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029B1 -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029B1
KR970003029B1 KR1019920008948A KR920008948A KR970003029B1 KR 970003029 B1 KR970003029 B1 KR 970003029B1 KR 1019920008948 A KR1019920008948 A KR 1019920008948A KR 920008948 A KR920008948 A KR 920008948A KR 970003029 B1 KR970003029 B1 KR 97000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s
infrared light
video camera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457A (ko
Inventor
한성숙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029B1/ko
Publication of KR93002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제 입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부 절계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경통 6 : 하우징
9 : 제2경통 10 : 수광렌즈
11 : 제3경통 12 : 검출소자
13 : 워엄 14 : 나사무
15 : 플랜지 16 : 워엄휘일
17,18,19 : 제1,제2,제3핀 20 : 연동판
21 : 스프링 22 : 가이드 봉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움직이는 피사체에 대해 연속적으로 촛점을 자동조절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난방지 또는 무인공장이나 창고의 관리를 위한 CCTV등 감시용 카메라로 사용되는 비디오카메라는 카메라의 전방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나타나던가 카메라를 선회시킬때 그 시야에 나타나는 피사체들의 거리차이에 따라 카메라의 촛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래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는 발광부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적외선광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발사하여 이로부터반사되어 오는 적외선광을 수광부의 수광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렌즈를 전후진시켜 촛점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촛점조정창치는 수광부의 소광센서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회동되게 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시 외부로부터의 적은 충격에도 상기 수광센서가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촛점조정장치의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그 구조가 간단할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의 위험성을 배재한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촛점조절렌즈군이 내장되며 촛점조절용 모터에 의해 전·후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경통과, 적외선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 및 적외선광을 피사체로 발사시키는 발광렌즈가 내장된 제2경통과, 상기 발광렌즈로부터 피사체로 발사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광을 접속하는 수광렌즈가 내장된 제3경통과, 상기 수광렌즈에 의해 접속된 적외선광으로부터 촛점 에러를 검출하는 검출소자와, 상기 제2,제3경통 및 검출소자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된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가 수납된 제3경통이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경통의 전후이동에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광렌즈가 좌·우 이동되면서 상기 검출소자의 전류차가 0가 되는 위치에 반사된 적외선광을 집속시키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촛점조절렌즈군(1)이 내부에 설치된 제1경통(2)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기어부(3)와 이에 치합되는 촛점조절모터(4)의 기어(5)에 의해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경통(2)의 하부에 설치된 하우징(6)에 적외선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7) 및 적외선광을 피사체로 발사시키는 발광렌즈(8)가 내장된 제2경통(9)과, 상기 발광렌즈(8)로부터 피사체로 발사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광을 집속하는 수광렌즈(10)가 내장된 제3경통(11) 및 상기 수광렌즈(10)에 의해 집속된 적외선광으로부터 촛점에러를 검출하는 검출소자(12)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렌즈(10)가 수납된 제3경통(11)은 이동수단에 의해상기 제1경통(2)의 전후이동에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3경통(11)의 일측 상·하면에 그 회전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축의 일단에 드라이버홈(23)이 형성된 워엄(13)과; 회전축의 일단에 나사부(14)와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상기 제3경통(11)의 일측면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6)의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휘일(16)과; 상기 제1경통(2) 후단면에 접속되는 제1핀(17), 상기 하우징(6)의 일측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핀(18), 상기 워엄휘일(16)이 나사결합되는 제3경통(11)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워엄휘일(16)의 플랜지(15) 측면과 접촉되는 제3핀(19)이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그 상·하면에 설치된 연동판(20)과, 상기 제3경통(11)을 상기 제2경통(9)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21)과, 상기 제3경통(11)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제2경통(9)과 하우징(6)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봉(2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발광소자(7)로부터 발생된 적외선광이 발광렌즈(8)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로 발사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광은 제3경통(11)의 수광렌즈(10)에 의해 검출소자(12)로 접속되게 된다. 