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80B1 -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80B1
KR970003380B1 KR1019930018628A KR930018628A KR970003380B1 KR 970003380 B1 KR970003380 B1 KR 970003380B1 KR 1019930018628 A KR1019930018628 A KR 1019930018628A KR 930018628 A KR930018628 A KR 930018628A KR 970003380 B1 KR970003380 B1 KR 97000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signal
speed
prob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479A (ko
Inventor
유명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80B1/ko
Publication of KR9500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송신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셋-업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램
3 : 롬 4 : 모뎀
5 : 이득제어부 6 : 엔씨유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라인의 상태에 따라 전송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에 변조방식, 모뎀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속도로 송신케 함으로써 팩시밀리의 송신수신을 줄이는데 적당하도록 한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송신장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의 통신제어를 하는 중앙처리장치(1)와, 그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2) 및 프로그램 롬(3)과, 송수신 데이터를 변조/복조하는 모뎀(4)과, 송수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5)와, 공중회망인 통신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엔씨유(NCU : Network Control Unit)(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독취부, 키보드 및 프린트부등 기타 다른 부분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팩시밀리의 통신은 먼저, 통화로가 연결된후(호(呼)가 성립된후)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의 소정단계(T.30)에서 권고하는 일정한 처리과정에 의해 상호 팩시밀리간에 통신을 수행케 된다.
이때, 통신 초기에 핸드쉐이크(Hand-shake)를 행하여 팩시밀리간에 여러가지 통신 모드를 확정하는데 통신모드중 하나로서 상호 팩시밀리간의 전송속도가 확정된다.
전송속도를 확정하는 순서는 먼저, 송신 팩시밀리가 일정한 속도로 모뎀을 셋-업(Set-up)한후에 일정한 패턴(Patten)의 트레이닝(training)신호와 모두 "0"값 패턴의 송신 속도 조절신호(TCF : Training Check Frame)를 송출한다.
수신측에서는 상기 송신속도 조절신호를 수신한후 수신상태를 체크하여 이상이 없이(Error-Free)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속도를 팩시밀리 전송속도로 확정지어 팩시밀리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만약, 수신된 티씨에프신호가 전송선로등의 잡음원인으로 인하여 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수신측 팩시밀리가 수신불가의 의미로 수신불가신호(FTT : Fail to Training)를 송신측에 송출하며, 그 명령신호를 접수한 송신측에서는 최초의 전송속도보다 속도를 1단계(1 step)줄이고(Speed-Down, or Fall-Back), 다시 트레이닝 송신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수신측에서는 또다시 송신속도 조절신호의 수신 이상여부를 체크한후 해당속도에서의 통신실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속도를 1단계씩 줄이면서 에러없이 통신이 가능한 전송속도를 확정하는 것을 폴-백(Fall Back) 과정(Procedure) 이라고 하며, 기존 9600bps(bit per sec)급 팩시밀리의 폴-백은 9600 - 7200 - 4800 - 2400bps로 1단계식 속도를 줄이면서 알맞는 전송속도를 확정한다.
그러나, 상기의 폴-백 과정은 기준 9600bps급 팩시밀리의 전송에는 이상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티씨엠(T.C.M) : Trellis Cods Modulation) 방식의 변, 복조방식을 이용한 14.4K, 12.0K, 9.6K, 7.2K bps의 속도를 갖춘 14.4K 모뎀을 이용한 팩시밀리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티씨엠방식 전송에서는 기존 9600bps급의 팩시밀리에서 사용하는 변, 복조방식인 큐에이엠(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디피에스케이(DPSK : Differential Phas Shift Keying) 방식보다 동일한 전송선로조건에서 에러발생 확률(BER : Bit Error Rate)이 적다.
