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18B1 -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18B1
KR970002818B1 KR1019940031594A KR19940031594A KR970002818B1 KR 970002818 B1 KR970002818 B1 KR 970002818B1 KR 1019940031594 A KR1019940031594 A KR 1019940031594A KR 19940031594 A KR19940031594 A KR 19940031594A KR 970002818 B1 KR970002818 B1 KR 97000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transmission
cal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184A (ko
Inventor
박용문
주성순
전경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4003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818B1/ko
Publication of KR96002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3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usag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교환기 패킷처리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웨어 기능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위한 패킷 중계호 설정의 절차 흐름도,
제4도는 X. 75 데이타 패킷의 발신측 수신 처리 및 흐름제어 절차 흐름도,
제5도는 X. 25 데이타 패킷의 착신측 수신 처리 및 흐름제어 절차 흐름도,
제6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수신준비완료(RR)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 흐름도,
제7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수신불준비완료(RNR)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 흐름도,
제8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ASP-P) 102 :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PLCP)
103 : 패킷처리모듈(PHM)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기에서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을 위한 흐름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킷교환을 위한 망과 망 사이, 망과 가입자 사이의 데이타 전달 기능을 제공하는 ISDN 교환기로 구성된 종합정보통신망내에서 X. 75 프로토콜에 의해 신뢰성 있는 데이타 패킷 전달을 하도록 한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공중전화망(PSTN)에서 통신 선로를 통해 회선교환 및 패킷 교환을 동시에 제공하는 종합정보통신망으로 진화함에 따라 가입자에게 ISDN 교환기로 구성된 종합정보통신망내에서 패킷교환에 의한 중계가 새로이 요구되어 ISDN 교환기간 국제 권고인 X. 75 프로토콜을 만족시키는 패킷 중계호의 테이타 전달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흐름제어 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요구에 부응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패킷 중계호의 망과 망, 망과 가입자 사이에서 데이타를 전달할때 분산 패킷처리 프로세서들이 X. 75 프로토콜의 흐름제어 절차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간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고, 수신측의 데이타 버퍼가 초과되지 않고, 정확한 데이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킷 중계 루트를 선정하는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ASP-P)와, 상기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와 제어 연결망(CI)으로 연결되어 제어 패킷의 검증과 논리채널 할당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PLCP)와, 상기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와 패킷 버스(PBUS)로 연결되어 X. 75 링크계층 제어와 프레임-패킷 변환 및 패킷 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처리 모듈(PHM)을 구비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 패킷처리기에 적용되는 흐름제어 방법에 있어서, 패킷처리모듈이 패킷 중계호의 호 설정이 완료되어 데이타 전달상태가 되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구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외부의 중계 발신 교환기로부터 X. 75 데이타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타 패킷을 내부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데이타 흐름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수행 후, 외부의 중계 착신 교환기로부터 X. 25 데이타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타 패킷을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데이타 흐름을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수신준비완료 패킷(이하 RR 패킷이라 칭함)이 수신되면 수신번호 분석 및 상태를 변경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수신불준비완료 패킷(이하 RNR 패킷이라 칭함)이 수신되면 수신번호 분석 및 상태를 변경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교환기 패킷처리기의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패킷 중계 루트를 선정하는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ASP-P;Access Switching Processo
