드시 복수의 상대 기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전달하는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 수단과 통신 처리 수단간 접속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 수단과 통신 처리 수단간 전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유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처리 수단은 화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화상 제어부(20)와, 이 독취부(11)에서 읽어 들인 원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메모리(12A)와, 이미지 메모리(12A)에 저장된 원형의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부(17)와, 이 압축부(17)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데이터 메모리(16A)와, 복사 또는 수신에 따른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메모리(16B)와, 이 압축 메모리(16B)의 저장 데이터를 신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하는 복원부(18)와, 이 복원부(18)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메모리(12B)와, 이 이미지 메모리(12B)의 저장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기록부(13)와, 상기 독취부(11) 및 이미지 메모리(12A)와 압축부(17)간에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독취 이미지 버스(14)와, 상기 기록부(13) 및 이미지 메모리(12B)와 복원부(18)간에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록 이미지 버스(15)와, 상기 화상 제어부(20)의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화상 제어 버스(1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처리 수단은 통신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2)와, 수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압축 메모리(21)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공중 통신 라인에 접속된 모뎀 제어부(24A), 팩스 모뎀(25A) 및 망 접속부(26A)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공중 통신 라인에 접속된 모뎀 제어부(24B), 팩스 모뎀(25B) 및 망 접속부(26B)와, 상기 망 접속부(26A), (26B)에 착신된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9)와, 이 스피커(29) 및 상기 망 접속부(26A), (26B)를 스위칭부(28)를 통해 제어하는 망 접속 제어부(27)와, 상기 통신 제어부(22)의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제어 버스(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4. 송신 모드가 설정되면 독취한 데이터를 제1이미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압축하여 제1압축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에 전송한 후 망 접속 상태를 점검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망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 사용중이 아닌 회선으로 호출 신호를 송출하여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공유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대 기기에 송신하는 제2단계와, 링 신호가 접속되어 수신 모드가 설정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용 압축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른 회선이 사용중인지 판별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다른 회선이 사용 중이면 상기 통신용 압축 메모리에 수신 데이터의 저장을 계속 수행하고 사용 중이 아니면 상기 통신용 압축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에 전송하여 전송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에서 공유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2압축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복원하고 이 복원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2이미지 메모리에 저장된 후 기록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송신(또는 수신) 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수신(또는 송신) 모드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수신(또는 송신) 모드가 발생하면 수신(또는 송신) 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통신용 압축 메모리에 저장한 후 송신(또는 수신) 모드가 종료되는지 판별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송신(또는 수신) 모드가 종료되면 통신용 압축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에 전송한 후 화상 처리 수단(또는 상대 기기)에 전송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방법.
KR1019930028097A 1993-12-16 1993-12-16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KR97000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97A KR970003477B1 (ko) 1993-12-16 1993-12-16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97A KR970003477B1 (ko) 1993-12-16 1993-12-16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60A KR950023060A (ko) 1995-07-28
KR970003477B1 true KR970003477B1 (ko) 1997-03-18

Family

ID=1937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097A KR970003477B1 (ko) 1993-12-16 1993-12-16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4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60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738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70998B2 (ja) 画像通信装置
KR970003477B1 (ko) 팩스의 복수 전화망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JPS58197952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3109856A (ja) データ通信装置
JPS5940768A (ja) 自動宛先発信機能をもつフアクシミリ装置
JP2626777B2 (ja) 画像通信装置
JP254182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29026B1 (ko) 팩시밀리와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싱 방법
JPH0131342B2 (ko)
KR960012536B1 (ko) 팩시밀리의 양면 스캔 전송장치
JP3015429B2 (ja) 画像伝送装置
JP2945780B2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281661A (ja) パソコン・フアクシミリの自動着信方式
JP251086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6434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30015629A (ko) 컴퓨터-팩시밀리 접속 시스템에서의 화상 데이타 수신을 위한 팩시밀리 측 제어 방법
JPH028275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134976A (ja) Fax画像情報の蓄積方法
JPH0415036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22540A (ja) メールボツクスを有したフアクシミリ装置
KR930015622A (ko) 팩시밀리의 메모리 송신장치
JPH0327055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204884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35237A (ko) 팩시밀리에서 동화상 통신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