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96Y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96Y1
KR970003296Y1 KR2019930026653U KR930026653U KR970003296Y1 KR 970003296 Y1 KR970003296 Y1 KR 970003296Y1 KR 2019930026653 U KR2019930026653 U KR 2019930026653U KR 930026653 U KR930026653 U KR 930026653U KR 970003296 Y1 KR970003296 Y1 KR 97000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lectron gun
electrode structure
weld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056U (ko
Inventor
손기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6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296Y1/ko
Publication of KR950021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조립 상태 정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 전극 구조체의 부품도로서,
제2a, b도는 종래 인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
제3a, b도는 종래 캡의 구조를 보인 평면또 및 단면도.
제4a, b도는 종래 전극 구조체의 조립 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5도는 본 고안 인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6a,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극 구조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인너 11a, 11b, 11c : 공경
11d, 11e :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 11f, 11g : 용접 플랜지부
12 : 캡 12a : 타원 장공형 공경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불량을 방지하여 품질 향상에 적합하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1)과 가열시키는 히터(2)와, 상기 음극(1)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면까지 집속시키는 다수개의 전극(3)(4)(5)(6)(7)(8)(9)들이 한 쌍의 비드 글래스(1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매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의 전극(3)(4)(5)(6)(7)(8)(9)들에 각각의 다른 전압이 인가되어 각 전극간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동작을 하는 것이다.
최근 브라운관이 차츰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화질도 그 만큼 선명해야 된다는 과제가 따른다.
이에 따라 전자총도 고화질을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각 전극들의 R, G, B 공경이 기존 보다 커져야 한다.
그러나, 한정된 브라운관의 공간내에서 전극 공경을 키운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극의 공경을 타원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제2a, b도는 종래 전극 구조체를 구성하는 인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제3a, b도는 동상의 캡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극 구조체는 중간부에 타원 공경(11a)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반타원 공경(11b)(11c)이 형성된 판형태의 인너(11)와, 하나의 타원 장공형의 공경(12a)이 형성된 컵형태의 캡(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극 구조체는 제4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2)의 내부에 인너(11)를 삽입하여 용접함으로써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극 구조체에 있어서는, 인너(11)를 캡(12)에 용접 결합함에 있어, 용접조건을 잡기가 매우 어려워 조립성 및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였고, 또한 조립 불량을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인너(11)를 캡(12)에 용접함에 있어, 인너(11)의 용접 깊이가 매우 중요한데, 종래에는 인너(11)의 용접길이를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 치구(13)를 사용하여 조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보조치구(13)를 사용함으로 해서 인너(11)와의 면 접촉과정에서 평행도 불량등의 이유로 먼 스크래치 불량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으며, 구조상 캡(12)의 외측에서 레이져 용접을 하게 되어 있으므로 용접 스플래쉬가 발생하는등 용접 조건을 잡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캡(12)의 내면과 인너(11)의 외측 사이즈가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인너(11)를 캡(1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캡(12)의 내면에 흠집이 발생되거나, 용접시 용접편이 발생하는등 조립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너와 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원 공정의 양측에 반타원 공경이 형성된 인너와 하나의 타원 장공형 공경이 형성된 캡을 용접, 결합하여 구성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인너의 양측을 절곡하여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캡의 상면에 면 접촉되는 용접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너의 내면 폭을 삽입시 캡 내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체는 인너의 폭이 캡 내면 폭 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인너 삽입시 발생하는 캡 내면의 흠집(scratch)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인너 부품 자체가 인너 깊이를 보정해 주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깊이보정치구 및 깊이유지에 필요한 작업이나 공정들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용접조건이 종래에 비해 쉽고 안정적으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 용접 스플래쉬 불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제5도는 본 고안 인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6a,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극 구조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는 타원 공경(11a)의 양측에 반타원 공경(11b)(11c)이 형성된 인너(11)와 하나의 타원 장공형 공경(12a)이 형성된 캡(12)을 용접, 결합하여 구성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인너(11)의 양측을 절곡하여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11d)(11e)를 형성함과 아울러 캡(12)의 상면에 면 접촉되는 용접 플랜지부(11f)(11g)를 형성하고, 상기 인너(11)의 내면폭을 삽입시 캡(12) 내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인너(11)의 형성을 개조하여 조립을 용이하게한 것으로, 우선 그의 폭을 캡(12)의 내면 폭보다 충분히 작게하여 부품 삽입시 발생하는 캡(12)과의 접촉으로 인한 흠집 불량을 해소하였고, 또한 인너(11)에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11d)(11e)를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와 같은 별도의 깊이 보정 치구 없이 부품만 삽입하여 용접을 해도 인너(11)의 깊이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전극 구조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캡(12)에 인너(11)를 제6a도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여 인너(11)의 용접 플랜지부(11f)(11g)가 캡(12)의 상부 결합면에 맞닿게 한다.
이때, 인너(11) 자체에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11d)(11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너(11) 깊이가 자연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용접을 하므로서 조립하여 하나의 완성된 전극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는 인너의 폭이 캡 내면 폭 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인너 삽입시 발생하는 캡 내면의 흠집(scratch)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인너 부품 자체가 인너깊이를 보정해 주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깊이보정지구 및 깊이유지에 필요한 작업이나 공정들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용접조건이 종래에 비해 쉽고 안정적으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어 용접 스플래쉬 불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타원 공경의 양측에 반타원 공경이 형성된 인너와 하나의 타원장공형 공경이 형성된 캡을 용접, 결합하여 구성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인너의 양측을 절곡하여 인너 깊이 유지용 안내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캡의 상면에 면접촉되는 용접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너의 내면 폭을 삽입시 캡 내면과이 접촉으로 인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체.
KR2019930026653U 1993-12-07 1993-12-07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970003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53U KR970003296Y1 (ko) 1993-12-07 1993-12-07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53U KR970003296Y1 (ko) 1993-12-07 1993-12-07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056U KR950021056U (ko) 1995-07-26
KR970003296Y1 true KR970003296Y1 (ko) 1997-04-14

Family

ID=1937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653U KR970003296Y1 (ko) 1993-12-07 1993-12-07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2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056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898B1 (ko) 칼라수상관
KR97000329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200187374Y1 (ko) 전자총 전극의 조립지그
KR20019010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l gun for cathode ray tube)
KR910002933Y1 (ko) 음극선관용 전극
KR0131942Y1 (ko) 전극 스페이서
KR011433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KR97001004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의 집속용 전극구조
KR100759546B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터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총
KR100893614B1 (ko) 음극선관용 히터 지지구조
KR92000455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조립방법 및 그 조립치구
KR200176977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20036391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8717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98841Y1 (ko) 음극선관의전극조립용치구
KR20018361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94000654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5255Y1 (ko) 전자총의 컨버전스 컵
KR01779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33793Y1 (ko) 캐소드의 접합정합 검사지그
KR930004531Y1 (ko) 음극선관용 마운트 조립 지그
KR9400054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900000352B1 (ko) 칼라화상표시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2886B1 (ko) 인라인형 전자총의 음극지지체 제조방법
KR200145254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