r for Packet)(101), 상기 패킷 교환 정합프로세서(101)와 제어 연결망(CI)으로 연결되어 제어 패킷의 검증과 논리채널 할당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PLCP;Packet Layer Control Processor)(102), 상기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l02)와 피킷 버스(PBUS)로 연결되어 X. 75 링크계층 제어와 프레임-패킷 변환 및 패킷 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처리 모듈(PHM:Packet Handing Module)(103)을 구비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소프트웨어 기능 블럭도로서, 상기 패킷처리모듈(103)은 외부의 중계 발신 교환기(STE-X)(202) 및 중계 착신 교환기(STE-Y)(203)에 패킷 중계 링크로 접속되어 패킷 교환을 수행하는 패킷교환 공중 데이타망 X. 75 프로토콜 발신처리부(P75Ho;PSPDN X. 75 protocol Handler originating 이하, P75Ho라 칭함)(232) 및 패킷교환 공중 데이타망 X. 75 프로토콜 착신처리부(P75Ht;PSPDN X. 75 protocol Handler terminating 이하, P75Ht라 칭함)(233), B-채널 X. 25 프로토콜 처리부(B25H;X. 25 protocol Handling for B-channel 이하, B25H라 칭함)(231)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102)는 발신 및 착신측의 패킷 검증과 논리 채널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P75Ho(232)에 연결되는 PSPDN 발신 패킷호 제어부(PICCo; PSPDN Interworking Call Contro1 originating 이하, PICCo라 칭함)(22l) 및 상기 P75Ht(233)에 연결되는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102)에서의 PSPDN 착신 패킷호 제어부(PICCt;PSPDN Interworking Cal1 Control terminating 이하, PICCt라 칭함)(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합교환 프로세서(10l)는 상기 PICCo(221)의 패킷호 설정 요구에 따른 호 진행 제어를 수행하는 패킷호 방향 제어부(PDC;Packet Direction Call Contro1 이하,PDC라 칭함)(211), 상기 PICCo(221)와 PDC(211)에 연결되어 고정경로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며 중계 루트를 선택하는 패킷중계 경로선택 제어부(POC;Packet Outward-cell Contro1 이하, POC라 칭함)(212)를 포함하며, 상기 PDC(211)의 제어에 따라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번호번역 프로세서(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는 NTR(Number Translation)(201)을 포함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위한 패킷 중계호 설정의 절차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패킷 증계호의 데이타 전달 및 흐름제어를 위한 선행 단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호의 설정과정은, 먼저 중계 발신교환기(202)로부터 입력된 X. 75 호 요구패킷을 분석하고 검증한 후(31), 번호번역을 하여 패킷 중계호를 확인한 후 중계 루트를 선택하고 착신 중계 링크를 선정하여 발신측 호 제어 프로세스에 알린다(32). 그리고 발신측 호 제어 정보 저장 후 호요구패킷을 착신 패킷 처리모듈(103)에 전달하여(33), 착신측 논리채널을 부여하고 호 요구 패킷을 변환한 후 중계 착신 교환기로 X. 25 호 요구 패킷을 전송한다(34). 그리고 중계 착신 교환기(203)로부터 X. 25호 접속 패킷이 수신되면 호 접속 패킷을 검증하고 착신측 호처리 자원을 할당하며, 발신측 호 제어 정보를 정리하여 착신측 호 설정 처리를 완료한 후 발신 패킷처리모듈(103)로 호 접속 패킷을 전달한다(35). 이제 호 접속 패킷을 검증하고 발신측 호처리 자원을 할당하여 착신측 호 제어정보를 정리하고, 발신측 호 설정 처리를 완료한 후 중계 발신 교환기(202)로 X. 75호 접속 패킷을 전송하여(36) 중계호 설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패킷 중계호 설정이 완료되면 패킷처리모듈(PHM)(103)은 데이타 전달상태가 되고 중계 발신 교환기(202) 및 중계 착신 교환기(203) 모두 양방향으로 데이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상태에서 수신되는 패킷을 구분하여 그에 따라 수신측 데이타 버퍼를 초과하지 않고 테이타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흐름제어 절차를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X. 75 데이타 패킷의 발신측 수신 처리 및 흐름제어 절차 흐름도로서, P75Ho(232)이 중계 발신교환기(202)로부터 X. 75 데이타 패킷을 받으면(401), 발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해당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인가를 확인한 후(402), 데이타 전달 상태가 아닌 경우는 호처리 상태에 따라 X. 75 데이타 패킷을 무시하거나 호를 해제하고(403), 데이타 전달 상태인 경우는 데이타 패킷 헤더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 순서번호를 분석한다(404).
상기 수신 순서번호 분석 결과(405), 비연속적인 데이타 패킷일 경우는 해당 호를 리셋 처리하고(406), 연속된 데이타 패킷일 경우는 내부 송신을 위한 정보 저장 및 송신 순서번호를 분석하여(407), 송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확인한다(408). 상기 확인 결과, 비정상이면 호를 해제하고(409), 정상이면 데이타 패킷을 송신 영역으로 저장하고 다음 데이타 수신을 위해 수신 버퍼의 사용 여부를 분석한다(410).
