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969Y1 - 다용도 헬스 의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헬스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969Y1
KR970002969Y1 KR2019940022536U KR19940022536U KR970002969Y1 KR 970002969 Y1 KR970002969 Y1 KR 970002969Y1 KR 2019940022536 U KR2019940022536 U KR 2019940022536U KR 19940022536 U KR19940022536 U KR 19940022536U KR 970002969 Y1 KR970002969 Y1 KR 970002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frame
section
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28U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규 filed Critical 박종규
Priority to KR2019940022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969Y1/ko
Publication of KR960007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용도 헬스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작용 표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분의 설명
1 : 의자 2 : 지지골조
3 : 등받이간 4 : 손잡이간
5 : 지지간 6 : 요입부
7 : 걸림간 8 : 고정쇠
9 : 핀축 10 : 사각 파이프
11 : 승강관 12 : 승강봉
13 : 손잡이 14 : 스토퍼
본 고안은 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하고 헬스나 요가운동이 필요한 경우 즉석에서 매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다용도 헬스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사용하는 의자는 주로 고정식 또는 회전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경우 운동량이 극히 적어서 허리에 요통이 발생하거나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는 바, 지금까지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된 의자와는 별도로 헬스용 기구나 의자등을 구비하여 사용하므로서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저조하고 또한 장비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도히 소요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1993년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19676호를 안출한 바 있으나,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의 경우도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 앙등됨은 물론 양산성이 크게 저조한 폐단이 있으며 사용중 고장의 발생율이 높은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내부의 스프링에 변형이 발생하여 사용수명이 극히 단기적인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의자의 등받이를 변위되게 설치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에 있어서, 걸림장치와 작동장치를 개량하므로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작동이 용이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헬스나 요가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소형의 부피로 비치하였다가 필요시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간(4)과 지지골조(2) 및 등받이간(3)으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1)의 구성에 있어서, 지지골조(2)의 양단 중앙부에 고정쇠(8)를 용착하여 등받이간(3)을 핀축(9)에 의해 축설하고 지지골조(2)의 후방경사부에는 손잡이(13)를 갖는 승강봉(12)을 승강관(11)에 나사 결합한 상태로 설치한 사각 파이프(10)를 용착 고정하고 하부에는 일체적으로 스토퍼(14)를 착설한다.
그리고 등받이간(3)의 핀축(9)이 결합되는 상측에는 요입부(6)를 갖는 지지간(5)을 고정하되, 상기 지지간(5)은형으로 구성하여 끝단부는 걸림간(7)을 형성하므로서 손잡이(13)의 승강관(11)의 승하강에 따라 걸리거나 해리될 수 있게 하며 등받이간(3)과 지지골조(2)의 하단에는 스프링을 탄설하여 등받이간(3)은 항상 경사진 지지골조(2)와 일직선을 이루는 힘이 작용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된 고안은 통상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하여 평상시는 일반적인 의자(1)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운동이나 헬스 요가운동으로 사용할 경우는 먼저 사각 파이프(10)에 결합된 손잡이(13)를 상부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하부의 승강봉(12)과 승강관(11)이 상부로 올라가면 등받이간(3)은 지지골조(2)로 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고정쇠(8)의 핀축(9)을 중심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의자(1)에 앉아서 뒤로 젖히면 등받이간(3)은 고정쇠(8)의 핀축(9)을 축지점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는 바, 지지골조(2)와 등받이간(3)의 하부에 탄설된 스프링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서 등받이간(3)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므로 결국은 몸을 후방으로 완전히 젖혀서 흡사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을 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으로 헬스나 요가운동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등받이간(3)이 후방으로 과도히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지간(5)의 고정쇠(8)의 상부에 요입부(6)를 요설하므로서 등받이간(3)이 하부로 완전히 젖혀지게 되면 지지간(5)의 요입부(6)가 지지골조(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어 등받이간(3)은 더이상 젖혀지는 폐단이 방지되고 몸을 우호 일으키게 되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등받이간(3)은 지지골조(2)와 일직선상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수직으로 일으켜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헬스나 요가 운동을 하게 되면 의자(1)의 등받이가 전방으로 과도히 당겨지게 되는 바, 이때는 요입부(6)의 반대편 지지간(5)이 지지골조(2)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어 