이에따라 티씨엠 방식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다른 방식(QAM 또는 DPAK)에 비해 고속일지라도 그 저속 전송의 다른 방식에서보다 에러가 적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기존 폴-백 과정을 수행할때에 1단계씩 전송속도를 줄이게 되면, 불필요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에러 발생확률(BER)이 낮은 속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에러발생 확률이 높은 1단계 아래의 속도에서 송신속도 조절신호 검색을 할 필요가 없으나, 기존의 1단계씩 줄이는 폴-백 과정에 의하면, 차례로 1단계씩 줄여서 수행하므로 불필요한 과정을 수행해야 하고, 이로인해 불필요한 지연시간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4.4K bps(bit per sec) 모뎀을 사용하는 팩시밀리에서 효율적으로 폴-백을 수행하여 지연시간을 줄이도록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통신속도 조절신호(TCF : Training Check Frame)검색을 하여 통신 속도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전송속도 셋-업 알고리즘에 있어서, 14.4K bps 모뎀을 사용하는 팩시밀리 시스템의 폴-백시에 기존의 방식은 무조건 1단계씩 속도를 줄이는 트레이닝 및 티씨에프 체크를 하였으나, 본 발명은 각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BER)을 감안하여 무조건 1단계씩 속도를 줄이지 않고 현재의 속도보다 에러발생 확률이 낮은 속도로 전송속도를 줄여 트레이닝과 송신속도 조절신호를 검색하고, 최종 통신 속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미리 알고 있는 모뎀의 각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 확률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호출음(CNG) 송출에 대한 수신측으로부터 인지신호(CED) 및 착신국 식별신호(DIS)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응답신호(DCS), 초기 트레이닝 및 전송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 불가신호(FTT)가 수신되면, 현재의 전송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 불가신호(FTT)가 수신되면, 현재의 전송속도에서의 에러 발생 확률(BER)과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 발생 확률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속도에서의 에러 발생확률이 상기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 발생확률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낮추고자 하는 전송속도를 팩시밀리의 전송속도를 셋-업하여 착신국 식별번호에 대한 응답신호(DCS)와 셋-업된 트레이닝 및 전송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한후 이에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 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이 상기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 발생확률 보다 작은 경우에는, 한단계 더 낮은 전송속도를 팩시밀리 전송속도로 선택하고 그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확률을 상기 현재 전송속도에서의 에러확률과 다시 비교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결과 수신 불가신호(FTT) 아니 수신 가능신호(CER)가 수신되면, 송신원고 데이터를 코딩하여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팩시밀리 전송이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셋-업 제어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초에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뎀의 각 전송속도(14.4K, 12.0K, 9.6K(TCM), 7.2K(TCM), 9.6K(QAM), 4.8K, 2.4K)의 에러 발생 확률(BER) 값을 시스템롬상에 미리 저장한다(S1).
이어서,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에 의해 권고된 소정의 단계(CCiTT T.30의 단계B)(S2)에서 상대방에서 송출한 인지신호[CED(Calied Station Identification) DiS(Digital Identification)]를 수신하고(S3), 그 내용(DIS)을 분석(S4)한후, 최초 송신속도(S)를 셋-업하며(S5), 명령신호(DCS : Digital Command Signal)를 송신(S6)하고, 최초의 송신속도(S)에서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 : Training Check Frame)를 송신한다(S7).
이후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불가를 의미하는 수신불가신호(FTT : Failure To Train)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S8).
상기에서 수신불가신호(FTT)가 수신되지 않고 정상수신이 가능하다는 수신가능신호(CFR : Confirmation Tp Receive)가 수신되면, 송신원고를 코딩하여 송신하는 수준을 수행하고(S23, S24, S25), 상기에서 수신불가신호(FTT)가 수신되면, 수신불가를 의미하므로, 최초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발생확률(B)과 상기 전송속도(S)보다 1단계 낮은 전송속도(S-1)(예를 들면 S=14.4K라면, S-1=12.9K)에서의 에러발생확률(B-1) 값을 읽어온다(S9).
상기 두개의 에러발생확률(B와 B-1)을 비교(B>B-1)하여 (S10) 최초 단계의 에러발생확률(B)이 다음단계의 에러발생확률(B-1)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다음단계의 전송속도(S-1)를 셋-업하고(S11), 명령신호(DCS)를 송신(S12)하며, 그 전송속도(S-1)에서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를 송출한 후(S14), 상기 수신불가신호(FTT) 검색단계(S8)로 되돌아가 반복 수행한다.
즉, 현재 전송속도(S)에서 수신불가이면, 그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발생확률(B)과 한단계 낮은 전송속도(S-1)에서의 에러발생확률(B-1)을 비교하여 현재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발생확률(B)이 큰 경우에 한단계 낮은 전송속도(S-1)를 셋-업하여 다시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를 송신하여 수신측으로부터 수신가능신호(CER) 또는 수신불가신호(FTT)를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두개의 에러발생률(B와 B-1)을 비교하여(S10) 최초단계의 에러발생확률(B)이 다음단계의 에러발생확률(B-1)을 비교하여(S10) 최초단계의 에러발생확률(B)이 다음단계의 에러발생확률(B-1)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최초 전송속도(S)보다 두단계 낮은 전송속도(S-2)에서의 에러확률갑(B-2)을 읽어(S13)서 상기 최초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확률(B)과 비교하고(S15), 그 비교결과 최초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확률(B)이 크면(B>B-2), 전송속도를 두단계 낮은(S-2) 속도로 셋-업하고(S16), 명령신호(DCS) 송신(S17), 그 전송속도(S-2)로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를 송신한후(S18), 응답을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최초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확률(B)과 한 단계 낮은 전송속도(S-n)에서의 에러발생확률(B-n)을 비교하여 최초의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확률(B)이 큰 경우에는 비교된 단계의 전송속도(S-n)를 셋-업하고 명령신호(DCS),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 송신후 응답을 기다리고, 최초의 전송속도(S)에서의 에러확률(B)이 작은 경우에는 한 단계 더 낮은 전송속도에서의 에러확률과 비교하여 과정을 반복한다(S19-S22).