상기 수신 버퍼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4l1),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는 중계 착신 교환기(203)로 RNR(Receive Not Ready) 패킷을 전송하고(412), 수신 버퍼가 사용 가능할 경우는 이미 설정된 수신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상대측으로 RR(Receive Ready) 패킷 전송여부를 판단한다(413).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RR 패킷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는 RR 패킷을 중계 착신 교환기로 전송한다(414).
따라서 상기 RNR 패킷이나 RR 패킷이 전송되면 상기 중계 착신 교환기(203)를 데이타 패킷 수신 가능상태로 변경하고 착신 패킷처리 모듈(PHM)(103)의 B25H로 내부 데이타 패킷을 전송한다(415). 그리고 내부 데이타 패킷 송신 결과를 분석하여(416), 실패하였을 경우는 재전송을 위해 내부 데이타 송신큐에 등록하여(417), 재전송을 요구하고, 송신 결과가 정상일 경우는 내부 송신 순서번호를 증가하고(418), 종료한다.
제5도는 X. 25 데이타 패킷의 착신측 수신 처리 및 흐름제어 절차 흐름도로서, P75Ho(232)가 중계 발신측의 B5H(231)로부터 X. 25 데이타 패킷을 받으면(501), 착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해당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인가를 확인하여(502), 데이타 전달 상태가 아닐 경우 호처리 상태에 따라 X. 25 데이타 패킷을 무시하거나 호를 해제하고(503), 데이타 전달 상태일 경우는 데이타 패킷 헤더 정보롤 저장하고 수신 순서번호를 분석한다(504).
그리고 상기 수신 순서번호를 분석한 결과(505), 비연속적인 데이타 패킷일 경우는 해당 호를 리셋 처리하고(506), 연속적 데이타 패킷일 경우는 외부 송신을 위한 정보 저장 및 송신 순서번호를 분석하여(507), 송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확인한다(508). 상기 확인 결과, 송신 순서번호가 비정상이면 호를 해제하며(509), 정상이면 데이타 패킷을 송신 영역으로 저장하고 다음 데이타 수신을 위해 수신 버퍼의 사용 여부를 분석하여(510), 수신 버퍼의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한다(511).
상기 확인 결과,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는 중계 발신측 교환기(202)로 RNR(Receive Not Ready) 패킷을 전송하고(5l2), 수신 버퍼가 사용 가능할 경우는 이미 설정된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상대측으로 RR(Receive Ready) 패킷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513).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RR 패킷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 RR 패킷을 중계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여(514), RNR 패킷이나 RR 패킷을 전송한 상태에서 데이타 패킷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발신 패킷처리모듈(l03)의 P75Ho(232)로 내부 데이타 패킷을 전송한다(515). 상기 내부 데이타 패킷 송신 결과를 분석하여(516), 실패하였을 경우는 재전송을 위해 내부 데이타 송신큐에 등록하여(517), 재전송을 요구하고, 정상일 경우는 내부 송신 순서번호를 증가하고(518), 종료한다.
제6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RR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 흐름도로서, RR 패킷을 수신하면(61), 해당 링크 번호와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중계호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62), 패킷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인가를 확인한다(63).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가 아닐 경우, 중계호를 해제처리 하고(64), 데이타 전달 상태일 경우는 수신한 RR 패킷의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타의 수신 순서번호를 분석한다(65).
상기 수신 순서번호 분석결과에 따라(66), 비정상일 경우는 호를 리셋처리 하고(67), 정상일 경우에는, 다음 데이타 송신을 위해 송신 정보를 변경하고, 외부 송신 상태를 변경한다(68).
제7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RNR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 흐름도로서, RNR 패킷을 수신하면(71), 발신 링크 번호와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패킷 중계호의 존재 유뮤를 확인하여(72), 패킷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인가를 확인한다(73). 따라서 해당 중계호가 데이타 전달 상태가 아닐 경우, 중계호를 해제처리 하고(74), 데이타 전달 상태일 경우는 수신한 RNR 패킷의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타의 수신 순서번호를 분석한다(75).
상기 수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확인하여(76), 비정상일 경우는 호를 리셋처리 하고(77), 정상일 경우, 다음 데이타 송신을 위해 송신 정보를 변경하고 외부 송신 상태를 변경한다(78).