등받이간(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즉, 등받이간(3)이 지지골조(2)에 대해 과도히 젖혀질 경우는 요입부(6)에 의해 후방으로 걸리게 되고 전방으로 과도히 당겨질 경우는 요입부(6)의 내측 지지간(5)에 의해 스프링의 탄발력을 제어하므로 결국은 등받이간(3)은 지지간(5)의 구성에 따라 일정한 범위내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지나 지지간(5)에서 받는 힘이 작을 경우는 사각 파이프(10)의 하단에 용착된 스토퍼(14)에 의해 지지간(5) 전방의 걸림간(7)이 밀착되어 등받이간(3)은 더이상 앞으로 넘어 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연속적으로 윗몸 일으키기를 하고 필요에 따라 후방 물구나무 서기 운동을 할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등받이간(3)을 후방으로 완전히 젖힌 상태에서 다리를 상부로 올린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흡사 물구나무 서기 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윗몸 일으키기와 물구나무 서기 운동 외에도 의자(1)에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간(4)을 잡고 전후로 이동하는 등의 여러가지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동작으로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도중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끝난 후에 다시 본 동작으로 전환할 경우는 사각 파이프(10)에 결합된 손잡이(13)의 승강봉(12)에 나사 조립된 승강관(11)을 작동하여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승강관(11)이 지지간(5)의 걸림간(7)에 걸리게 되어 결국은 등받이간(3)은 지지간(5)과 걸림간(7)에서 정해진 범위에서 접지가 된 상태에서 승강관(11)의 하단부가 결림간(7)의 내부에 결합되므로 후방의 등받이간(3)은 고정상태가 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는 일반적인 의자(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하고 평상시는 일반적인 의자(1)로 사용하다가 헬스나 요가 운동이 필요할 경우는 간단한 작동으로 각종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주로 학생이나 직장인 등 장시간 의자(1)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경우 틈틈이 운동을 하여 운동부족으로 오는 각종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하나의 의자(1)로서 두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용도 헬스 의자(1)로서 그 실용성이 매우 현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손잡이간(4)과 지지골조(2) 및 등받이간(3)으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1)의 구성에 있어서, 지지골조(2)의 양단 중앙부에 고정쇠(8)를 용착하여 등받이간(3)을 핀축(9)에 의해 축설하고 지지골조(2)의 후방 경사부에는 손잡이(13)를 갖는 승강봉(12)을 승강관(11)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설치한 사각 파이프(10)를 용착 고정하며 하부에는 일체적으로 스토퍼(14)를 착설하고 등받이간(3)의 핀축(9)이 결합되는 상측에는 요입부(6)를 갖는 지지간(5)을 고정하되, 상기 지지간(5)은형으로 구성하여 끝단부는 걸림간(7)을 형성하므로서 손잡이(13)의 승강관(11)의 승하강에 따라 걸리거나 해리될 수 있게 하며 등받이간(3)과 지지골조(2)의 하단에는 스프링을 탄설하여 등받이간(3)은 향상 경사진 지지골조(2)와 일직선을 이루는 힘이 작용될 수 있게 하여서 된 다용도 헬스 의자.
KR2019940022536U 1994-08-30 1994-08-30 다용도 헬스 의자 KR970002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536U KR970002969Y1 (ko) 1994-08-30 1994-08-30 다용도 헬스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536U KR970002969Y1 (ko) 1994-08-30 1994-08-30 다용도 헬스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28U KR960007128U (ko) 1996-03-13
KR970002969Y1 true KR970002969Y1 (ko) 1997-04-08

Family

ID=1939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536U KR970002969Y1 (ko) 1994-08-30 1994-08-30 다용도 헬스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9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57Y1 (ko) * 2008-05-07 2010-08-16 주식회사 서흥인터내셔날 잠금장치가 설치된 접이식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57Y1 (ko) * 2008-05-07 2010-08-16 주식회사 서흥인터내셔날 잠금장치가 설치된 접이식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28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493A (en) Treadmill associated exercise apparatus
US5470298A (en) Exercise apparatus
US5676626A (en) Rocking exerciser
US4768775A (en) Combination rowing machine and chest exerciser
US5423731A (en) Exercise device with two seats
US4883268A (en) Compact, portable, rowing type exercise apparatus usable by a chair-seated exerciser
CN102406350B (zh) 健身电脑椅
JP2006528048A (ja) 背受けを自動的に移動調節する椅子
US4607883A (en) Reclining mechanism for easy chair
KR970002969Y1 (ko) 다용도 헬스 의자
CN210963765U (zh) 户外腿部拉伸训练器
KR101090536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US6390546B1 (en) Massaging chair
ITTO20030080U1 (it) Dispositivo di stiramento applicabile a mobili.
JP3694644B2 (ja) 便器用着座補助装置
CN112807624B (zh) 一种健身器械
US4818018A (en) Stretchable legless chair
CN210433155U (zh) 一种自动沙发铁架的伸展传动组件
JP2812543B2 (ja) マルチ健康座椅子
CN112401549A (zh) 一种支撑装置及设有该支撑装置的多功能椅
CN221012555U (zh) 一种方管结构高承重塑料折叠椅
JP2007029378A (ja) フットレスト及びそのフットレストを備えるフットレスト付ソファ
CN215737907U (zh) 支撑装置及设有该支撑装置的多功能椅
KR200194042Y1 (ko) 다용도 헬스 의자
KR950009846Y1 (ko) 다용도 헬스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