검출소자(12)에 접속된 적외선광은 검출소자(12)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자동촛점조절신호처리 및 연산회로로 인가되고 자동촛점조정신호처리 및 연산회로는 입력된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따라 촛점조절용모터(4)의 구동회로에 정·역 회전신호를 보내 촛점조절용 모터(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경통(2)을 전후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경통(2)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이 제1경통(2)이 후단면에 접촉되는 제1핀(17)이 설치된 연동판(20)이 제2핀(18)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됨과 동시에 연동판(20)에 설치된 제3핀(19)이 상기 제2핀(18)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3경통(11)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3핀(19)이 워엄휘일(16)의 플랜지(15)를 밀게 됨에 따라 제3경통(11)이 가이드봉(22)을 따라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해 검출소자(12)에서 검출되는 전류차가 전류차가 0이 될때까지 좌우로 이동되다가 검출소자(12)에서 검출되는 0가 되면 촛점조절신호처리 및 연산회로에서 전류의 대소차를 판별할 수 없게 되어 모터 구동회로를 정지시키게 됨에 따라 모터가 정지되고 이에 따라 제1경통(2) 및 수광렌즈(10)가 촛점조절이 완료된 상태로 정지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움직이는 피사체에 대해 반복적으로 행해지게 됨에 따라 움직이는 피사체의 연속적인 자동촛점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경통(11)은 워엄(13), 워엄휘일(16)에 의해 그 초기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워엄(13)의 회전축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23)에 드라이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된 워엄휘일(l6)이 회전되게 되고 워엄휘일(16)이 회전됨에 따라 워엄휘일(16)의 회전축에 형성된 나사부(14)가 나사결합된 제3경통(11)이 좌우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같이 제3경통(11)을 이동시켜 제3경통(11)에 내장된 수광렌즈(10)의 중심을 검출소자(12)의 중심에 일치시켜 제3경통(11)의 초기위치를 세팅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는 종래와 같이 수광센서를 회동시키지 않고 이동수단에 의해 제1경통의 전후이동에 따라 수광렌즈가 좌우이동되면서 검출소자의 전류가 0가 되는 위치에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광을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수광센서를 회동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자동촛점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되는등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촛점조절렌즈군이 내장되며 촛점조절용 모터에 의해 전·후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1경통과, 적외선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 및 적외선광을 피사체로 발사시키는 발광렌즈가 내장된 제2경통과, 상기 발광렌즈로부터 피사체로 발사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광을 집속하는 수광렌즈가 내장된 제3경통과, 상기수광렌즈에 의해 집속된 적외선광으로부터 촛점에러를 검출하는 검출소자와, 상기 제2, 제3경통 및 검출소자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된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10)가 수납된 제3경통(11)이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경통(2)의 전후이동에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광렌즈(10)가 좌 우 이동되면서 상기 검출소자(12)의 전류차가 0가 되는 위치에 반사된 적외선광을 집속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제3경통(11)의 일측 상하면에 그 회전축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축의 일단에 드라이버홈(23)이 형성된 워엄(13)과, 회전축의 일단에 나사부(14)와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상기 제3경통(11)의 측면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6)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휘일(16)과, 상기 제1경통(2) 후단면에 접속되는 제1핀(17), 상기 하우징(6)의 일측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핀(18), 상기 워엄휘일(16)의 플랜지(15) 사이에 결합되는 제3핀(19)을 가지는 연동판(20)과, 상기 제3경통(11)을 상기 제2경통(9)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21)과, 상기 제3경통(11)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제2경통(9)과 하우징(6)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봉(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정장치.
KR1019920008948A 1992-05-26 1992-05-26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KR97000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948A KR970003029B1 (ko) 1992-05-26 1992-05-26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948A KR970003029B1 (ko) 1992-05-26 1992-05-26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57A KR930024457A (ko) 1993-12-22
KR970003029B1 true KR970003029B1 (ko) 1997-03-13

Family

ID=1933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948A KR970003029B1 (ko) 1992-05-26 1992-05-26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0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57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650B1 (ko) 입체 카메라용 연동 줌 장치
KR100573697B1 (ko) 광학기기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US7164855B2 (en) Optical apparatus
US4591919A (en) Automatic focus control system and camera using same
US4563705A (en) Automatic focu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4558367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video camera
US5239415A (en) Lens barrel using a surface wave motor
US4518242A (en)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KR970003029B1 (ko) 비디오카메라의 자동촛점조절장치
US5267044A (en) Automatic focusing system for use in cameras having zooming function
US4394077A (en) Device for detecting sharp focusing
US4465352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US6937817B2 (en) Camera including cam member for interlocking image-taking optical system and view finder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JPH0588068A (ja) 撮像装置
US5305038A (en) Zoom lens camera
US3549889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using the differential comparison method
JPH0843718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フォーカスレンズの原点検出機構
JPH0474683B2 (ko)
JPH06300962A (ja) カメラの自動焦点調節装置
KR100189851B1 (ko) 카메라의 자동 촛점조절장치
US4021821A (en) Automatic focus control motive means
KR960009611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 촛점 조절장치
KR920005021B1 (ko)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촛점 조절장치
JP2583874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とズームレンズ群の駆動方法
US4575764A (en) Video camera auto foc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