제8도는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시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로서, 송신 버퍼의 데이타 유무를 주기적(40ms)으로 확인하여(81), 재전송을 위한 테스크가 구동된다. 그리고 송신 버퍼에 데이타가 존재하면 송신 버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82), 송신 버퍼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요구상태 및 재전송 횟수를 분석하여(83), 상기 재전송 횟수가 3회 이상일 경우는 해당호를 해제처리 하며, 송신 버퍼의 요구상태가 정상일 경우는 착/발신을 구분하여, 착신일 경우는 내부 데이타 전송 처리기에 의해 교환기 내부로 데이타를 전송하고, 발신일 경우는 외부 데이타 전송 처리기에 의해 교환기 외부로 데이타를 전송한다(84).
그리고 상기 데이타 전송이 성공했는지 확인하여(85), 전송에 실패하면 상기한 재전송 범위내에서 재전송 요구 및 횟수를 증가하고(86), 전송에 성공하면 송신 버퍼의 다음 데이타에 대한 송신 정보를 변경하여(87), 송신 데이타의 유무확인 및 버퍼의 상태를 변경한다(88). 그리고 데이타의 수신상태를 확인하여 상대측으로 RR 패킷을 전송한다(89).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간 데이타 전달 기능을 X. 75 프로토콜에 따라 흐름제어 절차를 수행하여 종합정보통신망내 패킷교환의 원활한 데이타 전달을 실현시킬 수 있으며, 데이타 패킷의 수신 형태에 따라 분리 및 조합하여 흐름제어 절차에 따라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신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고, 비정상 상태의 데이타 패킷 전송이 지연될 경우에도 재전송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데이타 전달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타 패킷의 제어 및 흐름제어를 위한 처리 과정을 최소로하고 데이타 전달을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의 패킷 중계호의 데이타 전달 처리능력을 최대로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패킷 중계 루트를 선정하는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ASP-P)(101)와, 상기 패킷교환 정합 프로세서(101)와 제어 연결망(CI)으로 연결되어 제어 패킷의 검증과 논리채널 할당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프로세서(PLCP)(102)와, 상기 다수의 패킷계층 제어 프로세서(102)와 패킷 버스(PBUS)로 연결되어 X. 75링크계층 제어와 프레임-패킷 버스(PBUS)로 연결되어 X. 75링크계층 제어와 프레임-패킷 변환 및 패킷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패킷처리모듈(PHM)(103)을 구비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 패킷처리기에 적용되는 흐름제어 방법에 있어서, 패킷처리모듈(103)이 패킷 중계호의 호 설정이 완료되어 데이타 전달상태가 되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구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l단계 수행 후, 외부의 중계 발신 교환기(202)로부터 X. 75 데이타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타 패킷을 내부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데이타 흐름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외부의 중계 착신 교환기(203)로부터 X. 25 데이타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타 패킷을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데이타 흐름을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수신준비완료 패킷(이하 RR 패킷이라 칭함)이 수신되면 수신번호 분석 및 상태를 변경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후, 수신불준비완료 패킷(이하 RNR 패킷이라 칭함)이 수신되면 수신번호 분석 및 상태를 변경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전송에 실패하면 재전송을 위한 순서번호 분석 및 상태를 변경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외부의 중계 발신 교환기(202)로부터 X. 75 데이타 패킷을 수신하면 내부 송신정보를 저장하고 수신 버퍼의 사용여부를 분석하는 제7단계와,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RR 패킷이나 RNR 패킷을 송신하고 내부시스템으로 상기 X. 75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X. 75 데이타를 수신하면 발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데이타 전달상태의 호인가를 확인하는 제9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데이타 전달상태가 아니면 해제처리 하고 데이타 전달상태이면 데이타 패킷 정보를 저장하여 수신 순서번호가 연속되는 패킷인지 분석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수신 순서번호 분석결과, 비연속이면 리셋처리 하고 연속이면 내부 송신정보를 저장하여 송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분석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송신 순서번호 분석결과, 비정상이면 해제처리하고 정상이면 수신 버퍼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는, 상기 제7단계 수행 후, 수신 버퍼가 사용 불능이면 RNR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 버퍼가 사용 가능이면 RR 패킷의 송신여부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수행 후, 내부시스템으로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전송 및 내부 송신정보를 변경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중계 착신 교환기(203)로부터 X. 25 데이타 패킷을 수신하면 외부송신정보를 저장하고 수신 버퍼의 사용여부를 분석하는 제7단계와,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RR 패킷이나 RNR 패킷을 송신하고 외부시스템으로 상기 X. 25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X. 25 데이타를 수신하면 발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데이타 전달상태의 호인가를 확인하는 제9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데이타 전달상태가 아니면 해제처리 하고 데이타 전달상태이면 데이타 패킷 정보를 저정하여 수신 순서번호가 연속인지 분석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수신 순서번호 분석결과, 비연속이면 리셋처리 하고 연속이면 외부 송신정보를 저장하여 송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분석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송신 순서번호 분석결과, 비정상이면 해제처리 하고 정상이면 수신 버퍼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증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는, 