이렇게하면, 수신에러신호, 즉 수신불가신호(FTT)를 수신한 경우에 기존에는 무조건 1단계씩 전송속도를 낮추어서 착신국식별신호에 대한 응답신호(DCS)를 송신,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 송신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무조건 1단계씩 전송속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먼저 에러발생확률을 비교하여 최초 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보다 낮추는 것이 아니라, 먼저 에러발생확률을 비교하여 최초 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보다 낮은 경우에만 응답신호(DCS)송신,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TCF) 수준을 수행하므로, 통신 전송속도 셋-업 과정중 불필요한 전송속도에서의 수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알고리즘은 팩시밀리 뿐만이 아니라 아날로그 전송라인에서의 모뎀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송수신 수순에는 적용이 가능하면, 이렇게 할 경우에 각 단말기의 송수신 수순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전송속도 폴-백시에 수신에러가 발생되면, 낮추고자 하는 전송속도와 최초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 확률을 비교하여 낮추고자하는 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이 낮은 경우에만 그 낮추고자하는 속도를 모뎀의 전송속도로 셋-업하여 트레이닝 및 송신속도 조절신호를 송신하므로 불필요한 속도에서의 송신진행을 실시하지 않게 되어 전체 송신수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뎀의 각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송신측의 호출음(CNG) 송출에 대한 수신측의 인지신호(CER) 및 착신국 식별신호(DIS)를 수신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DCS), 초기 트레이닝 및 전송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불가 신호(FTT)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수신불가신호(FTT)가 수신되면, 현재의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BER)과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이 상기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낮추고자 하는 전송속도를 현재 전송속도로 셋-업하여 착신국식별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DCS)와 상기 셋-업된 트레이닝 및 전송속도 조절신호를 송출한후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이 상기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 보다 작은 경우에는, 한단계 더 낮은 전송속도를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로 선택하고 낮추고자하는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을 상기 현재 전송속도에서의 에러발생확률과 다시 비교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결과 수신불가신호(FTT) 아닌 수신가능신호(CFR)가 수신되면, 송신원고 데이터를 코딩하여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KR1019930018628A 1993-09-16 1993-09-16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KR97000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628A KR970003380B1 (ko) 1993-09-16 1993-09-16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628A KR970003380B1 (ko) 1993-09-16 1993-09-16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79A KR950010479A (ko) 1995-04-28
KR970003380B1 true KR970003380B1 (ko) 1997-03-18

Family

ID=1936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628A KR970003380B1 (ko) 1993-09-16 1993-09-16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79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126A (en)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with selected signal transmission rate
KR100339148B1 (ko) 데이터통신장치및데이터통신방법
CN1236512A (zh) 一种可自动选择传输率的数字通信系统
US6314170B1 (en) Modem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6122071A (en) Facsimile apparatus capable of executing communication protocol for identifying type of modem of destination station
KR970003380B1 (ko) 팩시밀리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US5617221A (en) Facsimile modem for passing image information to a facsimile machine and computer
JP3573491B2 (ja) ファクシミリ品質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および同一機能を用いたシステム
KR0157711B1 (ko) 데이타 통신단말장치에서 등화방법
US20030090738A1 (en) Channel estimation in a facsimile modem and method therefor
JPH11179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66636B1 (ko)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JP3280461B2 (ja) ファクシミリ受信制御装置
KR100240076B1 (ko) 복합기의 교신시간 단축방법
JP3305438B2 (ja) モデム通信方法
JP305959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2310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21472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30002687B1 (ko) 팩시밀리에서의 송, 수신방식
JP2996187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S60120635A (ja) 通信装置
JPH06315077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42115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Hui et al. Comparison of standard G3 and ECM G3 transmission using computer simulation
JPH0618151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