상기 제7단계 수행 후, 수신 버퍼가 사용 불능이면 RNR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 버퍼가 사용 가능하면 RR 패킷의 송신여부를 결정하여 송신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수행 후, 외부시스템으로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전송 및 외부 송신정보를 변경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중계 발신 교환기(202)로부터 RR 패킷을 수신하면 발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데이타 전달상태의 호인가를 확인하는 제7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데이타 전달상태가 아니면 해제처리 하고 데이타 전달상태이면 상기 RR 패킷의 정보를 저장하여 수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분석하는 제8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 수신 순서번호가 비정상이면 리셋처리하고 수신 순서번호가 정상이면 외부 송신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송신상태를 변경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중계 발신 교환기로부터 RNR 패킷을 수신하면 발신 링크 및 논리채널 번호에 의해 데이타 전달상태의 호인가를 확인하는 제7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데이타 전달상태가 아니면 해제처리 하고 데이타 전달상태이면 상기 RNR 패킷의 정보를 저장하여 수신 순서번호가 정상인지 분석하는 제8단계와, 상기 분석결과, 수신 순서번호가 비정상이면 리셋처리하고 수신 순서번호가 정상이면 외부 송신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송신상태를 변경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중계 발신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타 패킷의 전송에 실패하면 송신 버퍼에 데이타 패킷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고 송신 버퍼의 데이타 패킷 재전송 요구상태 및 재전송 횟수를 분석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수행 후, 데이타 패킷을 내부 시스템으로 재전송하여 전송에 실패하면 재전송을 요구 및 재전송 횟수를 증가하고, 전송에 성공하면 내부 송신상태를 변경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내부 송신 데이타의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상태를 변경하고 외부 데이타 패킷의 수신상태 확인 및 RR 패킷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송신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KR1019940031594A 1994-11-28 1994-11-28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KR97000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94A KR970002818B1 (ko) 1994-11-28 1994-11-28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94A KR970002818B1 (ko) 1994-11-28 1994-11-28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84A KR960020184A (ko) 1996-06-17
KR970002818B1 true KR970002818B1 (ko) 1997-03-11

Family

ID=1939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94A KR970002818B1 (ko) 1994-11-28 1994-11-28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8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84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5349B1 (en) Switched circuit connection management over public data networks for wide area networks
EP0535860B1 (en) Congestion control for high speed packet networks
US4723238A (en) Interface circuit for interconnecting circuit switched and packet switched systems
EP0118037B1 (en) Computer network system and its use for information unit transmission
EP1507353B1 (en) Transmission/reception of data flows with different QoS requirements
US6038224A (en) Data control system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659053B2 (ja) パケツト交換方式
JPH08279814A (ja) 複数コネクション設定制御方法
JPH07307737A (ja) Atm−uni・lan間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7130291B1 (en) Data control system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obile data and voice service
EP1190538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required quality of service (qos) level for a mobile-originated call routed through a packet-switched network
US6977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based overload control in a distributed call-processor communication system
US6377673B1 (en) Intelligent peripheral system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H0879309A (ja) Lan間接続装置及びlan間接続システム
EP1292083A2 (en)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s in a network adaptor
KR970002818B1 (ko) 패킷 중계호에서의 데이타 흐름제어 방법
JP2731007B2 (ja) 回線交換システム
KR960014423B1 (ko)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의 패킷 중계호 설정방법
JP3522339B2 (ja) 中継転送システム
KR0146547B1 (ko) 패킷 중계호에서의 리셋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100281974B1 (ko) 교환기의프레임핸들링장치및방법
KR100233909B1 (ko) Isdn 교환 시스템의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법
US20080002577A1 (en) Efficient allocation of shapers
JP3246380B2 (ja) 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KR013294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종합 정보 통신망 비 (isdnb) 채널 패킷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